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도 "공공 파업 지지"
    공공서비스는 장애인 생존 문제
        2016년 09월 30일 05:24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 폐지를 요구하며 1,500여일, 4년이 넘는 긴 기간을 광화문 지하도의 농성장을 지켜왔던 장애인공동행동이 지난 9월초 중증장애인의 삶을 외면하고 발표된 2017년 장애인 복지예산안을 규탄하며 2박3일 투쟁을 전개했다.부양의무제 폐지! 장애등급제 폐지! 2017년 중증장애인 생존권예산 쟁취!가 2박 3일 집중투쟁의 세 가지 요구였다.

    이들은 2박3일 캠프 투쟁 해단식을 가지면서 공공부문 노동자 성과퇴출제 저지! 총파업 투쟁을 지지하는 기자회견을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장애인2

    장애인3

    장애인들에게는 활동보조서비스 등의 공공서비스, 공공의료와 사회복지의 문제가 남의 얘기가 아니라 바로 장애인 생존과 삶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공공서비스의 질적, 양적 하락은 곧 장애인의 생활 자체를 위협하는 문제이기에 이번 공공노조의 총파업이 남의 투쟁이 아니다.

    공동행동은 캠프 해단식 겸 총파업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총파업은 단지 노동자들만의 투쟁이 아니다. 우리는 지난 5월 성과와 이윤만을 추구한 결과 사망한 구의역 노동자를 기억하고 있다. 이렇듯 공공부문에 성과퇴출제 도입은 공공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철도와 병원 등 공공기관이 이익만을 우선하며 공공의 안전을 위협할 것”이라며 “특히 장애인과 가난한 이들에게는 더 큰 악영향을 미칠 것이며, 가난한 환자를 마다하지 않고, 행려환자를 치료하는 몇 안 되는 공공병원들이 제 역할을 다 할 수 없을 것”을 우려했다.

    또 “우리는 장애인과 가난한 이들이 사회에 퇴출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살기 위해서, 공공부문 노동자 성과퇴출제 도입에 반대하며,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총파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