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편집자> 일본 오키나와 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흐름과 운동에 대해 살펴본다. 오키나와의 문제는 오래된 현재의 이야기이고, 우리와 무관한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과 한반도, 아시아 인민들과 연관된 문제...

2011년 싸늘한 뉴욕의 10월 밤 백발의 한 노인이 기타를 손에 들고 맨해튼의 무대에 올랐다. 무대 주위에는 미국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과 금융자본의 탐욕에 항거하여 ‘월가 점령’을 외치며 몰려든 시민들로 가득했다....

8월 15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함으로써 한반도가 식민지 지배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인 광복절이다. 일본에서는 종전기념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날은, 예를 들면 우리가 북한과 유엔...

오스프리, 차별의 상징 수 0.6%와 75%
지난 3, 4월에 실시된 한미 합동군사훈련은 ‘최첨단 무기의 전시장’으로 일컬어질 정도로, 핵폭탄 탑재 가능한 B52전략폭격기나 B2스텔스 폭격기, F22스텔스 전투...

2013년 동아시아, 핵무기 전폐 성명 불참하다
지난 4월 24일 NPT(핵확산금지조약) 2015년 재검토회의를 앞두고 열린 제2회 준비위원회에서 남아프리카와 스위스 등의 주도하에 핵무기 폐기를 호소하는 「핵무...

북핵은 미국을 겨냥하고 있다
북한에는 미국의 핸포드나 러시아의 첼랴빈스크, 일본의 롯카쇼무라 같이, 제대로 플루토늄을 분리할 수 있는 핵 재처리공장은 없기에 정말로 핵 보유국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길은 없지...

북한 도발을 낳는 토양과 비료
2012년 12월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와 2013년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안 채택, 2월의 3차 핵실험, 3월의 안보리 추가 제재안 채택,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 선언, 한미연합훈...

by 임경화/ <나는 사회주의자다:고토구 슈스이 선집> 역자 / 2013년 02월 27일 /
일반기사
* 반제 반핵 반전평화 운동의 흐름이 동아시아에서도 있었다. 일본의 진보세력들과 북한도 한 때는 그런 기조와 방향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연대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북한은 핵 무장으로 나아가고, 일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