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마트 기계실서 쓰러져간 ‘등록금 알바생’의 비극
    By
        2011년 07월 04일 09:28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제대 직후 아르바이트에 나선 대학 휴학생 황승원씨가 2일 새벽 숨졌다. 조금이라도 높은 보수를 받기 위해 냉동기 보수업체에서 일해왔는데, 이마트 탄현점 기계실에서 냉동기 점검 보수 작업을 하다 유독가스를 마셔 동료 3명과 함께 사망한 것이다.

    등록금 때문에 위험하고 힘든 일을 택했고, 결국 차디찬 주검으로 돌아온 황씨 앞에 조선일보는 ‘등록금을 인하하면 5대 기업이 의외의 이익을 보게 된다’며 ‘반값 등록금의 역설’을 주장한다. 이날 조선일보에는 황씨의 주검에 대한 기사가 실리지 않았다. 다음은 4일자 전국단위 아침신문 1면 머리기사다.

    경향신문 <재벌개혁, 전 사회적 의제로 부상>
    국민일보 <‘미친 월세’…15년래 최대폭 상승>
    동아일보 <‘포퓰리즘 복지’에 한해 60조원 필요 올 예산의 5분의 1>
    서울신문 <한․독․불 정상들의 ‘더반 전쟁’>
    세계일보 <계파싸움 못 벗은 구태 정치…한나라, ‘쇄신의 길’을 잃다>
    조선일보 <반값 등록금 희한한 역설>
    중앙일보 <“IOC 위원들, 머리 아닌 가슴으로 투표한다” >
    한겨레 <미 “FTA로 한국에 농산물 수출 2조원 늘 것”>
    한국일보 <도로공사 55억 강제 모금 물의>

    등록금 때문에…22살 대학 휴학생, 아르바이트 도중 사망

    황씨가 사망한 건 지난 2일 새벽 4시께였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황씨는 군에서 제대한 이틀 뒤부터 냉동기 보수업체에서 일해왔다. 그날도 황씨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이마트 탄현점 지하 1층 기계실에서 동료 3명과 함께 냉동기 점검·보수작업을 하고 있었다. 마스크 등 안전장비는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황씨는 작업 도중 유독가스에 중독돼 동료들과 함께 숨졌다.

    이마트 기술관리팀 직원은 “숨진 황씨 등이 터보냉동기에서 냉매가스를 빼낸 뒤 부품 이물질 청소 작업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소방서 관계자는 “냉매가스에는 사람 몸에 유해한 염소가스가 포함돼 있어 조금만 마셔도 치명적이고 일반 마스크로는 별 소용이 없다. 작업 공간이 지하여서 냉매가스에 질식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7월 4일자 중앙일보 18면

    황씨가 냉동기 보수업체에 일용직으로 취업한 건 2학기 복학을 앞두고 등록금을 마련하기위해서였다. 중학생 때 아버지가 사업에 잇따라 실패하고 집을 나가면서 황씨는 고교 진학을 접었다. 하지만 세상의 높은 벽을 실감한 황씨는 대학생인 사촌형을 찾아다니며 영어·수학을 배웠고, 독학으로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2009년 서울시립대 경제학부에 입학했다.

    식당과 공장 일을 하며 월 100만원을 버는 어머니, 고등학생인 여동생 등 세 가족은 서울 성동구 옥수동의 보증금 1500만원, 월세 20만원짜리 반지하 단칸방에서 함께 살아왔다. 당연히 등록금은 기댈 형편이 못 됐다.

    그동안 반값 등록금 문제를 주요하게 다뤄온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이번 기사도 주요하게 보도했다. 한겨레는 1면 상자 기사로, 경향신문은 사회면 상자 기사(20대 알바 대학생의 죽음>)로 보도했다. 중앙일보도 18면 <등록금 벌려다…어느 대학생의 죽음>에서 황씨가 당한 참변을 보도했다. 이 외에 다른 신문들은 <이마트 인부 4명 질식사> 등 단신으로 보도했고, 조선일보는 관련 기사를 아예 보도하지 않았다.

