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최근 일본 참의원을 통과해 ‘전쟁 법안’이라고 비판을 받고 있는 안보관련 법안이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다. 안보관련 법안은 현행 일본 헌법이 부정하고 있는 집단자위권 등을 행사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로 야당과 시민사회...

1회 기사 <사드 미사일, 미국의 핵전쟁을 위한 무기체계-1>
미국의 동아시아 MD 계획과 사드
그렇다면 미국은 사드를 한국에 배치한다는 구상을 언제부터 세웠을까? 1999년 5월 미 국방부가 의회에 ...

이 글은 지난 해 6월에 발표한 <사드 미사일 시스템, 미국만 원하면 한국에 배치되나: 완벽한 미사일방어망은 실현 불가능한 환상>의 후속이자 확장이다. 길이 다소 길어 2회로 나눈다.<필자>
...

미국의 억지이론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가?
미국의 안보전략은 전통적으로 억지 이론에 기초했다. 억지란 자국이 원하지 않는 행동을 상대국이 하려고 할 때 그런 행동을 하면 감당할 수 없는 손실을 입히겠다고 위협...

필자의 지난 글 <이라크 위기, 내전으로 격화되는가?>에 이어 최근 오바마 정부의 ISIL 파괴 선언과 시리아 공습의 배경과 전략, 향후 전망을 간략히 살펴본다.
***
[caption id="at...

* 미국 경찰의 군사화 경향에 대해 지난번에 짧은 기사로 다룬 바 있다.(관련기사 링크) 그것의 심각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글을 싣는다. 비단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편집자>
-------...

2013년 7월 29일, 국가기본문제연구소가 주최한 한 강연. 일본 아소 다로 부총리는 세계대전 이전 나치 시절에 대해 설명하며 이렇게 말했다. “독일 바이마르헌법은 어느새 바뀌어 있었다. 아무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

2014년 6월 19일 현재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북쪽으로 250㎞ 떨어진 바이지의 정유공장을 두고 이라크 정부군(보안군)과 수니파 민병대가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라크의 반군 세력이 북부 주요도시를 장악하...

* 전쟁의 위협과 무기 경쟁의 폭력성과 갈등의 악순환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해왔던 임필수씨가 최근 사드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둘러싼 한-미간의 논의와 그 실천적 문제점에 대해 글을 보내왔다. 2회에 나누어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