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G20 정상들과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G20 정상들과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를 위한 공정한 미래’ 실현을 위해서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구축, 안정적이고 호혜적인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청년과 여성의 AI 역량 강화 등을 통한 포용적 기회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3일 (현지 시간) 마지막 세션에 참석해 G20 정상회의 마지막 세션에 참석해 △인공지능(AI) 기술 협력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포용적 성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된 첫 번째 정상회의인 이번 G20에는 60여 개 회원국과 초청국, 그리고 초청 국제·지역 기구가 참석해,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주요 국제 경제 현안과 분야 별 의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은 모든 국가와 모든 이들에게 고른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면서, ‘AI for Africa’ 이니셔티브를 발표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는 ‘글로벌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광물 보유국과 수요국 간 혜택이 공유되는 안정적·호혜적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광물 공급국과 수요국의 필요에 맞는 호혜적인 광물 협력사업을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노력을 전개 중이며, '한-아프리카 핵심광물대화'를 통해 상호 신뢰에 기반한 협력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인공지능 혁신과 핵심광물 공급망 회복력 강화는 포용적인 기회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며 “G20가 ‘넬슨 만델라 베이 목표’와 ‘브리즈번-이테쿠이니 목표’를 채택한 점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출범 20년인 2028년에 의장직을 수임하겠다며 “막중한 책임감으로 G20가 국제 경제 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으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주어진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겠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이틀간 이어진 G20 정상회의는 제3세션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 

한편 올해 남아공의 G20 의장국 수임을 끝으로 G20 모든 회원국들이 한 차례씩 의장국을 수임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G20의 1라운드가 종료됐다. 내년부터 미국이 다시 의장국을 수임하면서 G20 정상회의 제2라운드 토론이 시작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레디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