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제징용 일본 산업시설,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
    야당들, 정부의 자화자찬과 일본 태도 비판
        2015년 07월 06일 12:43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으로 논란이 됐던 일본 근대 산업시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독일 본 월드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39차 회의에서 일본 정부가 미쓰비시 조선소를 포함해 근대화 산업시설 23곳을 하나로 묶어 등재 신청한 산업유산 시설들을 세계유산에 등재했다.

    이날 등재된 산업유산 23곳 중 총 7개소는 태평양전쟁 중에 조선인이 대규모로 강제동원돼 혹사된 곳이다.

    한국과 일본은 ‘강제 노역’이라는 표현을 포함할 것인지를 두고 막판 협상을 벌였고 일본이 주석을 통해 이 표현을 명시함에 따라 전체 21개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만장일치로 등재안이 통과됐다. 이에 우리 정부는 일본의 ‘강제 노역 첫 인정’이라며 “외교 노력으로 이뤄낸 값진 성과”라고 평가했으나, 일각에선 지나친 자화자찬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6일 국회 브리핑에서 “애초에 일본이 강제징용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논의조차 이루어질 수 없게 외교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응했더라면 오늘의 상황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뒤늦은 수습을 위해 부득이하게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을 마치 외교적 성과인 듯 과대포장 하는 외교부 장관의 안일한 상황인식에 놀라움을 금할 길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게다가 ‘강제징용’ 명기가 현실화되기까지 아직 가야할 길이 멀고,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로 약속을 이행할지도 의구심이 든다”면서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되자마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조선인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라는 발언을 언급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강제징용’ 문구 하나 얻었다는 사실에 만족하며 외교적 성과로 자화자찬하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피해자들의 끝나지 않은 고통 해결에 진지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며 “일본 정부도 세계유산에 등재됐다고 해서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의 책임이 결코 가벼워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문정은 대변인도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일본 측은 등재 결과 발표에서 본문이 아닌 주석을 통해 이 시설들이 조선인 강제노역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의 주체는 언급하지 않았다”며 “일본군 위안부가 인신매매라고 말한 아베 총리의 발언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인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라는 일본의 주장을 언급하며 문 대변인은 “일본 국내에서는 강제노역을 언급한 부분을 ‘일하게 됐다’는 식으로 물타기 하는 등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아베 정부의 과거사에 대한 퇴행적 태도는 단 한 치도 나아지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이번 일이 적극적인 외교적 성과라면서 자화자찬을 늘어놓고 있다”며 “애당초 일본이 자국의 산업시설들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겠다는 움직임을 드러냈을 때는 손을 놓고 있다가 뒷북치듯 허겁지겁 대응하니 겨우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과거사에 대한 진솔한 반성 없이 어떻게 평화로운 미래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인가.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를 비롯해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솔직히 인정하고 일본 국민들에게 제대로 교육해야 한다”며 “아프고 부끄러운 역사도 인정하고 피해자들에게 진솔한 사죄를 해서 용서를 받는 것이 미래로 나아가는 기초이다. 일본 정부는 이 사실을 분명히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강제노역이라는 표현을 반영한 것은 ‘성과’라는 점은 인정하되, 일본이 ‘강제 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을 바꾼 것에 대해선 유감을 표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우리 정부가 일관되게 주장해온 ‘역사적 진실의 온전한 반영’이 이번 등재 과정에서 채택된 데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노역의 강제성이 이중으로 표현되어 있는 등재 결정문을 놓고도 그 의미를 깎아 내리려는 일본 외무상의 행태가 걱정스럽다. 일본이 국제적으로 ‘강제 노역’을 인정하고도, 국내용으로 딴소리하는 것은 역사적 진실을 외면하는 꼼수”라고 질타했다.

    박 대변인은 “일본은 국내용 물타기를 즉각 중단하고 인포메이션 센터 등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약속을 충실히 이행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도 일본이 약속한 후속조치들을 빈틈없이 이행하도록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