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이 글은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부설 민주주의사회연구소가 주최하는 ‘6월 항쟁 30주년, 87년 체제와 부산지역 노동운동’ 토론회 발제문을 필자 동의를 얻어 레디앙에 게재한다. 논문 형식이고 다소 긴 분량이지만 나누는...

유럽연합 탈퇴로 최종 귀결된 영국 브렉싯 국민투표의 의미와 그 배경에 대한 남종석 씨의 분석 글이다. 탈퇴 지지자들이 극우파의 인종주의 선동에 이끌린 퇴행적 결과라는 분석에 필자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근본적으...

다시 5월 광주의 그 시간이 도래했다. 5월은 늘 우리에게 ‘기억과 망각’이라는 화두를 던진다. 36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그 시간은 여전히 기억하는 것, 망각하지 않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우리에게 묻는다. ...

저명한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가인 테리 이글턴의 책 <비평가의 임무>에 대한 비평 글이다. 이 글은 [오늘의 문예비평] 100호에 실렸는데 편집부의 허락을 얻어 레디앙에 게재한다. 감사의 인사를 ...

남종석씨의 글 "과도한 수출의존도, 한국경제에 약인가 독인가?"에 이어지는 2회 분 글이다. <편집자>
--------
3) 노동소득분배율이란 무엇인가?
최근 한국에서도 노동소득분배율과 관련된 논쟁이...

한국 경제의 거시지표의 특징과 변화 추이 등에 대해 남종석씨가 분석 글을 기고해왔다. 2회에 나누어 게재한다. 1회에서는 한국경제의 무역의존도와 내수경제의 하락 등에 대해 담았고 2회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추이와 그...

앞으로 한국경제의 구조와 현실에 대해 남종석씨의 연재 글을 몇차례 게재할 예정이다. 경제의 문제가 곧 정치의 문제이고 노동의 문제라는 점에서 독자들의 관심을 기대한다. <편집자>
-------------...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y)는 세계적인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자이자 『자본』해설자이다. 그는 『자본의 한계』에서 공간을 자본축적과 자본주의의 위기를 분석하는 것과 결합시킴으로써 물리적 공간이 어떻게 사회적 관...

지난 25일(현지시간) 치러진 그리스의 조기총선이 급진좌파연합 시리자의 압승으로 끝났다. 유럽과 전세계는 구제금융과 그에 동반된 가혹한 긴축정책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집권세력 시리자의 다음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

* 프랑스의 저명한 맑스주의자인 에티엔 발리바르가 샤를리 엡도에 대한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밝힌 글이다. David Broder가 영어로 번역한 것을 남종석씨가 중역했다. <편집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