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잠수함 등장시키며 연일 '북풍몰이'
        2010년 03월 31일 09:35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해군 천안함 침몰사고 현장에서 선체 수색작업을 벌이던 해군 특수전(UDP) 요원 한주호 준위가 숨졌다. 그는 함수 부문의 함장실에 진입하기 위한 인도용 밧줄 설치팀의 일원으로 참여했으며 강한 유속과 높은 수중압력 등 열악한 여건에서 구조작업을 하다 희생됐다. 31일자 신문에선 한 준위의 사망 소식과 구조대의 ‘악전고투’가 1면에 주로 담겼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교과용 도서 검정조사심의회를 열고 ‘시마네현에 속해 있는 다케시마(독도)가 한국 정부에 의해 불법 점거되어 있다’고 기술하거나, 지도상에 점이나 경계선으로 독도가 일본 영해에 포함된 섬인 것처럼 묘사한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5종에 대해 합격 통지했다. ‘MB 독도 발언’ 논란과 더불어 독도 문제가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 관련 공판이 오늘 진행될 마지막 피고인 신문만 남겨두고 있다. 검찰은 한 전 총리에게 150~200개의 질문을 할 것으로 알려졌고, 그동안의 신문 시간을 고려하면  한 전 총리는 하루종일 피고인 신문을 받을 수 있다. 다음달 2일은 변호인 최종변론, 검찰의 의견진술 및 구형이 있고, 9일 오후 2시 선고를 하게 된다,

    이날 아침신문의 주요 이슈는 ‘북풍설’이다. 천안함의 침몰 원인을 두고 북쪽 개입 가능성이 조선, 중앙 등에 비중있게 실렸다. 특히 조선일보는 북한 잠수함까지 끌어들였다. 국민의 눈이 천안함에 쏠려 있을 때, 정부는 4대강 사업 홍보를 위해 공무원들을 소집하려 했던 것이 경향의 보도로 드러났다.

       
      ▲ 3월31일자 경향신문 그림마당.  
     

    다음은 31일자 전국단위 아침신문 머리기사다.

    경향신문 <“기적이 우리 손에” 구조대 악전고투>
    국민일보 <필사의 구조작업 중 UDP 1명 순직>
    동아일보 <함미 첫 해치 열어…UDT요원 1명 순직>
    서울신문 <한명이라도…목숨건 구조중 UDT 1명 숨져>
    세계일보 <UDT 요원 구조작업 중 순직>
    조선일보 <“침몰 전후 북 잠수정이 움직였다”>
    중앙일보 <‘UDT의 전설’ 서해서 스러지다>
    한겨레 <‘무능한 대응’에 국민 분노>
    한국일보 <노병의 살신성인/구조 사투후 끝내…>

       
      ▲ 3월31일자 조선일보 1면.  
     

    조선이 천안함 침몰 원인으로 ‘북 잠수함’ 의혹을 제기했다. 조선은 1면 기사<“침몰 전후 북 잠수정이 움직였다”>에서 “천안한 침몰사고의 원인으로 북한 잠수정 또는 반잠수정에 의한 어뢰, 기뢰의 공격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사고 발생지역인 백령도에서 멀지 않은 북한 서해안 잠수함 기지에서 천안함이 침몰한 지난 26일을 전후해 잠수정(또는 반잠수정)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난 사실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조선은 익명의 정부소식통을 인용해 “천안함 침몰 사고 이후 정찰위성 사진 등을 정밀 분석해본 결과, 백령도에서 50여km 떨어진 사곶기지에서 잠수정(반잠수정)이 지난 26일을 전후해 며칠간 사라졌다가 다시 기지로 복귀한 것으로 파악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조선은 5면 기사<“함수쪽 절단부위 촬영 결과 내부 폭발은 아닌 것 같다”>라고 제목을 꼽아 해군이 이 대통령에게 보고한 내용을 부각시키기도 했다. 또 8면 기사<“바닷물 부식력 강해…60년 뒤 작동납득 안돼”>에서 “전문가들은 60년 전 기뢰가 천안함 침몰의 원인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며 기뢰 가능성을 일축하기도 했다.

