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지지율 하락세 지속
    역사교과서 국정화, TK에서도 ‘반대’ 앞서
        2015년 11월 02일 04:42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한중일 정상회의 소식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또 떨어져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크게 앞질렀다.

    국정화 논란 속 보수 집결했지만 부정평가 50%대 진입

    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2015년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주간집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1주일 전 대비 2.4%p 빠진 44.5%(매우 잘함 17.7%, 잘하는 편 26.8%)로 2주 연속 하락했다. 부정평가는 1.3%p 오른 50.0%(매우 잘못함 35.7%, 잘못하는 편 14.3%)로 50%대를 넘어섰다. ‘모름/무응답’은 1.1%p 증가한 5.5%.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중도층(▼5.4%p)과 진보층(▼3.3%p), 새정치연합 지지층(▼4.0%p)과 무당층(▼4.8%p), 30대(▼5.1%p)와 40대(▼4.9%p)에서 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층(▲3.9%p)과 새누리당 지지층(▲2.4%p), 대전·충청·세종(▲5.1%p)에서는 오히려 지지율이 올라 국정화 논란이 일부 보수 집결의 결과도 가져왔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상승에 그간 효자 노릇을 해왔던 외교 활동도 이번만큼은 지지율 상승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한·중·일 정상회담 보도가 나온 28일 46.1%로 올랐으나, 다음 날 29일에는 다시 44.2%로 하락했다. 정상회담 직전 시정연설을 통해 국정화에 대한 강력 의지를 밝히기도 했지만 이 또한 지지율은 큰 영향을 주진 못했다.

    정당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전 주 대비 0.8%p 하락한 40.6%, 새정치민주연합은 2.5%p 반등한 27.2%다. 정의당은 0.9%p 하락한 4.8%를 기록했다. 무당층은 1.9%p 감소한 23.9%.

    이번 주간집계는 2015년 10월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644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임의걸기(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응답률은 6.4%(전화면접 18.9%, 자동응답 5.0%)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9%p이다.

    박근혜 대통령 핵심 지지층인 TK·50대도 국정화 반대로 돌아서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대구·경북과 50대에서도 압도적 찬성 여론이 깨졌다.

    이날 <내일신문>이 여론조사기관 <디오피니언>에 의뢰해 지난 1일 전국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찬반 여론을 물은 결과, 찬성은 32.3%에 그친 반면, 반대는 배 가까이 높은 59.0%로 조사됐다. 무응답은 8.7%다.

    지역별로 보면 기존의 박근혜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층이었던 대구·경북 지역에선 처음으로 국정화 반대 여론이 더 높게 조사됐다. 대구·경북은 반대 50.7%, 찬성 39.6%였고, 부산경남에선 반대 41.9%, 찬성 40.4%이었다.

    특히 연령별 조사에서 국정화를 지지해왔던 50대도 국정화 반대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 반대 84.3% ▲30대 반대 81.1% ▲40대 반대 66.1%로 집계됐고, 50대에선 반대 48.0%, 찬성 45.7%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에선 찬성 57.5%, 반대 22.4%다.

    국정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힌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서 ‘공감한다’는 답은 39.0%,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4.1%로 였다. 국정교과서의 부실-편향성을 우려한다는 역사학계의 견해에 대해선 67.1%가 ‘공감한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23.6%에 그쳤다. ‘정권이 바뀌면 국정교과서 체계가 재논란이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엔 69.1%가 ‘그렇다’로 답해, 국민 다수가 ‘시한부 교과서’를 우려하고 있었다.

    이번 여론조사는 유선전화면접조사(46.1%)와 모바일 활용 웹조사(53.9%)를 병행했으며 응답률은 25.3%,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p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