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글이 다소 길지만, 필자가 나누지 말고 한 번에 게재해달라고 요청하여 나누지 않고 올린다. 길지만 의미 있고 중요한 문제제기, 무궁화만의 문제가 아닌 의미를 담고 있다. <편집자> ------------...

[1] 글을 시작하며
진범 <Aconitum pseudolaeve Nakai>은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여러해살이 풀로 전국의 높은 산지에서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는데 길이 80~200...

욕망 너머의 창포, 석창포 그리고 꽃창포의 민속적 실체(1)
욕망 너머의 창포, 석창포 그리고 꽃창포의 민속적 실체(2)
[5] 식물분류학의 전래 시기와 우리의 민속에 대한 곡해
1. 식물분류...

앞의 연재 글 링크
[4] 우리의 옛 문헌과 민속에 대한 자의적 해석 또는 곡해(?)
1. 우리의 옛 문헌의 창포와 석창포에 대한 자의적 해석 또는 곡해
(1) 주장 내용
위 논문의 요점을 기록...

욕망 너머의 창포, 석창포 그리고 꽃창포의 민속적 실체(1)
4. '중국식물지'에 대한 자의적인 이해 혹은 의도적 곡해?
(1) 주장 내용
위 주장의 식물학자는 중국의 옛 문헌을 위와 같이 분석한 후...

단오날 창포를 삶아 머리를 감는 민속문화는 직접 경험하지 않더라도 우리에게는 익숙한 풍습이다. 그러나 그 창포를 둘러싼 부정확한 논란과 오해들이 적지 않아 이에 대해 살펴보는 글을 '푸른속의 식물생태' 칼럼을 쓰는 ...

* '푸른속의 식물생태 이야기' 칼럼 링크
글을 시작하며
최근에 청와대의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우리 식물이름을 바로 잡아 주세요"라는 글이 게시되었다. 현재 부르는 식물이름을 전반적으로 고쳐 달라는 것인데...

* 앞 회의 글 '무궁화=일본꽃'이란 주장을 비판한다 1편 / 2편
무궁화가 '나라꽃'이라는 과잉된 이데올로기의 껍질을 벗고, 식물로서 우리의 역사에서 부딪겼던 실체를 있는 그대로 조속히 성찰할 수 있기를 바...

'무궁화=일본꽃'이란 주장을 비판한다①(『두 얼굴의 무궁화』 비판)에 이어 2회 글을 게재한다. 원래는 2회 정도에서 마무리할 예정이었으나 필자는 더 많은 지점에서 비판이 필요하다고 판단을 하고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레디앙에 [푸른솔의 식물생태 이야기] 칼럼을 게재하고 있는 조현래(필명) 씨가 무궁화를 다룬 책에 대한 진지하고 신랄한 비판 글을 보내왔다. 무궁화가 일본꽃이며 잘못된 국가상징이라는 주장을 펴는 책이다. 조현래 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