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삼촌들, 강정을 살려줍서!
    [작가들 제주와 연애하다-3]생명과 평화를 지키자는 싸움
        2013년 02월 08일 11:57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이 자의 두뇌를 20년간 멈추어야 한다.”는 유명한 판결문과 함께 안토니오 그람시가 20년 넘는 형을 받고 파시스트들의 감옥에 있을 때, 유럽의 수많은 지식인들이 구명운동에 나섰습니다. 로맹 롤랑이 지속적으로 만들어 배포한 팸플릿 역시 크게 힘을 발휘하였습니다.

    “이성으로 비관하더라도 의지로 낙관하라”

    이 유명한 경구는 로맹 롤랑의 글 <지성의 비관주의, 의지의 낙관주의>를 그람시가 요약한 것입니다.

    제주도 강정마을의 600명이 넘는 주민,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연행, 구속, 투옥, 벌금 사태 뒤에는 불법 공사 상황이 있습니다, 주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강제 과정, 전쟁을 도발하는 안보 기지, 민군복합항이 입증되지 않은 설계도, 환경문제가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공사, 인권 유린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불법 요인에 대해 제주 도지사를 중심으로 제주 주요 언론은 입을 다물거나 사실을 왜곡해 왔습니다.

    제주해군기지는 미 해군 설계요구에 의해 미군 핵항모가 입항할 규모로 설계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2년 9월, 장하나 국회의원이 밝혀냈습니다.

    모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과 작가들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후 대정, 세화 성산에 공군기지가, 산방산에 해병대가 들어선다는 소식을 들으며 제주도가 최전선화되는 것을 공포의 눈으로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곳곳의 요지를 미군에게 내어준 형편임에도, 비무장 평화의 섬 한 곳 확보할 수 없을 만큼 우리 조국은 무력한 나라인가에 대해 다만 슬퍼합니다.

    군함에 의해 오염될 서귀포 바다와 기지촌으로 전락할 제주도의 고운 마을들을 생각하면, 어떻게 제주도민을 위로해야 할지 알 수 없습니다.

    쓰는 일 외에 별로 잘 하는 게 없는 시인과 소설가들은 편지를 쓰기로 했습니다. 서귀포 바람, 애월의 파도, 북촌의 눈물, 위미의 수평선, 쇠소깍의 고요를 생각하며, 두려움과 연민이 어룽진 손으로 제주도민들께 편지를 씁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입니다. <’작가, 제주와 연애하다’ 필자들을 대표하여 조정 씀>
    ———————————————–

    지난 여름, 저는 왜 불볕이 이글대는 가운데 며칠씩이나 제주 땅을 걸었던 걸까요? 사람들이 너나없이 다녀와서 영혼의 씻김을 받았다는 올레길도 아니고, 하필이면 숨이 턱턱 막히도록 지열이 들끓던 아스팔트 길 위로만 하염없이 걷고 또 걸었던 걸까요? 얼굴과 팔뚝, 종아리가 벌겋게 익도록 걸어가며 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던 걸까요?

    “삼춘들, 강정에서 왔수다. 우리 강정을 살려 줍서.”

    시가지에 들어설 때마다 행진 대열을 이끄는 차량에서 마이크 소리가 흘러나왔습니다. 해군기지가 들어설 강정마을을 살려 달라는 간절한 외침에 저도 모르게 가슴이 울컥거리곤 했습니다.

    그러면서 고개를 갸웃거리기도 했지요. ‘왜 하필 삼춘들에게만 호소를 하는 걸까? 아주머니들도 있을 텐데……’ 하는 의문과 함께, 제주는 아직 여자보다는 남자를 앞세우는 가부장적인 의식이 남아 있어서 그런가 하는 생각을 해 보기도 했습니다. 나중에야 제주에서는 남자와 여자를 가리지 않고 어른들을 그냥 삼춘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만큼 저는 제주에 대해 아는 게 없었습니다.

    그러니 제가 강정에 대해 아는 건 또 얼마나 될까요? 행진을 하는 동안 흥을 돋우기 위해 트럭에서 틀어준 노래 중에 다음과 같은 가사로 된 게 있었어요.

