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 인도적 지원도 색깔론
    전교조‧교총 사업에 전교조만 시비
        2013년 11월 27일 01:09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문화일보>가 26일 “[단독]전교조 ‘대북성금 내면 학생봉사 인증’ 모금”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통합진보당 전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는 대북지원단체가 학생들 대상으로 북한에 보낼 자금을 모금해 송금한 학생들에게 봉사활동 확인서를 발급해왔다고 보도했다.

    <문화일보>는 이 사업을 전교조 소속 교사들이 주도했으며, 대북지원단체인 ‘콩우유사업본부’ 홈페이지에 한 고교의 학생들이 책상에 콩우유 저금통을 올려놓고 수업하는 사진도 올라와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들은 교육부의 학생봉사활동 지침의 ‘물품 및 현금 기부는 봉사활동 시간으로 환산해 인정할 수 없다’는 규정을 위반했으며, ‘콩우유사업본부’가 이영순 전 통합진보당(민주노동당)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는 ‘우리겨레하나되기 운동본부’ 산하 조직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다른 기사를 통해서도 “전교조 산하 통일위원회가 통일교육을 목적으로 북한에 콩우유 보내기 사업을 후원하고 있어 교원단체가 봉사활동 제도 악용을 묵인했다는 비핀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다른 기사를 통해서도 <문화일보>는 전교조 통일위원회가 ‘북과 유사한 주장’을 펼치는 곳이라며 색깔론 공세를 펼쳤다.

    <문화일보>는 “통일위원회의 사업 목표에는 남북 교원 교류와 협력사업의 안정화도 포함돼 있다”며 콩우유 저금통 모으기 사업이 통일사업 대중화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콩우유

    사진은 겨레하나 홈페이지

    전교조 “북녘 영유아지원 ‘콩우유’까지 색깔론을 활용?”

    하지만 전교조는 <문화일보>의 보도 중 사실관계가 어긋나는 것이 있다며 공개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27일 전교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기사들에 대해 “인도적인 북녘어린이콩우유지원사업과 전교조에 대해 사실을 왜곡하고 최근의 공안정국에 발 맞춰 시대착오적인 색깔론에 합세했다”고 반박했다.

    전교조는 ‘(사)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산하의 ‘콩우유사업본부’에 대해 “2005년 합법적으로 발족하고 통일부의 승인 하에 북한 영유아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 활동을 해왔다”며 “전교조와 한국교총은 통일부 승인하에 영유아들을 위한 콩우유 기계와 재료를 지원한 바 있다”고 밝혔다.

    <문화일보>는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가 통합진보당 전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는 것에만 초점을 맞췄지만, 실상은 통일부 승인하에 합법적으로 인도적 활동을 벌인 곳으로 보수성향의 교원단체인 한국교총 역시 북녘 영유아를 위한 콩우유 지원 사업을 벌였다는 지적이다.

    전교조는 ‘콩우유저금통모으기사업’은 전교조 주도하에 벌였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해당 사업은 학교 차원에서 진행한 것이며, 외부단체에서 요구하는 봉사활동 프로그램은 학교장과 봉사활동 담당부서가 결정하는 것이지 전교조가 주도할 사항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물품이나 현금 기부를 봉사활동 시간으로 인정할 수 없도록 하는 교육부 지침에 어긋난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전교조는 “콩우유사업본부의 봉사프로그램은 성금 기부뿐만 아니라 교육활동, 캠페인, 북녘어린이에게 보내는 엽서쓰기 등 다양한 활동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 학생들에게 교육과 활동을 묶어 진행하는 봉사활동프로그램은 가장 일반적인 봉사활동방식”이라며 “콩우유사업본부가 교육시간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무조건 3시간의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했다고 했지만, 교육과 활동이 실제 잘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활동이 이루어졌던 학교에서 1차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전교조는 “문화일보는 이 사업과 관련도 없는 전교조 통일위원회를 공격 대상의 중심에 삼고 북한과 유사한 주장을 하는 종북단체로 규정하고 있다”며 “문화일보는 전교조를 종북단체로 규정한 우익단체가 명예훼손 벌금으로 사법부의 철퇴를 맞았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기억하길 바란다”고 충고했다.

    아울러 “문화일보는 최소한의 사실조차 확인하지 않은 채, 북녘의 영유아들을 향한 청소년들의 애틋한 손길을 ‘대북 송금’과 ‘불법 인증’이라는 표현으로 호도한 것은 인도주의적 지원조차 색깔론으로 덧칠하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다며 공개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