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6] 기억하라,
    잊지 않겠다는 그 약속
    [세월호 참사 2주기 기고] 기억, 약속, 행동
        2016년 04월 08일 05:05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연재 설명]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2년이 다가옵니다. 304명의 희생자들을 위한 참사의 진상규명과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9명의 미수습자가 하루빨리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세월호 가족과 시민, 단체들이 함께 꾸린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약칭:4.16연대)는 2주기를 맞이하여 참사를 기억하고 행동하기 위한 이야기를 여러 차례에 걸쳐 기고합니다. 이번 연재는 여러 인터넷 언론사들에 동시 게재됩니다. 오는 9일 저녁 7시 약속콘서트, 16일 참사 2주기 행사에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2014년 4월 16일 9시 진도 앞바다. 세월호가 바다 한가운데 갑자기 멈추었다. 2시간 후, 배는 선수만남긴 채 바다 속으로 모습을 감춘다. 불과 두 시간 남짓, 304명의 목숨이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이었다. 배안에 갇힌 사람들은 끝내 밖으로 나오지 못했고 선원과 해경은 그런 그들을 가만히 보고만 있었다.

    1년 후 대통령이 팽목항을 찾았다. 유가족은 그를 향해 “추모할 자격이 없다”며 분향소의 문을 걸어 잠궜다. 대통령은 바다 바람을 맞으며 길거리에서 발표문을 읽어야 했다. 분향조차 못한 대통령은 서둘러 외국행 비행기에 올랐고 남겨진 국민들만이 희생자를 기리며 눈물을 닦았다. 참사 1주기를 맞이하여 개최하려던 추모행사는 모두 취소되었다. 몇 달 동안 준비했던 행사였고 수천 수만의 사람들이 참여하기로 약속한 행사였다.

    참사 직후 유가족과 국민들의 요구는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였다.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들이 제기한 요구는 시행령안의 폐기와 온전한 선체 인양이었다. 2015년 4월 16일 대한민국의 크고 작은 마을 어디서든 사람들은 같은 목소리로 같은 것을 요구했다. 제2의 세월호를 막기 위해 필요한, 304명의 억울한 죽음을 헛되게 만들지 않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였다.

    다시 일 년이 지났다. 그 사이 많은 일이 일어났지만 변화는 크지 않았다. 선원과 해경이 재판을 받았고 세월호 인양도 준비 중이지만, 특별법과 시행령은 여전히 엉망이고 애써 만든 특별조사위원회도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단원고 교실의 존치 문제로 인한 갈등은 거의 폭발 직전이다. 2년이 지난 지금, 진상규명은 시작조차 못했고 세월호의 진실은 여전히 바다 깊이 묻혀 있다.

    세월호의 침몰과 함께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이 얼마나 위험한 곳인지 분명히 보았다. 침몰의 원인을 찾아낼 때마다 이 땅에 발 딛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우리는 깨달았다. 그리고 지난 2년 이 땅에, 내 주위에 인간의 얼굴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우리는 매일매일 확인해야 했다. 그렇게 2년의 시간이 흘렀다.

    2016년 4월. 죽은 자들은 여전히 고통과 분노로 괴로워하고 있는데 산 자들은 벌써 세월호를 잊으려 한다. 그럴 수 있는 일이 아닌데도, 그래서는 안 되는 일인데도, 그들은 세월호를 이미 지나가버린 일로, 신문 기사로만 존재하는 과거로 대하려 한다. 9개의 육신이 여전히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데도 사람들은 진도와 안산과 광화문을 무표정한 얼굴로 지나친다.

    참사의 원인을 은폐하고 유가족을 폄훼하는 자들과 힘겹게 싸우던 세월호의 사람들, 이제 그들은 시간과의 싸움에 온 몸을 던지고 있다. 언젠가 잊히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시간이 더 흐르면 304명의 목숨이 마치 처음부터 없었던 목숨인양 취급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그런 낯선 두려움 때문에 세월호의 사람들은 목청이 찢어져라 소리친다. 잊지 말라고, 잊어선 안 된다고, 잊지 않겠다는 약속을 잊지 말아 달라고.

    그 약속을 지키는 것, 눈앞에서 멀어져 가는 세월호를 두 손으로 붙잡는 것, 그것이 우리가 우리의 이웃을 이웃으로 만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 아닐까?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고통에 응답하는 것, 그것이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인간의 얼굴을 잃지 않고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리라. 세월호를 보고 세월호를 생각하고 세월호를 말하는 것, 그것이 ‘지금 여기’의 우리가 짐승이 되지 않을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리라. 시간과 망각 안에 세월호를 묻어버리지 않는 것, 그것이 남겨진 사람들이 감당해야 하는 당연한 몫이리라.

    1년 후에도 10년 후에도 우리는 분명 세월호를 만나게 될 것이다. 안산에서든 광화문에서든 전국 어디서든 우리는 세월호를 보게 될 것이다. 유가족의 요구가 모두 이루어진다 해도, 그런 기적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해도, 세월호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몇 년 몇 십 년 후 우리가 만나게 될 세월호 앞에서 조금이나마 덜 부끄러울 수 있으려면, ‘지금 여기’의 우리가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다짐을 몸으로 옮겨야 한다. 가만히 있다가 당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온 마음을 다하여 세월호를 가슴 속에 받아들여야 한다.

    바쁜 일상과 거짓된 욕망과 섣부른 패배의식으로 세월호를 덮어버린다면 세월호에서 시작된 비명은 결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세월호의 목소리를, 그 처절한 통곡 소리를 대면하지 않는다면 우리 자신의 생명도 언제고 비명과 함께 사라지게 될 것이다. 만일 우리가 세월호를 또다시 침몰시켜버린다면 대한민국의 침몰은 결코 피할 수 없는 일이 될 것이다.

    우리는 세월호를 이 땅 곳곳에 담아 두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한반도가 지속되는 한, 세월호가 영원히 기억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우리는 세월호를 가슴 속에 새겨 넣어두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이 땅에 사람이 사는 한, 세월호가 영원히 기억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부처의 모습을 산 덩어리만한 바위에, 산에 있는 바위에 담았던 우리의 선조들, 바로 그들처럼 우리는 세월호를 대해야 한다. 304명의 목숨과 수천의 유가족과 수많은 시민들, 그들이 흘린 눈물이 사라지지 않도록 우리는 세월호를 영원의 시간에 새겨야 한다.<끝>

    photo_2016-04-08_13-37-02

    도보

    다시, 봄…기억하라! 행동하라!
    세월호참사 2주기 ‘기억과 약속 행동’

    4월 9일(토)

    기억과 약속 동서남북 걷기_오후3시 / 신답역,홍대정문,용산역광장,한성대입구역

    약속콘서트_저녁 7시 / 광화문 북단광장(서울광장에서 변경되었습니다)

    4월 16일(토)

    416가족협의회 세월호 참사 2년 ‘기억식’_오전10시~12시(정오) / 안산 합동분향소

    416걷기 “진실을 향한 걸음”_오후2시~4시 / 안산 합동분향소 집결 (1시 접수)

    버스킹_세월호를 노래하고 이야기하는 뮤지션과 작가들, 영화 상영_2시~5시 / 광화문 중앙광장 (세종대왕상 앞)

    전국집중 범국민 추모문화제_오후7시 / 광화문 중앙광장 (세종대왕상 앞)

    필자소개
    한성대 교수, 철학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