    “강정 먹고 싶거들랑 슈퍼에 가서 땅콩강정 깨강정 사다줄 테니 제주도에 하나밖에 없는 강정 달라고 오도방정 떨지 말고 깨강정 쳐드삼. 미국에도 보내줄게 땅콩강정 깨강정, 청와대에도 보내줄게 땅콩강정 깨강정~.”

    하도 여러 번 틀어주고, 가사가 재미있어서 같이 따라 부르며 걷곤 했지요. 저 역시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강정이라고 하면 땅콩강정과 깨강정을 떠올리는 딱 그 수준이었어요. 몇 년 동안이나 강정이라는 마을에서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싸움이 이어지고 있었다는 걸 안 건 그리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제게 어느 날 붉은발말똥게가 기어왔어요. 연산호가 안겨 오고, 구럼비 바위가 눈앞에 누워 있더군요. 생전 처음 들어보는 낯선 이름들 앞에서 당혹감을 느껴야 했지요. 그제야 강정마을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여기저기 자료를 찾아보고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조금씩 진실을 알게 됐지요. 하지만 그게 이곳 경기도 부천 땅에 사는 나와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이지? 하고 돌아서면 그만일 수도 있었어요. 나도 내 할 일이 있고, 만나야 할 사람들이 많았으니까요. 무엇보다도 세상일에 대해서는 모르는 척 외면하고 사는 게 신상에 편하다는 걸 알 만큼 나이도 먹었고요.

    강정80

    노순택의 사진.사진가 노순택은 ‘제주 강정마을을 지키는 평화유배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구럼비의 노래를 들어라> 공동 저자다.

    하지만 애초부터 몰랐다면 모를까, 이미 알기 시작하자 마음이 불편해지더군요. 나 몰라라 하고 가만히 있는 게 마치 죄를 짓는 것 같아서 부끄럽기도 했지요.

    그런 마음이 결국 지난 겨울에 작가들끼리 임진각에서 강정까지 이어지는 릴레이 걷기를 하는 데 참여하도록 하더니, 이번 여름에는 제주도로 내려가게 만들더군요. 제가 할 수 있는 게 비록 그냥 걷는 일뿐일지라도 그렇게나마 강정마을 삼춘들의 아픔에 함께 하고 싶었습니다. 조금이라도 힘을 실어주고 싶었습니다. 명색이 시인이라는 자가 입으로만 생명과 평화를 떠드는 것이야말로 위선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제주에서 돌아와서도 강정은 여전히 제 가슴에 묵직한 돌로 얹혀 있습니다. 며칠간 땡볕에 그을렸던 자국은 이제 희미해졌지만, 강정을 생각하는 마음만큼은 희미해져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오늘도 공사장 입구에서 차량을 저지하느라 맨몸으로 드러눕고 끌려가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무엇을 더 얻자는 싸움이 아닙니다. 생명과 평화를 지키자는 싸움입니다. 삶의 터전이자 제주 할망의 숨이 깃든 구럼비를 살려내자는 싸움입니다. 이 숭고한 싸움을 위해 이곳 경기도 부천 땅에서 이름 없는 시인이 간절한 외침을 담아 보내 드립니다.

    “제주 사는 삼춘들, 강정을 살려줍서. 구럼비를 살려줍서. 붉은발말똥게를 살려줍서. 연산호를 살려줍서. 돌고래를 살려줍서. 살려줍서. 살려줍서.”

    박일환 : 1961년 생. 1997년『내일을 여는 작가』에 시를 추천받아 등단했으며, 시집으로『푸른 삼각뿔』,『끊어진 현』을 펴냈다. 시인이자 국어교사로서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높아『우리말 유래 사전』,『미주알고주알 우리말 속담』,『국어선생님 잠든 우리말을 깨우다』를 쓰고, 그밖에도『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용악』,『똥과 더불어 사라진 아이들』,『삼성반도체와 백혈병』, 아빠와 조무래기별들』같은 책을 펴내기도 했다. 문학의 사회적 실천을 고민하는 집단‘리얼리스트100’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필자소개
    시인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