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 개시 기념 행사에 참석하여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 개시 기념 행사에 참석하여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중앙·지방정부 내부망에서도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국내외 민간 AI 서비스는 내부 행정 데이터 유출 위험 등 보안 우려에 따라 인터넷망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정부 업무 전반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에 행안부와 과기부는 보안이 확보된 인프라에서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더 쉽고 빠르게 이용하고,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은 민간의 다양한 AI 모델, 학습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을 중앙·지방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중앙·지방정부는 중복개발·투자 없이 내부 행정업무부터 공공서비스까지 다양한 AI 기술을 업무 전반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과학적인 정책기획과 대국민 서비스 개선 등 본격적인 ‘AI 행정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통기반은 공개된 행정문서·데이터를 AI 모델과 연계하여, 내부망에서도 활용 가능한 삼성SDS,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챗서비스 2종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AI 공통기반 인프라를 활용한 기관별 특화 AI 서비스 도입도 지원한다.

내년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되는 AI 모델도 ‘범정부 AI 공통기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도입, 민간의 우수한 AI 모델을 정부 업무에 적용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행안부와 과기부는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활용한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서비스도 개시한다.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은 AI를 중심으로 메일, 메신저, 영상회의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생략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의 운영·확산에 앞서 AI 서비스 기능 검증 및 품질개선 등을 위해 이달 말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서비스 시범 운영한다. 이후, 내년 3월부터는 전체 중앙·지방정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서비스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통해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민간의 최신 AI 기술을 공공부문에 적극 도입·활용해 국민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드리는 ‘AI 민주정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레디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