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어원 답변 논란,
    "노동자 아니라 근로자가 적합한 말"
        2014년 04월 30일 05:03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국립국어원이 5월 1일 노동절에 국어생활종합상담 업무를 하지 않는다고 공지한 가운데 ‘노동자’는 ‘근로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해 빈축을 사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30일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5월 1일(목)은 근로자의 날로 국어생활종합상담실 및 온라인 국어종합상담 답변 업무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국립국어원 트위터를 통해서 이같은 내용을 공지했다.

    이에 한 트위터리안이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꾸어달라고 요청하자, 국립국어원측은 “노동절은 1963년 ‘근로자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한 ‘노동자’는 ‘근로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변했다.

    국어원

    트위터 내용 캡처

    그러나 노동계와 국회 역시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을 바꾸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는 가운데 국립국어원의 이같은 답변은 논란이 될 소지가 있다.

    앞서 정의당의 심상정 원내대표는 지난 2012년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꿀 것을 요구하는 개정안을 대표발의했으며, 국회 환노위에서조차 여야 모두 ‘고용노동부도 ‘노동’인 만큼 ‘노동절’로 바꾸자는 데 의견을 모은 상태이다.

    일각에서는 ‘근로자’라는 말은 일제의 잔재로 대표적으로는 ‘근로정신대’ 등 모멸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만큼 ‘노동자’라는 표현이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정호희 민주노총 선전홍보실장은 29일 “노동이라는 단어가 냉전과 분단을 지나면서 노동 자체가 불온시된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정작 북한에서는 근로자라고 사용한다”고 꼬집은바 있다.

    국립국어원측이 ‘근로자’가 더욱 적합한 말이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 네티즌들도 즉각 반발했다.

    네티즌들은 “노동자고 근로자고 그냥 노예로 통일하자”, “노동이 비속어냐”, “노동자를 어떻게 ‘다듬’어야 근로자가 되는 것이냐”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노동당은 이날 “노동당을 ‘근로당’으로 바꾸지 않겠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국립국어원의 인식수준이 군사정권시절에 머물러 있다는 것은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노동당은 “박정희 쿠데타정권은 노동자들의 권리를 억압하고 정권에 순치시키는 과정에서 ‘노동’이라는 말을 의도적으로 거세했다. 그 과정에서 ‘노동자’는 ‘근로자’가 되었고, ‘노동절’은 ‘근로자의 날’이 되었다”고 지적하며 “노동당은 우리의 자랑스러운 이름을 ‘근로당’으로 다듬을 생각이 전혀 없음을 국립국어원에 알린다”고 밝혔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