    이날 조선은 1면에 <반값 등록금 희한한 역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는데, 이 기사에서 조선은 반값 등록금이 현실화하면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SK텔레콤 등 국내 매출 상위 5대 기업이 학자금 지원 비용이 연간 1000억 원 가량 줄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7월 4일자 조선일보 1면

    조선은 “’묻지마 반값 등록금’을 실행하기 위해 한 해 세금 5조원 정도를 들여야 하는 것을 감안하면, 5대 대기업이 반값 등록금 재원의 2% 정도를 가져가는 셈”이라며 “반면 다른 부문에 들어갈 정부 예산을 삭감하지 않는다면 전국 1700만 가구는 1년에 세금 30만원씩을 더내야 한다”고 보도했다.

    조선은 “애초 ‘친(親)서민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반값 등록금 정책 논의가 자칫하면 서민의 지갑을 털어 대기업 금고로 넣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게 될 수도 있다는 뜻”이라며 “반값 등록금만이 아니”라 “전·월세 상한제, 대부업체 대출금리 규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등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내놓는 인기 영합 정책이 도리어 서민의 발목을 잡는 ‘포퓰리즘의 역설(逆說)’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복수노조 신고 봇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복수노조 설립이 허용된 첫날인 지난 1일 전국 노동관서와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노조 설립 신고 현황을 집계한 결과 76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44곳은 택시·버스회사로 전체의 57.9%를 차지했다. 44곳 가운데 35곳은 한국노총(24곳)과 민주노총(11곳) 등 상급단체에 가입한 노조가 이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 4일자 경향신문 1면

    운수회사가 아닌 나머지 32곳은 민주노총(17곳)과 한국노총(8곳)에서 분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현재 노조가 있는 8500개 사업장 가운데 10~15%에서 1년 내에 복수노조가 탄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노조에 대한 불만 때문에 신규 노조를 설립한 것으로 보여 교섭창구 단일화 등을 놓고 향후 노·노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향신문은 전했다.

    기존 임금·단체협상을 무력화하기 위해 복수노조가 설립되는 경우도 있다. 현대증권은 임·단협의 제한된 단체행동 조항을 없애기 위해 복수노조 설립을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노조가 설립되면 기존 노조 조합원 2000여명이 모두 새로 설립되는 복수노조에 가입해 사측과 임·단협을 다시 하겠다는 것이다.

    삼성과 포스코 등 무노조 대기업의 노조 탄생도 관심이다. 고려대 박지순 교수는 “교섭창구 단일화 등으로 인해 복수노조 설립 효과가 생각보다 높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삼성의 경우 더 이상 ‘무노조 신화’가 불가능해진 만큼 최소 2~3개 노조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신문은 3면 <친 기업·중도 노조 우후죽순… 투쟁→실리 중심 변화?> 기사에서 “노동계에서는 투쟁 중심의 판도가 근로자의 임금 및 복지 등 실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7월 4일자 서울신문 3면

    서울신문은 “서울신문과 잡코리아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300인 이상 대기업의 50%가 대책을 마련했다”며 “이들 기업은 새 노조를 만들 가능성이 있는 직원들을 파악하고, 설득하는 방법을 만드는 등의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300인 이하 중소기업이 복수노조에 대한 대책을 만든 경우는 25.8%에 불과했다”고 보도했다.

    한나라당 오늘 전대…낮은 투표율․여론조사가 관건

    ‘원희룡은 웃고, 나경원은 울었다’

    지난 3일 한나라당의 새 당 대표를 뽑는 선거인단 투표가 전국 251개 투표소에서 실시됐다. 서울·경기 등 중부지역에서 폭우가 내린 탓에 투표율은 25.9%에 그쳤다. 청년선거인단 9443명을 포함한 당원 20만3518명이 선거인단에 포함됐지만 투표권을 행사한 당원은 5만2809명이었다. 정희수 사무총장은 “장맛비의 영향으로 당초 예상했던 40%는 고사하고 30%에도 못 미쳤다”고 말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투표율이 저조한 것은 장맛비뿐 아니라 당권 후보들이 새로운 이슈로 국민적 관심을 모으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결국 조직표(의원·당협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투표권을 행사하는 당원)만 투표장에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6면 <낮은 투표율에 홍준표․원희룡 미소…나경원은 긴장> 기사에서 “조직세가 앞선다는 평가를 받은 홍준표·원희룡 후보 측은 낮은 투표율 덕을 볼 걸로 기대하고 있다”며 “나경원 후보는 ‘투표율이 낮아 조직이 없는 제가 불리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지만 측근들은 ‘나 후보가 일반인 여론조사에서 선전할 걸로 보이기 때문에 희망을 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7월 4일자 중앙일보 6면

