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바다 구럼비 이야기
    [작가들 제주와 연애하다-16] '이 길을 지킬 수 있을까'
        2013년 03월 22일 04:08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이 자의 두뇌를 20년간 멈추어야 한다.”는 유명한 판결문과 함께 안토니오 그람시가 20년 넘는 형을 받고 파시스트들의 감옥에 있을 때, 유럽의 수많은 지식인들이 구명운동에 나섰습니다. 로맹 롤랑이 지속적으로 만들어 배포한 팸플릿 역시 크게 힘을 발휘하였습니다.

    “이성으로 비관하더라도 의지로 낙관하라”

    이 유명한 경구는 로맹 롤랑의 글 <지성의 비관주의, 의지의 낙관주의>를 그람시가 요약한 것입니다.

    제주도 강정마을의 600명이 넘는 주민,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연행, 구속, 투옥, 벌금 사태 뒤에는 불법 공사 상황이 있습니다, 주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강제 과정, 전쟁을 도발하는 안보 기지, 민군복합항이 입증되지 않은 설계도, 환경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공사, 인권 유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불법 요인에 대해 제주 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 주요 언론은 입을 다물거나 사실을 왜곡해 왔습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 해군 설계요구에 의해 미군 핵항모가 입항할 규모로 설계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2년 9월, 장하나 국회의원이 밝혀냈습니다.

    모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과 작가들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후 대정, 세화 성산에 공군기지가, 산방산에 해병대가 들어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제주도가 최전선화되는 것을 공포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곳곳의 요지를 미군에게 내어준 형편임에도, 비무장 평화의 섬 한 곳 확보할 수 없을 만큼 우리 조국은 무력한 나라인가에 대해 다만 슬퍼합니다.

    군함에 의해 오염될 서귀포 바다와 기지촌으로 전락할 제주도의 고운 마을들을 생각하면, 어떻게 제주도민을 위로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쓰는 일 외에 별로 잘 하는 게 없는 시인과 소설가들은 편지를 쓰기로 했습니다. 서귀포 바람, 애월의 파도, 북촌의 눈물, 위미의 수평선, 쇠소깍의 고요를 생각하며, 두려움과 연민이 어룽진 손으로 제주도민들께 편지를 씁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입니다.
    ———————————————–

    구럼비를 처음 만난 날이 어제 같은데 벌써 두 해가 가까워 오고 있다.

    한라산이 잉태한 제주의 남쪽 끝자락에 자리한 강정 마을에 들어선 그날은 평화로웠다. 너무 평화롭고 아름다워 이틀 전 여러 사람이 연행될 정도로 격렬한 싸움이 있었던 곳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언제 다시 격렬한 몸싸움이 벌어질지 모르는 그 아슬아슬한 평화의 한가운데 있으면서도 나는 그 마을이 품고 있는 평화로움과 강정 앞바다의 아름다움에 취해 그곳에 온 이유를 까맣게 잊고 있었다.

    하늘은 시리도록 맑았지만 바람이 세차 바다는 포효하듯 출렁이고 바닷가에 꽂아 놓은 노란 깃발들은 아우성치고 있었다. 그렇게 구럼비를 만났다.

    노순택 사진. 노순택은 ‘제주 강정마을을 지키는 평화유배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공동 저자

    노순택 사진. 노순택은 ‘제주 강정마을을 지키는 평화유배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구럼비의 노래를 들어라> 공동 저자

    구럼비는 너비가 1.2킬로미터나 되는 거대한 하나의 바위이지만 수백 수천 수만의 돌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처럼 보였다. 그 돌들이 바람을 따라 흐르고 파도를 따라 일렁이는 것 같았다. 꿈틀대며 일어서는 것 같았다. 울고 있는 것도 같고 웃고 있는 것도 같았다. 슬퍼하는 것도 같고 기뻐하는 것도 같았다.

