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독일 통일을 이틀 앞둔 1990년 10월 1일 조지 H.W. 부시 전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냉전 종식을 선언했다. 1991년 2월말 다국적군은 페르시아만 전쟁(걸프전) 승리를 선언했고, 8월에는 소련 쿠데타가...

탈냉전 시대는 저물고 있는가? 저명한 역사학자와 백악관은 탈냉전이 끝났다고 한다. 냉전사 연구에서 처음으로 탈수정주의(후기수정주의) 해석을 시도했고, 전통주의의 문을 새롭게 연 예일대 존 루이스 개디스 교수는 지난...

남북관계가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 빠져들고 있다. 북한은 지난 11월 2일 하루 동안에만 적어도 23발 이상(한국 합참 기준 25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과 지대공 미사일을 동해상과 서해상을 향해 발사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대만을 둘러싼 미중 갈등의 심화 등 국제질서의 전체적 틀이 흔들리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과거의 국제질서에 대해 배경, 구성, 유지, 위기, 평가 등에 대해 짚어보는 배인선 선생의 글이다...

* 국방칼럼 연재 링크
지난 7월 4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인근 하이랜드파크시에서 대규모 총격이 발생해 7명이 목숨을 잃고 46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체포된 21세 용의자는 미국 독립기념일 시가행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벌써 100일을 넘어섰다.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루한시크주의 임시행정 수도 역할을 하는 세베로도네츠크에서 치열한 시가전을 펼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6월 9일 텔레그램을 통해 세...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결과는 ‘이명박2.0’과 ‘오바마2.0’으로의 회귀로 요약된다. 윤석열 행정부가 내건 ‘글로벌중추국가(Global Pivot Korea)’구상에서는 이명박 행정부의 외교...

적을 ‘압도’한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압도’는 우리 측이 군사적 우위를 앞세워 상대의 저항의지를 꺾는 것이다. 적은 휘하에 있는 병력과 장비와 전술로 우리 측이 가진 능력을 제압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동요...

북한이 대륙간탄도탄(ICBM) 시험 발사를 재개했다. 지난 1월 20일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김정은 총비서는 “미국의 적대시 정책과 군사적 위협”을 비판하며, “신뢰구축조치들...

관련된 글 '우크라이나의 '고도'를 기다리며' '에티엔 발리바르 인터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전면전쟁이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국가 간 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