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보진영, 종편 출연 어떻게 볼 것인가?
        2011년 12월 15일 07:2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언론연대와 문화연대는 14일 신촌 위지안에서 ‘진보진영, 종편참여 어떻게 볼것인가?’에 대한 긴급 집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날 집담회에는 영화평론가 허지웅씨의 종편 출연을 ‘일제시대의 부역자’에 비유했던 <시사인> 고재열 기자와 이에 대하여 맞짱 토론을 요구했던 허지웅 평론가가 뜨거운 논쟁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EBS 김민혁 PD, 문화연대 원용진 집행위원장, 미디어스 김완 기자, 자유기고가 한윤형 등도 토론자로 참여했다.

    종편 출연을 비난할 수 있나?

    이날 집담회에서 가장 치열한 이슈가 된 것은 △보수언론인 조선, 중앙, 동아, 매일경제가 주도하여 개국한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에 대한 성격 규정 △종편에 출연하는 학계·지식인·연예인을 비판할 수 있는지 여부와 비판의 수위 △종편에 대한 저항운동의 방식 등이였다.

    고재열 기자는 “허지웅 평론가를 트위터상에서 ‘부역자’라고 공격한 것은 종편 참여 자체에 문제를 제기했다기보다는 허지웅 평론가가 채널 A에 출연한다는 사실을 밝힌 후에 그것을 비판하는 네티즌들을 조롱하는 태도(애티튜드)에 대한 문제 제기였다”고 말했다. 그는 "조중동이 만든 종편은 (불법·편법·탈법)으로 취득된 장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를 알면서도 종편에 출연한다면 그것은 장물취득자이고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허지웅 평론가는 "고재열 기자가 자신이 허지웅을 공격한 이후에 종편의 전체적인 시청률이 낮게 나왔고, 그로써 자신이 원했던 1차적인 목적을 달성했다고 자평했는데, 이는 혼자 큰 판에서 큰 수를 두고 있다는 개인적인 착각에 빠져 있는 것 같다"고 꼬집고 "종편을 하나의 거악 혹은 소악으로 설정하고 이를 쓰러뜨리는 것에 반하는 모든 행위를 단죄하는 것은 개인에 대한 테러리즘"이라고 반박했다.

    반론에 나선 고재열 기자는 "허지웅을 비판한 것은 종편 출연 자체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였음을 다시 분명하게 말하고 싶다"며 "허지웅에 대한 비판을 계기로 종편 출연에 대한 구조적이고 디테일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니 만약 허지웅 평론가가 사과를 원한다면 필요한 부문에 대해서는 사과하겠다"고 말을 맺었다.

    이에 대해 김완 기자는 “고재열 기자가 허지웅을 비난하는 방식이 과거 안티조선운동을 촉발시켰던 조선일보의 최장집 교수 비판과 주어만 다를 뿐 똑같은 논리”라고 지적하면서 “허지웅을 공격하여 종편에 대한 비판적인 논쟁이 시작되었으니 자신의 의도는 충족되었다라고 말한다면 ‘안티 고재열 운동’을 시작해야 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탄생 자체가 불법, 출연은 비판 대상 가능

    한윤형도 "과거 안티조선 운동도 처음에는 개개인을 비판하는 네거티브한 방식으로 진행되다가 그것이 비효율적임이 입증되어 결국 조선일보라는 하나의 매체를 타겟으로 삼고 해당 매체와의 기고, 인터뷰 등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모으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며 종편 출연 선언 이후 허지웅 평론가에게 쏟아진 과도한 비난에 우려를 표했다.

    물론 고재열 기자의 허지웅 평론가 비판에 대해서 일리가 있다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김민혁 PD는 "종편이라는 매체의 탄생 자체가 위법·불법·탈법이고 이에 대해 많은 언론인들이 처음부터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내온만큼 원칙적으로 종편에 출연한다는 것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다만 비판의 대상과 강도를 정하는 기준은 출연자의 직업 성격과 개인적인 생계 문제와도 연관되기 때문에 다소 유동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원용진 집행위원장도 "동아일보 해직기자 출신의 원로기자들까지 종편의 탄생을 막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고 언급하면서 "종편 탄생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출연도 비판할 당위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집담회를 찾은 방청객들 사이에서도 "지방 언론사에서 일하다가 새로운 직장을 찾는 입장에서 종편은 기회"라는 입장과 "조중동의 왜곡보도를 견디다 못해 1인 미디어를 만든 입장에서 굳이 밥벌이를 종편에서 해야 하나"라는 회의적 반응이 엇갈렸다. 이날 집담회에 참여한 패널들도 일정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진보진영의 종편 참여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필자소개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