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공공성 문제 특집으로
        2011년 10월 30일 09:54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책 표지. 

    국내 학문 간 교류와 소통을 추구하는 『지식의 지평』(한국학술협의회 기획, 아카넷, 12000원) 11호가 출간됐다. 이번 호는 “일본, 우리에게 무엇인가?”와 “한국 사회에서의 공정성”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기획특집으로 다뤘다. 

    우선 “일본, 우리에게 무엇인가?”는 중국(9호)과 미국(10호) 특집에 이어지는 연속 기획특집의 마지막에 해당된다. 이번 호에서는 한일 양국의 역사적 관계를 비롯해, 양국 관계라는 맥락 속에서 바라본 일본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이 다뤄졌다. 

    “한국 사회에서의 공정성”은 바람직한 우리 사회의 공정성을 말하기보다는, 우리 주변의 불공정한 모습을 통해서 우리 사회가 얼마나 공정한가를 따져본 기획이다. 이를 통해서 더 구체적으로 공정한 사회를 위해 해야 하고 또 피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살표본다. 

                                                      * * *

    목차

    권두논문 – 우리와 일본 | 김용덕(광주 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기획특집 1: 일본, 우리에게 무엇인가?
    1. 역사 속에서 본 한일의 문명교류 | 정재정(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2. 신시대 한일관계의 비전과 설계 | 이원덕(국민대 국제학부 일본학전공)
    3. 한일경제관계의 재설계와 그 원칙 | 김종걸(한양대 국제학대학원 일본학과)
    4. 한류 이후 일본 대중문화 수용의 새로운 흐름 | 김효진(고려대 일본연구센터)
    5. 개발독재와 일본식 근대화 모델 | 이종구(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기획특집 2: 한국사회에서의 공정성
    1. ‘공정사회’의 새로운 지평 | 신중섭(강원대 윤리교육과)
    2. 안으로 굽는 팔, 기울어진 잣대, 그러나 공정한 법 | 한인섭(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3. ‘정당한 몫’과 인간답게 살 권리| 이승훈(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4. 교육 공정성: 성공도 체념도 불가능한 딜레마 | 오욱환(이화여대 교육학과)
    5. 한국사회의 공정성 문제: 원인과 과제 | 김병관(아주대 사회학과)

    지평 프론티어
    1. 법심리학: 규범과 실증을 아우르는 새로운 지평 | 조은경(한림대 심리학과)
    2. 외계 행성과 생명 탐색, 어디까지 왔나 | 홍승수(서울대 문리?천문학부 명예교수)

    지평 메모랜덤
    1. 데이비드 흄의 생애와 사상 | 최희봉(강원대 철학과)
    2. 빌헬름 딜타이의 죽음, 그리고 100년 후 | 김창래(고려대 철학과)
    3.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 | 정병석(영남대 철학과)

    연속기획 – 우리 학문, 어디에 서 있는가?
    통계학의 핵심 연구: 응용과 교육 | 허명회(고려대 통계학과)

                                                      * * *

    엮은 곳 : 한국학술협의회

    한국학술협의회는 기초학문 분야의 진흥 방안을 모색하며, 실질적인 지원을 통하여 내실 있고 균형 있는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12월에 발족된 한국학술협의회는 학제적 연구 활동을 위하여 인접 학문 간의 공동연구를 중점적으로 추진해왔다.

    한국학술협의회는 인문사회·자연과학의 다양한 분야의 소규모 연구회 및 학회를 하나의 협의체로 연합 구성함으로써 규모 있는 학문 연구 활동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 중이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