    이번 경선 결과는 4일 오후 서울 잠실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발표된다. 2∼3일 실시된 일반인 여론조사 결과(전체의 30% 반영)에 3일의 당원 투표 결과, 4일의 대의원단 투표 결과(이상 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전체의 70% 반영)를 합친 최종 순위가 전당대회장에서 공개되는 것이다.

    4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개표 결과 1위인 대표로 누가 뽑히던 간에 후보 7명 모두 지난해 전당대회에 비해 계파색이 엷어진 데다 출마자들의 연령이 대부분 40~50대여서 지도부의 색깔이 크게 변화될 것으로 한나라당은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한국일보 김광덕 정치부장은 이날 데스크칼럼 <엉터리 전당대회와 원칙의 정치>에서 “앞으로 우리 정치를 반 단계라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해서는 원칙의 정치를 세워야 한다”면서 “그런데 요즘 한나라당에선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친박계와 소장파의 연합군으로 구성된 신주류”가 “7∙4전당대회를 준비하면서 계속 원칙을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7월4일자 한국일보 34면

    김 부장은 “전당대회 룰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 원칙을 무시하는 폭거를 저지른 것은 대표적 사례”라며 “21만명의 선거인단 명부에 엉터리 명단이 적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선거인단 명단 중에는 주소나 전화번호 등이 잘못돼 연락이 되지 않는 사람이 20~30%에 이fms다는 것이다. 김 부장은 “만일 경선 개표 결과 1, 2위의 득표 차이가 5% 이내인데, 투표에 참여해 달라는 연락을 받지 못한 대의원이 10% 를 넘는다면 선거무효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부장은 이어 “경선 과정에서 ‘일부 후보의 공천 협박설’ ‘친이계의 특정후보 조직적 지원설’ 등이 제기돼 사실 여부를 둘러싸고 진흙탕 싸움이 전개됐다”며 “쇄신을 외치면서 반칙을 저지르는 일이 계속된 셈”이라 “엉터리 전당대회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원칙의 정치를 트레이드마크로 내세우는 박 전 대표는 원칙 없이 치러지는 전당대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라며 전당대회 준비를 주도한 신주류에 대한 박 전 대표의 ‘한 마디’를 주문했다.

    경찰 “KBS, 귀대기로 녹취 불가능” 결론

    경찰이 국회 민주당 당대표실 도청의혹 사건과 관련해 ‘논란이 된 회의 녹취록은 이른바 귀대기 취재(문틈 등에 귀를 대고 대화를 엿듣는 방식)로 작성된 게 아니다’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겨레가 보도했다. “기자들이 귀대기 취재를 했다”는 KBS의 공식 해명이 신빙성이 없다는 얘기다.

    한겨레는 1면 <경찰 “KBS, 귀대기로 녹취 불가능” 결론> 기사에서 “경찰이 여러 경로를 통해 조사한 결과 귀대기 취재는 없었던 것으로 결론이 났다”는 서울지방경찰청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7월 4일자 한겨레 1면

    이 사건 수사를 맡은 서울 영등포경찰서 관계자도 “당대표실 구조와 회의 당시 상황에 비춰 (귀대기 취재로는) 그런 취재록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 녹취록이 민주당 내부에서 흘러나왔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민주당이 자체 작성한 녹취록의 유출은 없었다’고 결론낸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불법 녹취록을 공개한 당사자인 한선교 한나라당 의원은 지난 2일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출국한 상태다. 경찰은 4일 ‘귀국 즉시 출석해 달라’는 출석 요구서를 보낼 방침이며, 녹취록을 입수해 그 내용을 보도한 동아일보에도 녹취록을 제출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