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94년 3사(서울지하철, 부산지하철, 철도전국기관차협의회(전기협)) 공동파업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철도노조(민주파), 서울지하철, 부산지하철, 전노협, 대학생 등 관계된 사람들 백여 명에게 구술...

1994년 6월 당시 철도노동조합(민주파), 서울지하철, 부산지하철에서 임금인상과 처우개선 등을 요구하며 공동파업을 벌인 적이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공권력을 투입하여 노조원들을 해산시키고 체포하였으며, 이후 징계로...

인터뷰를 하면서 88년 7.26파업 농성이 어디부터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궁금하였습니다. 왜냐하면, 88년 파업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파업처럼 집행부에서 계획하고 명령을 내리고 하부조직에서 조합원과 파업을 진행하는...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3리. 중앙선의 역사 중에 하나인 동화역의 주소입니다. 옛 동화역에는 많은 분들이 근무했었습니다. 1975년 당시, 동화역 직원은 10명(78년 8명), 선로반 8명, 전기 2명, 보안 2명...

저는 보성역에서 근무하는 유균입니다. 조사보고서(철도사고조사 중간보고서- 한국철도공사 호남선 익산역 구내 제1157호와 제1160호 새마을호 열차 열차 충돌 2017년 6월 27일)를 읽고 몇 가지 이해 안 되는 부...

필자가 회의록의 대부분을 원문 그대로 채록하였으며 반복적 문구나 어렵게 말하는 부분은 가독성을 위하여 평이한 문장으로 바꿨다. 해석이 안 되는 부분은 **으로 처리했다. '입환작업'은 철도 차량을 분리, 연결, 이동...

저는 보성역에 근무하는 유균입니다. 굳이 이렇게 실명으로 쓰는 이유는 글에 대한 책임 때문입니다. 글을 읽는 분도 단독입환에 대하여 곰곰이 생각하시기 바랍니다.(입환작업 : 차량의 연결 순서를 바꾸기 위해 2개 이상...

2종작업 (앞 회의 글 링크)
2종작업은 자갈 사이에 흙이 25%가 넘으면 ‘크리너’라는 장비로 자갈과 흙을 모두 퍼서 걸러 흙은 호파카에 싣고 자갈은 다시 철길에 넣고 모자라는 자갈은 다시 살포하는 작업입니다...

철길이 처음에 부설될 당시와 같이 계속 유지되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철길은 서서히 변형되기 시작합니다. 그 변형을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중장비들이 동원됩니다. 물론 인력으로도 할 수 있...

대부분의 철길에는 자갈이 깔려있습니다. 그 이유는 흙이나 모래보다 물 빠짐이 좋고, 철길을 단단히 고정시켜 열차의 무게를 분산시키기에 알맞기 때문입니다. 또 지하철처럼 자갈 말고 아예 시멘트로 고정을 시키기도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