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허생(許生)은 한양 묵적동(墨積洞)에 살았다.... 집이라야 비바람을 채 가리지 못할 작은 초가집에 불과했다. 그러나 허생은 오직 책 읽기만 좋아할 뿐이어서, 그 아내가 삯바느질을 함으로써 간신히 입에 풀칠을 하는...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하는 용어들 중 의외로 역사적 유래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는 몽골에서 온 말들도 섞여 있다. 고려시대 100년 가까이 몽골(원나라)의 간섭을 받았기 때문이다. 장사치, 벼슬아치...

1년 전 2022년 7월 이 [컬렉터의 서재]란에 ‘장수(長壽) 노비 갑덕에 대하여’라는 글을 실은 적이 있다. 경상도 하동의 양반가 류씨 집안에서 만든 12장의 호구단자에 갑덕이란 이름의 노비가 무려 111세가 ...

D에게.
그동안 잘 지냈니? 오늘 이렇게 펜을 든 이유는 오래 전 너의 질문이 문득 떠올랐기 때문이야. 언제였던가 너는 내게 와서는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정치 제도를 공부할 때 ...

“선생님! 도대체 이 괴상한 용어들은 도대체 무슨 뜻이에요? 교관겸수, 정혜쌍수, 돈오점수....”
K야. 어느 날 네가 따지듯이 들고 온 교과서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의천은 흥왕사를 근거지로...

조선인과 명태는 두들겨 패야-1
조선시대 태형
이왕 태형이 나온 김에 조선시대 태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자.
그 전에 먼저 단원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 ‘서당 풍경’부터 보자. 서당 훈장이 아이에게 회...

벌써 15년은 더 지났을 것이다. 경매를 통해 일제 강점기 때 만들어진 흥미로운 장부 한 점을 수집했다. 장부는 200페이지 정도로 두꺼웠는데, 표지 제목은 거의 지워져 『犯罪人 名簿(범죄인 명부)』라고 적힌 것을...

J야. 오랜만이다.
이렇게 오랜만에 너에게 글을 편지를 쓰는 것은 너의 질문에 오랫동안 하지 못한 답을 하기 위해서야. 너는 늘 호기심이 많았던 학생이었지? 어느 날 너는 일제강점기부터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

한국사가 수능시험에서 쉽게 출제되면서 질문 받는 일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좋게 보면 편해졌고, 나쁘게 보면 게을러졌다. 교학상장(敎學相長)이라는 것은 기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런데 작년 드디어 진지한 ...

1895년 10월 8일(음력 10월 8일) 일어난 을미사변을 계기로 친러내각이 붕괴되고 다시 친일내각이 들어섰다. 이들은 일본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서 을미개혁(갑오 3차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 개혁으로 단발령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