    구럼비 안으로 걸어 들어갔다. 깊은 바위 더 깊은 곳에서 용천수가 솟아나오고 있었다. 한라산 지나고 제주의 온 땅 지나온 맑은 물이었다. 두 손 모아 받아 마시니 영혼이 씻기는 듯 아득했다.

    몇 걸음 더 걸으니 물웅덩이들이 보였다. 민물습지였다. 그 습지에 민물새우인 제주새뱅이도 살고 멸종위기종인 붉은발말똥게와 맹꽁이도 살고 지하수 용천수에서만 서식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었던 세계적인 희귀종인 주홍미끈망둑도 살고 있었다. 수많은 생명들 깃들어 살고 있었다. 구럼비는 바위가 아니라 어머니의 자궁이었다. 뭇 생명들을 품어 살리는 생명의 바탕이었다.

    강정 앞 바다를 바라보았다. 세찬 바람으로 눈부시게 빛나는 바다는 몸 뒤집으며 부서지고 있었다. 아름다웠으나 슬픔이 어린 듯했다. 노란 깃발이 생물처럼 파닥이며 아우성치고 있었다. 끝자락 찢어져 ‘생명평 강정마’라는 글자만 남은 깃발은 살아 있는 생선처럼 파닥이고 바다처럼 출렁이며 이곳이 해군기지 건설로 모든 것이 파괴되고 있는 강정 앞바다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었다.

    세찬 바람에 몸이 흔들렸다. 서 있을 수 없었다. 구럼비에 몸을 기대어 누웠다. 바위가 품어 준 탓일까. 세찬 바람이 느껴지지 않았다. 고개 들어 바라보니 찢겨진 깃발은 여전히 세차게 펄럭이고 있었다. 고개 눕히니 다른 세상에 들어선 것처럼 바람 한 점 느껴지지 않았다. 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눈부시도록 맑고 파란 하늘만 보였다. 그 맑은 하늘이 슬펐다.

    눈 감았다. 고요했다. 적막했다. 그렇게 몇 분 지났을까. ‘쿵……쿵……쿵……’ 소리가 들려왔다. 멀리서 들려오는 듯도 하고 가까이서 들려오는 듯도 했다. 마음 기울여 따라가니 소리는 내 가슴으로 잦아들더니 이내 심장을 지나 구럼비로 스며들었다. 구럼비에서 울려나고 있었다. 심장 뛰는 소리 같기도 하였다. 때로는 강하고 때로는 약했다. 장단을 맞추듯 그 소리를 따라 내 심장도 뛰었다. 그 소리를 따라 말도 들려왔다.

    아주 긴 이야기였다. 한라산이 생기던 날들부터 한라산의 남쪽 끝자락 구럼비라는 마을에 붉은발말똥게, 제주새뱅이, 맹꽁이, 주홍미끈망둑과 사람 들을 비롯한 뭇 생명들이 깃들어 살고 있는 지금까지의 이야기였다. 그 이야기 끝날 때까지 구럼비의 일부가 된 듯 나는 도저히 몸을 일으켜 세울 수 없었다.

    구럼비를 벗어나 마을로 들어서니 시민전시관에 앞서 다녀간 사람들의 마음들이 자그마한 나무패로 달려 있었다. 강정회관으로 향했다. 공사장 울타리를 지나 마을로 들어섰다. 걸음을 멈추었다. 길 한가운데 ‘평화바다 구럼비 가는 길’이라고 적혀 있었다.

    ‘평화바다로 가는 이 길을 지킬 수 있을까…’

    오래도록 그 글씨와 길을 바라보았다.

    햇살 탓인지 지나온 길 아련했다.

    바람 잦아들고 있었다.

    최창남: 작가이자 작곡가이다. 동화 『개똥이 이야기』와 르포르타주 『울릉도 1974』를 펴냈다. 그리고 작곡가로서 민중가요 <노동의 새벽>, <저 놀부 두 손에 떡들고>, <모두들 여기 모여 있구나> 등을 작곡했다.

    필자소개
    작가이자 작곡가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