    조선은 칼럼에선 더욱 북개입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김창균 정치부장의 <“北 소행 분명”만큼 위험한 “北 연관 없다”> 칼럼에서다.

    “국가 안보와 관련된 판단을 "당연히 그렇지 않겠느냐"는 식의 감(感)에 의존해선 안 된다. 마찬가지로 ‘정부가 정해 놓은 정책 노선’과 일치하는 쪽으로 판단을 조정하는 일 역시 위험하다. 남북 관계를 개선시켜야 하는 만큼 "북이 개입됐다고 믿고 싶지 않다"는 최면을 스스로 걸다 보면 국가 안보엔 커다란 구멍이 생긴다.…혹시라도 천안함 사고를 다루는 이명박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정상회담을 포함해서 남북 관계를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강박(强迫)으로 자리잡은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무턱대고 "북 소행이 분명하다"는 태도도, 충분한 근거 없이 "북 연관 가능성이 없다"는 태도도 안 된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증거를 찾아야 한다. 그래야 진실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중앙도 기뢰나 어뢰에 방점을 찍으면서 북한 개입설을 부각시켰다. 중앙은 10면 기사<전문가 57% “천안함 침몰, 기뢰나 어뢰 때문인 듯”>에서 자체 설문조사 결과 “침몰 원인에 대해 응답자 중 12명이 기뢰 폭발이나 어뢰 쪽에 무게를 뒀다. 내부 폭발로는 함정이 순식간에 두 동강 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7명은 예측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내부 폭발 가능성을 점친 사람은 2명에 불과했다. 북한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11명이 고의든 우발적이든 관련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 3월31일자 중앙일보 10면.  
     

    동아는 이날 아침 신문 중 이 대통령의 행보를 뚜렷하게 부각해 눈길을 끌었다. 동아는 5면 기사<대통령이 북해안포 사정권 내로…현직으론 첫 백령도 방문>에서 이 대통령이 천안함 실종자 구조현장을 방문한 일거수일투족을 상세히 전달했다.

    주목되는 점은 이같은 조중동의 보도 태도가 여권의 행보와 맥을 같이 하는 점이다. 경향은 6면 기사<초반 신중하던 여권, 슬슬 ‘북한 끌어들이기’>에서 “당초 여권은 천안함 침몰 사고와 북한을 되도록 연관짓지 않으려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사고에 대한 원인규명 작업이 길어지면서 여권 내부에서 북한과의 연관성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불거져 나오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이 대통령 지지율 하락 등 여권에게 불리한 여론 지형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3월31일자 중앙일보 12면.  
     

    경향은 “정부·여당이 이처럼 근거가 확실치 않은 상황에서 미리 북한을 거론하기 시작하는 것에는 복합적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우선 천안함 침몰 사고 이후 실종자 수색작업 등 정부와 군의 미숙한 대응에 대한 비난여론을 희석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경향은 또 “북한의 개입설은 또 천안함 침몰 사고가 6월 지방선거에서 여권에 미칠 악영향을 제어해줄 수도 있다. 당장 보수세력 결집에도 유리하다”고 전했다.

    경향은 “문제는 이런 대응 행태가 불러올 부작용이다. 이미 천안함 사고에 대한 근거 없는 추측과 유언비어가 난무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크다. 이런 와중에 뚜렷한 근거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북한을 끌어들이면 보수단체들을 중심으로 보복공격 여론이 제기되는 등 ‘신북풍 정국’이 조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적으로 조중동이 선거를 앞두고 정부쪽에 유리한 이슈를 주로 부각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경향은 28면 기사<조·중·동, 지방선거 노골적 ‘친여 본색’>에서 “조선, 중앙, 동아 등 3개 보수지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갈수록 친여(親與) 성향을 노골화하고 있다”며 “경향신문이 지방선거를 3개월 앞둔 2006년 3월과 올 3월 한 달간(3월1~27일) 조·중·동 3개 신문의 1면 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정부 여당을 비판하는 기사 비중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경향은 “이들 신문의 1면 기사에서 4대강, 무상급식 등 여권에 불리한 사회적 의제는 찾아보기 어려운 반면 ‘코리아 이미지 2배 좋아져’ ‘중기(中企) 졸업 때 8년간 부담완화’ 등 정권에 유리한 기사는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민감한 사회적 이슈는 기피하면서 정부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려한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특히 이들의 ‘친여 본색’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의 지면과 비교해보면 더욱 확연해진다”고 전하기도 했다

    다른 신문에서도 북개입설에 대한 신중한 태도가 지적됐고, 정부의 대응에 대한 질타가 부각됐다.

