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카테고리

앞 회의 글 "현대 서울의 '지하공간' 개발"
광화문 또는 세종로라는 장소의 중층성
광화문은 경복궁 정문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인 동시에, 세종로와 광화문광장을 비롯한 그 일대를 통칭하는 대유법적 이름이다. ...

지난 글 "20세기 서울 도축장의 역사"
오늘도 나는 지하공간을 경험한다
흔히 도시를 상상할 때 지상 위에 건설된 모습만을 상상하곤 한다. 특히 현대에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뻗은 고층빌딩들의 숲과 사방으...

앞 회의 글 [근현대 동아시아 도시]‘이민자 보호도시’ 샌프란시스코, 그 출발은?
마장동축산물시장. 축산물 단일품목을 취급하는 시장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전국 소고기 유통량의 9.8%가 이곳을 거쳐...

낭만과 다양성의 도시 샌프란시스코
선명한 주홍색 금문교와 가파른 언덕을 오르내리는 케이블카. 1960년대 미국 반전운동과 히피문화로 대표되는 반체제·반문화 운동이 시작된 곳. 지금은 차이나타운, 재팬타운, 러...

전 회의 글 "근대 도시와 오물 이야기"
미나마타병의 원인
미나마타병(水俣病)이란 구마모토현 미나마타만 주변에서 신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이하, 일질. 질소)에 의해 일어난 유기수은 중독의 공해병이다. 일질이...

앞 회의 글 "중국의 생태도시, 그 이후"
1890년대 초 한국과 일본을 방문한 새비지 랜도어(Arnold H. Savage Landor; 영국의 화가, 탐험가)는 한국의 도시는 불결한 반면, 일본의 도시는 청...

현재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도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이 수치는 변화하겠지만 많은 수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아무래도 난 돌아가야겠어.
이곳은 나에게 어울리지 않아.
화려한 유혹 속에서 웃고 있지만
모든 것이 낯설기만 해.”
- <서울 이곳은> (장철웅 작곡, 김순곤 작사)
위 노래는 1994년 문...

한국언론재단DB를 통해 살펴보면 도심의 호텔에서 바캉스를 즐기는 ‘호캉스’라는 신조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2005년경이다. 물론 1985년 이미 ‘도심 호텔의 즉석 피서에 눈길’이라는 제목으로 호텔 수영장에서 인스턴...

앞 회의 글 "전쟁 전 오키나와 도시, 슈리와 나하, 나하와 슈리"
19세기 중반 구미 열강들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표방한 것은 ‘무형의 제국’이었다. 타 열강의 정치적 경계심을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통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