(사진=고용노동부)
(사진=고용노동부)

올해 3분기까지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가 457명으로 집계되며,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산재 사망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건설업계의 잇따른 대형 사고와 영세·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전년 동기 대비 14명(3.2%) 늘어난 457명으로 나타났다. 사고 건수 역시 44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11건에 비해 29건(7.1%)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사망자가 210명으로 지난해보다 7명 늘었다. 이는 2월 기장 화재사고 (사망 6명)와 세종 -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구조물 붕괴 사고 (사망 4명) 등 대형 사고가 이어진 영향이다. 

더불어 소규모 건설현장의 사고가 증가 폭을 키운 또 다른 요인으로 지적된다. 

공사금액 5억 원 미만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72명에서 91명으로 19명(26.4%) 증가하며 건설업 전체 증가를 견인했다. 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 관리 인력이 부족한 구조적 문제가 다시 한번 드러났다.

제조업은 119명으로 15명(11.2%) 감소했지만, 도·소매업·농림어업 등 기타 업종에서는 128명이 숨져 전년보다 22명(20.8%) 증가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지게차·트럭과의 충돌, 산림 작업 중 추락 등 기초적인 안전조치 미흡 사례가 다수였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50인(건설은 50억 원) 이상 사업장은 182명에서 170명으로 12명(6.2%) 감소했으나,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249명에서 275명으로 26명(10.4%) 증가했다.

특히 5인 미만 초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사망자가 전년 대비 27명(24.5%) 증가한 137명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 사고가 199명으로 전년 대비 36명 증가했고, 부딪힘(45명), 깔림·뒤집힘(30명)으로 저년 동기 대비 각각 36명, 4명, 1명이 늘었다. 반면 물체에 맞음은 56명, 끼임 사고는 3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명, 11명 줄었다.

산재 사망 감소를 국정 과제로 내세워온 정부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다”고 평가하며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이에 노동부는 지난달 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 소규모 건설현장 및 도·소매업 등 기타업종 대상으로 전국 단위 집중 점검을 추진한다. 

또한, 지붕공사 추락 대책(10월 24일), 1억 원 미만 건설현장 특별 감독(10∼12월), 벌목작업 안전 강화 대책(11월 13일) 등 분야별 특화 대책도 연이어 마련하고 있다.

기타업종은 건물종합관리업, 도‧소매업,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 협회‧단체 등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회원사에 대한 안전보건규칙 준수 당부, 정부 재정지원 사업 안내 등 전방위적인 재해 예방 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방노동관서와 지방자치단체의 합동 점검도 강화해, 그동안 행정력이 미치기 어려웠던 초소규모 사업장까지 관리망을 넓힐 계획이다.

저작권자 © 레디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