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정권 해외자원외교,
    캐도 캐도 또 나오는 부실
    김제남 “캐나다 정유공장도 2조5천원억 매각 손실”
        2014년 10월 13일 11:23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한국석유공사가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외교의 일환으로 사들인 캐나다 소재 정유공장(North Atlantic Refining Limited, NARL)의 매각 손실이 당초 알려진 것과는 달리 2조 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이명박 정부는 해외자원외교의 일환으로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의 정유공장인 NARL을 포함해 모회사인 하베스트(Harvest Operations Corp.)를 4조원에 인수했다.

    자회사인 NARL의 경우 9,000억 원에 사들였는데, 이를 지난해 8월 1일 투자자문회사로 알려진 실버레인지(SiverRange Finacial Partners)에 매각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 매각조건을 밝히지 않아 일부 언론은 매각대금이 1천억 원 가량으로 최초 인수 금액대비 8천억 원 가량의 매각 손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그러나 정의당 김제남 의원(산업통상자원회위원회)이 13일 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매각 대금을 최대 1천억 원으로 가정하고, 최초 인수금액인 9천억 원과 1조7천억 원에 달하는 부채를 더할 경우 매각 손실은 2조5천억 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1조7천억 원의 부채는 NARL이 외부로부터 자금조달이 불가능하면서 모회사인 하베스트(Harvest Operations Corp.)로 차입한 자금이다.

    KNOC-Newfoundland-680x365

    NARL의 모습

    NARL 인수 후 매출 1.5배 증가, 당기손순실은 오히려 급증…왜?
    김제남 “하베스타 인수과정에서 막대한 자금 빼돌려졌을 가능성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석유공사가 하베스트를 인수, 운영, 매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많은 의혹이다. 김 의원은 “하베스트 인수과정에서 막대한 자금이 빼돌려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인수 당시 하베스트 지분 구조는 경영진이 4.04%, 기관투자자가 9.9%, 일반 투자자가 86%를 소유하며 토론토 및 뉴욕에 상장된 시가총액이 1조2천억 정도의 회사였다. 즉, 적게는 600억 원을 들여 5%의 지분만을 매수하면 경영권이 확보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석유공사는 4조 원이 넘는 돈을 들여 100% 지분과 채무 전액을 사들였다. 당시 주식인수에 들인 돈은 1조8천억 원, 부채에는 2조3천억 원을 썼다.

    인수 후 NARL의 운영 또한 석연치 않다는 것이 김 의원의 지적이다. 석유공사가 100% 지분으로 인수함으로써 상장이 폐지되면서 회사 실체가 베일 속에 가려졌다.

    그런데 NARL의 재무구조를 살표보면 2010년 매출은 3조 원, 2011년은 3조2천억 원, 2012년 4조7천억 원, 2013년 4조4천억 원으로 매입 당시 대비 1.5배나 늘어났는데도 당기순손실은 2010년 960억 원, 2011년 1060억 원, 2012년 6290억 원, 2013년 6340억 원으로 오히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석유공사 측은 이러한 당기순손실에 대해 세계시장의 석유정제 마진 하락을 이유로 설명했지만, 김 의원은 “손실의 대부분은 영업외 손실로 인한 것”이라며 “회사 자금이 엉뚱한 데로 줄줄 새어나간 것이 아닌지 규명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NARL은 손실이 늘어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매각 직전까지 노후시설 유지보수라는 목적으로 매년 300억 원~2,120억 원 총 3,500억 원을 쏟아부었다.

    NARL 매수한 ‘실버레인지’, 직원 2명 있는 ‘유령회사’
    석유공사, ‘계약상 약속’ 핑계대며 NARL매각계약서 자료 제출 거부

    상황이 이런데도 석유공사 측은 김 의원이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을 요구한 NARL 매각계약서 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매매계약 체결 당사자의 계약상 약속 때문이라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김 의원은 “당사자간 비밀준수의무는 일반적인 계약에 수반하는 평범한 조항에 불과하고, 국정감사와 같은 법적 의무에 따라 제공하는 것은 면책에 해당되기 때문에 해당 거래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반박했다.

    특히 김 의원은 “매수자인 실버레인의 실체도 불분명하다. 석유공사는 이 회사가 ‘미국계 상업은행’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확인한 바에 따르면 2012년에 설립되어 투자자문을 하는 개인회사이며 2명이 고용되어 매출이 10만불 밖에 되지 않은 유령회사”라고 지적했다.

    김제남 “MB 해외자원외교 청문회로 사실 규명과 책임 추궁 필요”

    NARL를 포함한 하베스트 인수는 당시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이 주도했다. 서문규 현 사장은 당시 부사장이었다. 이들 두 사장이 인수와 운영, 매각 과정의 책임자이다.

    특히 강영원 전 사장은 MB해외자원외교의 오른팔로, MB정부 출범 직후인 2008년 8월 부임해 2012년 중반 감사원의 감사결과 발표 즈음에 돌연 사임할때까지 3년여 동안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또한 하베스트 인수 당시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관리감독의 책임자이다. 당시 지식경제부는 2008년 6월 ‘석유공사 대형화 방안’을 마련해 추진했으며, 하베스트 인수 후 ‘2억 배럴의 석유, 가스, 오일샌드 등을 확보해 자주개발률이 8.1%로 상승했다’는 내용의 정권 홍보를 벌린 바 있다.

    이미 밝혀진 볼레오 사업(관련기사 링크)의 ‘부도 은폐’에 이어 NARL의 ‘매각손실’은 국민혈세로 세계 도처에 황당한 사업을 벌려 막대한 국가적 손실로 이어지게 한 가장 큰 장본인은 이명박 전 대통령임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해 김 의원은 “볼레오 동광사업은 부도난 사업을 금융사의 채무까지 모두 떠안아 인수한 혈세 낭비 사례라면, 하베스트 매각은 막대한 채무를 탕감해 주며 매각한 비상식이 공통점”이라며 “두 사례 모두 막대한 국민혈세가 투입됐음에도 자금의 흐름이 매우 불확실하기 때문에 청문회를 통해 분명한 사실규명과 책임추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