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1. 등대풀이란?
등대풀은 대극과 대극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월년초)이다. 늦여름이나 가을에 싹을 틔워 땅에 엎드려 겨울을 나고 새 봄이 되면 줄기를 위로 올려 꽃을 피운다. 제주도를 비롯한 중부 이남의 해안 ...

'푸른솔의 식물생태 이야기' 연재 코너 링크
[1] 개불알꽃은?
개불알꽃<Cypripedium macranthum Sw.(1800)>은 난초과 개불알꽃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복주머니란이라고도 한...

Ⅰ미나리아재비란?
1. 미나리아재비의 개요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Thunb.(1794)>는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전국 각지에서 야생하고 ...

1. 지칭개란?
지칭개<Hemistepta lyrata Bunge(1833)>는 국화과 지칭개속의 초본성 식물이다. 가을에 싹을 틔워 로제트형 잎으로 겨울을 나고 봄이 되면 일찍이 줄기를 올려 5~6...

이팝나무란?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1852)>는 낙엽 활엽수로 높이 20여m까지 자란다. 중국, 타이완, 일본에 분포하고 한반도에는 남부 일...

필자는 레디앙 칼럼 글을 통해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식물명의 일제 잔재 청산 등등을 운운하며 오히려 식물명에 대한 과학적 인식을 가로막는 주장과 글들에 대해 비판을 해왔다. 이번 글도 그 맥락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

필자는 레디앙 칼럼 글을 통해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식물명의 일제 잔재 청산 등등을 운운하며 오히려 식물명에 대한 과학적 인식을 가로막는 주장과 글들에 대해 비판을 해왔다. 이번 글도 그 맥락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와 이에 저항했던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들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행사 만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3.1 운동과 반일 독립운동의 현재적 의미를 고민하는 게 필요하다...

앞 회의 글 [푸른솔의 식물생태] 제비꽃의 이름 유래기②
1. 길마가지나무란?
길마가지나무<Lonicera harae Makino (1914)>는 인동과 인동속(Lonicera)에 속하는...

앞 회의 글 "제비꽃의 이름 유래기①"
3. 제비꽃과 민속문화
(1) 제비꽃에 대한 민속문화 기록이 없다?!
오랑캐꽃이 본래의 고유 명칭이고 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일본 정서와 잇닿아(?) 있다는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