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볼라 공포 확산
    “공포가 아닌 사실을 따라야”
        2014년 10월 27일 04:26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세계보건기구(WHO)는 23일 기준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자가 1만 명을 넘어섰고, 이중 4,92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까지 효과적인 백신이 보급되지 않으면서 전 세계가 에볼라 공포에 휩싸이고 있는 가운데, 방역 대책이나 의료봉사자들에 대한 인권침해, 인종차별 등의 문제도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24일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서 의료봉사를 마친 뒤 미국으로 돌아온 미국인 간호사 케이시 히콕스는 ‘21일간 의무격리’가 인권침해라며 소송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뉴욕, 뉴저지, 일리노이 주는 서아프리카 에볼라 발병 주요 3개국에 에볼라 감염 및 의심 환자와 접촉 후 귀국한 모든 의료진과 여행객에 대해 21일간의 의무격리를 명령했다.

    그녀는 26일(현지시간) <CNN>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제대로 된 격리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곳에서 TV나 읽을거리도 없이 지내고 있으며, 변호사 접견도 허락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누군가는 에볼라 치료와 확산 방지를 위해 일해야 하지만 이를 담당하고 있는 의료진에 대해서조차 제대로 된 대접보다는 격리 대상으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조차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을 손가락질하거나 피하는 등의 차별이 자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에볼라

    방송화면 캡처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제대로 된 방역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아프리카 출신의 여행객들을 전면 통제해야 한다는 여론이 심심치 않다. 지난 8월 UN여성기구와 덕성여대가 공동주최한 ‘제2차 차세대 여성 글로벌 파트너십 세계대회’에 아프리카 국가 학생이 포함됐다며 행사 중단을 요구하는 여론이 빗발쳤었다.

    21일간의 의무격리 조치를 정한 미국의 3개 주조차도 발병 주요 3개국 중 감염이나 의심환자와 접촉한 이들에 대해서만 격리 조치를 했지만, 한국의 여론은 아예 입국 자체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태원의 한 술집은 ‘에볼라 바이러스 때문에 아프리카인은 출입을 금한다’는 공지를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피부색만으로 아프리카인을 구별 짓고 차별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였다.

    이달 20일부터 부산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회의에 에볼라 발병국을 포함한 3천여 명의 대표단이 참석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 여론은 높았다.

    특히 에볼라 감염자 발생 상황을 ‘가정’한 대응훈련이 실제로 에볼라 의심 환자가 나왔다는 기사로 보도되면서 공포는 더욱 확산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서아프리카 에볼라 지역에 의료단을 파견하기로 하자 국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졌다. 의료진이 감염될 경우 입국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까지 쏟아졌다.

    그러나 국제적 의무를 방기하고 한국만 의료진 파견을 미룰 수는 없는 일이다. 오히려 의료진들이 최적의 조건에서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만일에 발생할 감염과 전파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더 집중해야 할 때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25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주례연설을 통해 “지금까지 에볼라 치료를 받은 미국인 7명이 모두 살아있다는 것을 기억하라”며 “공포가 아니라 사실을 따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