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이 글은 10월 7일 부산에서 열린 태평양핵피재지원센터 하타지부 관계자들과의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의 정세와 관련한 세미나에서 발제한 글을 필자 동의를 얻어 게재한다. 세미나가 열리던 날은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방...

평창올림픽의 냉각기 이후 남북-북미 등 한반도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한 임필수 씨의 글을 게재한다. 사회진보연대 '오늘보다'에도 같이 실렸다. <편집자>
----...

전쟁이 언제라도, 우리가 모르게 시작될 수 있다
‘몇 시간 안에’ 미국과 북한이 군사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말 그대로 ‘폭탄발언’이다. 지난달 2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기조연설자로 참여한 미 전략국제문제연...

2010년 브라질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된 지우마 호세프(노동자당, PT)는 2016년 8월 상원의 탄핵투표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집계된 국영석유기업 페트로브라스의 비자금 ...

이 글은 사회진보연대 기관지 <오늘보다>에도 동시에 실리는 글이다. 트럼프 당선 및 탈세계화 흐름이 동아시아와 한반도에 미칠 심대한 영향에 대해서 글이 이어질 계획이다. <편집자>
------...

미국 차기 정부와 북한의 관계가 화해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낙관적 희망을 경계하고 오히려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를 담은 글이다.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비해 핵 반대와 평화를 옹호하려는 행동이...

이 글은 사회진보연대가 발간하는 월간지 <오늘보다> 4월호에 동시에 실린다.<편집자>
------------
북한 핵실험 이후, 평화협정 문제가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일본 참의원을 통과해 ‘전쟁 법안’이라고 비판을 받고 있는 안보관련 법안이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다. 안보관련 법안은 현행 일본 헌법이 부정하고 있는 집단자위권 등을 행사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로 야당과 시민사회...

최근 일본 참의원을 통과해 ‘전쟁 법안’이라고 비판을 받고 있는 안보관련 법안이 국제적 관심을 받고 있다. 안보관련 법안은 현행 일본 헌법이 부정하고 있는 집단자위권 등을 행사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로 야당과 시민사회...

1회 기사 <사드 미사일, 미국의 핵전쟁을 위한 무기체계-1>
미국의 동아시아 MD 계획과 사드
그렇다면 미국은 사드를 한국에 배치한다는 구상을 언제부터 세웠을까? 1999년 5월 미 국방부가 의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