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럼비 바위는 아무 말도 없습니다
    [작가들 제주와 연애하다-20]인간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
        2013년 04월 05일 10:20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 연재글을 모은 책 <그대, 강정>(북멘토)이 출간되었습니다. 4.3항쟁을 염두하고 4월 3일 출간한 이 책은 43인의 작가와 7인의 사진가가 참여했습니다. 제주 도민들에게 강정마을의 현실을 알리기 위해 시작한 작가들의 편지 연재는 처음 조정 시인이 제안하고 ‘제주 팸플릿 작가’들이 참여하면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오로지 강정을 향해 쓴 연애편지 모음집인 <그대, 강정>의 인세 전액은 팸플릿운동과 강정 평화활동에 쓰이게 됩니다. 책의 출간에 맞춰 북콘서트도 열립니다. 북콘서트는 2013년 4월 8일(월) 7:30분 홍대 가톨릭청년회관 ‘다리’에서 열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편집자>
    ————————-

    아름답다는, 세계 어디에서도 보기 어려운 희귀한 해안이 있다는 강정 마을. 아직 가 보지는 못했네요.

    제주도를 가 본 일은 있지만 행사에 묻어 간 것이지 여행하며 즐기지는 못했습니다. 제주도의 자연과 풍경은 들숨을 따라 들어오는 햇빛과 바람과 맑은 공기처럼 몸에 잘 흡수되었지요.

    작은 몸에 그토록 많은 열매를 매달고 있는 감귤나무며 자연스럽게 밭 가장자리에 쌓은 나직한 돌담이 정겹더군요.

    지난해 서울작가축제에서 외국 작가들과 함께 산굼부리에 갔을 때, 한 미국 시인은 굉장한 시적인 자극을 받고 있다고, 마음이 잠시도 쉴 수 없다고 감탄하더군요.

    저도 그랬습니다. 억새밭의 장관과 이끼에 덮인 푸른 화산석들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비자나무 숲은 오랫동안 깊은 곳에 잘 숨어 있다가 나타나서 원시적인 싱싱함과 깊이로 나를 감싸 주었지요.

    오래전 인제에 갔을 때 어떻게 주민들이 동강을 지켜냈는지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던 지인이 생각나네요. 개발될 대로 개발되고 망가질 대로 망가진 우리 산하에도 동강처럼 많은 이들이 힘을 합쳐 지켜낸 보물이 있지요.

    구럼비 바위에서 발파를 시작한 지 1년이 지난 강정 마을은 어떨까요? 사진으로만 봐도 구럼비 해안은 국토해양부와 제주도가 한때 절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만큼 아름답고, 아기자기하기도 하고 재미있기도 한 곳이군요.

    수천수만 년 자연이 만들어 놓은 작품이, 낮은 돌담처럼 자연과 어우러져 대대로 살던 인심이 또 망가지고 사라질 운명에 처했습니다. 분단국가의 아픔을 비무장지대에 가까운 마을이 아니라 가장 먼 곳에서 더 아프게 실감해야 하다니요.

    이제 구럼비 바위는 뚫리고 깨져서 빨리 치워 버려야 할 돌무더기가 되겠군요. 인간의 폭력 앞에서 자연이 대응하는 방식은 비폭력이요 침묵입니다.

    아무 말 없는 구럼비와 슬퍼하는 사람(사진은 강정마을 카페).

    아무 말 없는 구럼비와 그이의 파괴에 흐느끼는 사람들(사진은 강정마을 카페).

    아무리 무자비하게 개발해도 자연은 결코 말을 하지 않으며 비명을 지르지 않습니다. 폭발물과 포클레인이 파헤치는 대로 전기톱이 자르는 대로 시멘트로 싸 바르는 대로 자연은 오랜 세월 지켜 온 제 순결한 몸을 순순히 인간에게 내어 줍니다.

    인간은 이 침묵을 개발에 대한 자연의 묵시적 동의로 오해하고 자연을 이용할 권리를 자신에게 부여했습니다.

    그러나 이 침묵이 얼마나 무서운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나 무서운 속도로 녹고 있는 남극의 빙하나 치유할 수 없을 만큼 오염된 땅과 강과 하늘이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파괴당하면서도 구럼비 해안의 바위와 동식물 들은 조용합니다. 바위가 얼마나 아름답고 보전가치가 큰 것인지, 사람들이 찾아와 얼마나 좋아했는지 알아달라고 하지 않습니다. 해군기지가 과연 우리나라 안보에 꼭 필요한 것인지 묻지 않습니다.

    필요하다 하더라도 그 장소가 강정 마을이어야만 했는지, 최적의 장소를 고르는 절차는 민주적이었는지, 비명과 한탄과 울음소리가 나도록 힘으로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는 않았는지 따지지 않습니다.

    군사기지가 강정 마을에 국한하지 않고 앞으로 청정 제주도의 얼마나 더 큰 지역을 훼손하게 될지 걱정하지도 않습니다.

    보다 많은 사람의 지혜를 모았다면, 더 적합한 장소에 자연을 덜 훼손하고 주민들에게 덜 상처를 주고도 해군기지를 만들 수 있지 않았겠느냐고 항변하지도 않습니다. 고분고분하게 파괴되어 줄 뿐입니다.

    훼손된 채 본래대로 회복되지 않음으로써, 폐허와 병든 흉물을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구럼비 바위는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생겼는가를 거울처럼 비춰 보여 줄 것입니다.

    망가진 구럼비 바위는 바로 나의 모습이고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아무리 기괴하게 망가져도 괴물이 되는 것은 구럼비 바위가 아니고 우리 자신입니다. 그러므로 구럼비 해안을 살리는 일은 자연을 살리는 것이기에 앞서 바로 우리 자신을 살리는 일일 것입니다.

    김기택 : 시인.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김수영문학상, 미당문학상, 현대문학상 등 수상. 시집 『갈라진다 갈라진다』, 『바늘구멍 속의 폭풍』 등.

    필자소개
    시인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