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생들 "강용석의원, 거짓말하지 말라"
        2010년 07월 22일 09:21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강용석 한나라당 의원 성희롱 발언과 관련해 당시 식사에 참석했던 학생들이 “7월20일 화요일자 중앙일보 기사에 언급된 강용석 의원의 발언들은 실제 있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에도 강 의원이 같은 자리에 참석해 성희롱 발언을 해 참석한 학생들이 불쾌해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이쯤 되면 강 의원은 성희롱 발언에 더해 거짓말 해명까지 책임져야 할 판이다. 중앙은 사설을 통해 강 의원의 사죄와 사퇴를 촉구했고, 한겨레는 근본 처방을 주문했다.

    강 의원은 당시 발언을 전면 부인하고 있으며 21일 중앙일보 기사를 상대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다.

    다음은 22일자 전국단위 종합일간지의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미 “자산동결 등 대북 추가 제재”>
    국민일보 <클린턴 “조만간 북 금융제재”>
    동아일보 <클린턴 “대북 추가 금융제재”>
    서울신문 <미 “북 자산동결 등 전방위 추가제재”>
    세계일보 <미 “북 지도부 자산동결 등 추가 제재”>
    조선일보 <“새로운 금융제재, 북 지도부에 초점”>
    중앙일보 <클린턴 “북한 지도부 돈줄 차단 곧 착수”>
    한겨레 <클린턴 “북 자산 동결·금융거래 차단”>
    한국일보 <클린턴 “북 불법 금융거래 차단”>

       
      ▲ 7월22일자 중앙일보 2면.

    이들 학생은 “당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했다”며 “7월20일 화요일자 중앙일보 기사에 언급된 강용석 의원의 발언들은 실제 있었다”고 밝혔다. 강 의원 해명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강 의원은 통화 내용에 대해 사실과 다른 이야기를 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중앙은 1면 <“사실과 다른 말 한 강용석 의원에게 매우 유감”>과 2면 <“강 의원이 언급한 여학생 피해 볼라”고민하던 학생들, 5시간 회의 끝 “진실 밝히자”>를 통해 이를 전했다.

    연세대는 이날 강 의원의 성희롱 발언 사건에 대해 학교 본부 차원의 진상조사를 벌이기로 했고, 연대 총학생회도 조만간 입장을 밝힐 계획이라고 전해졌다.
    경향, "강 의원 지난해도 성희롱 발언"

    경향은 여기에 더해 지난해 같은 대회에서도 성희롱 발언이 있었다고 전했다. 경향은 5면 <강용석 ‘거짓 해명’ 파문>에 따르면, 1회 국회의장배 토론대회에 참가한 한 지역 대학교 토론모임의 학생지도를 맡았던 교수는 “작년에도 강 의원이 수상팀과 뒤풀이를 하면서 성희롱 발언을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당시에도 ‘심사위원들이 토론만 보는 게 아니다’ ‘일단 여자는 예쁘고 봐야 한다’는 등의 말을 했다’는 등의 말을 했고 학생들이 불쾌감을 느껴 나에게 전한 바 있다”고 밝혔다.

    학생들 언론에 “개개인 연락과 보도 자제해 달라”

    학생들이 밝힌 입장에서 한 가지 더 주목할 부분이 있다. 이들 학생은 20일 보도 이후 언론으로부터 연락이 쏟아졌다며 “처음 접하는 일이었기에 모든 학생들이 크게 당황했다”고 밝혔다. 중앙은 기사에서 “이후 당시 동석했던 학생들에게 언론사로부터 100여 통의 전화가 왔다”고 전했다. 이들 학생은 “더 이상 학생 개개인에 대한 연락과 보도는 자제해 달라”고 덧붙였다.

       
      ▲ 7월22일자 중앙일보 2면.

    강 의원이 당시 발언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사실 확인이 필요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당시 자리에 참석했던 학생들도 강 의원 ‘성희롱 발언’의 피해자다. 언론의 접근이 조심스럽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 성희롱·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에 대한 접근과 보도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앙 “사죄하고 사퇴하라”

    중앙은 성희롱 발언에 거짓 해명까지 한 강 의원에게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중앙은 사설 <성희롱에 거짓 해명까지…사죄하고 사퇴하라>에서 “발언 내용이 공개된 이후 그는 반성은커녕 뻔한 거짓말과 부인(否認)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의 발언이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평소 그의 도덕성과 언행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게 아닌가 의문을 품게 한다”며 “성희롱 발언 자체도 문제지만 상황 모면에만 급급한 용렬함이 더욱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중앙은 “이제라도 사죄하고, 약속한 대로 정치를 그만두는 것이 그를 뽑아준 국민에 대한 마지막 예의”라고 밝혔다.

    한겨레 “미봉에 급급하면 또 벌어질 수 있어”

    한겨레는 “미봉에만 급급해한다면 이런 일은 또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잊을만하면 반복되는 성희롱 발언의 근원을 찾아 이를 풀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겨레는 사설 <정치권의 낯뜨거운 성희롱 논란, 되풀이되는 이유>에서 한나라당이 사태를 미봉하는데 서두르는 것을 문제 삼으며 “여성관이나 양성평등 의식 등 한나라당의 문화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는 게 먼저”라고 조언했다. 민주당 소속인 이강수 고창군수 건에 대해서도 ‘솜방망이 대응’이라고 지적하고 “이렇게 정치적 계산만 앞세워 뭉개려 든다면 성희롱을 뿌리 뽑기는 영영 어렵다. 진실을 분명히 드러내 엄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 7월22일자 한겨레 사설.

    이번 ‘성희롱 발언’ 논란은 비단 한나라당이나 정치권에 국한할 얘기가 아니다. 강 의원은 당연히 자신의 발언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이 같은 성희롱은 주위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한 개인의 도덕성이나 언행만을 문제 삼을 게 아니다. 잊을만하면 나오는 성희롱 발언 근저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잘못된 시선이 자리잡고 있다. 중앙과 한겨레의 조언이 근본 해결책은 아니라는 말이다.

       
      ▲ 7월22일자 한겨레 5면.


    날치기 언론악법 1년…“재입법이 해답”

    한겨레는 지난해 한나라당이 날치기 처리한 방송법과 신문법 개정안과 관련해 ‘언론법 날치기 1년’ 기획을 내보냈다. 한겨레 5면 <미디어산업 발전 실체없이 ‘종편 특혜’만 만지작>은 “여권의 논리는 ‘소유규제 완화를 통한 미디어산업 활성화’였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이런 주장은 실체가 모호하다”며 “오로지 조·중·동 가운데 누구누구에게 종합편성채널이라는 ‘떡’을 줄 것인가라는 ‘명제’만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종편 트리플 특혜’(수신료 인상을 통한 광고 파이 키우기+황금채널 배정+의무전송 혜택) 지원책을 고심하고 있는 것도 방송시장 활성화 논리에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경향은 사설 <미디어법 날치기 1년, 재입법이 근본처방이다>에서 “미디어법은 본질적으로 불완전하고 문제가 많은 법”이라며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은 미디어법을 재입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