       
      ▲ 3월31일자 서울신문 6면.  
     

    서울신문은 미국 국부부 부장관의 발언을 전하며 북개입에 대한 의혹을 일축하는 보도를 전했다.

    한겨레는 1면 기사<‘무능한 대응’에 국민들 분노>에서 “천안함이 침몰한 지 닷새째인 30일에도 실종자 구조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수색 작업을 애타게 지켜보던 국민들의 정서가 ‘간절함’을 넘어 정부와 군의 미숙한 대응을 질타하는 ‘분노’로 들끓고 있다”며 “해군 누리집 자유게시판에는 며칠 새 1000여건의 글이 올라왔고, 각 포털사이트의 게시판 등에는 무능하고 우왕좌왕한 사고 수습 상황을 질타하는 글이 쉴새없이 올라오고 있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최근 의혹을 풀어줄 열쇠로 교신일지를 지적했다. 한겨레는 3면 기사<천안함-2함대 ‘교신일지 공개’가 의혹 풀 열쇠>에서 “함정과 함정 사이, 함정과 사령부 사이 군 내부통신 기록을 시간대별로 담고 있는 교신일지는 이런 의문을 풀어줄 가장 확실한 자료”라고 지적했다.

    세계일보는 사설<“군·정부 위기관리, 국민 신뢰 얻으려면>에서 “홍보의 수준과 방식이 아니고 말의 진실성이 지금 의심받는 상황이다. 군과 정부는 차근차근 투명하게 모든 것을 설명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도 사설<‘천안함’ 사고 여야가 싸울 일 아니다>에서 “북한의 개입 가능성을 둘러싼 과도한 논란 역시 부적절하다. 근거는 물론 이렇다 할 정황이 없는 상태에서 습관적으로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그 정반대 편에서는 정부가 은근히 북 개입 가능성을 제기해 또 하나의 ‘북풍’을 만드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으니 정부로서도 당혹스러울 것이다. 근거가 뒷받침되지 않는 북 개입설이나 ‘또 하나의 북풍’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장기적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삼가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향은 1면 단독 기사<공무원 비상대기 중에 4대강 홍보 추진 논란>에서 “정부가 천안함 침몰 사건에도 불구하고 4대강 사업 홍보를 위해 89개 지자체의 담당 실·국장 및 부단체장 등에 대한 교육을 추진해 물의를 빚고 있다”고 질타했다.

       
      ▲ 3월31일자 경향신문 1면.  
     

    경향은 “경향신문이 입수한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이하 환경청)의 ‘환경과 생명을 살리는 4대강 살리기 사업 교육 계획’에 따르면 환경청은 다음달 1일 환경청 대강당에서 ‘4개강 살리기 친환경적 추진방안’이라는 내용으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경향에 따르면, 지난 26일 발송된 공문은 교육의 추진 배경 및 목적에 대해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종교·환경단체의 반대 입장과 관련하여 정부의 설득과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참석 대상은 서울·인천·경기·강원 등 광역자치단체의 담당 실·국장 및 기초자치단체의 부단체장으로 서울 27개, 인천 11개, 경기 32개, 강원 19개 기관이 포함돼 있다.

    언론관련 기사로 조선은 14면 <‘EBS 사교육 상품’ 출현>에서 “교육당국이 사교육비 절감 대책으로 ‘EBS 강의 수능 70% 연계 출제’ 방침을 발표한 지 20일도 지나지 않았지만 이미 유력 사교육업체들은 대부분 이를 이용한 ‘EBS 마케팅’ 준비를 완료한 것으로 본지 취재에서 확인됐다”고 전했다.

    정미경 동아일보 문화부 차장은 칼럼 <방송의 품격>에서 “막말 방송의 심각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방송사들의 움직임은 소극적이다. 방송사 처지에서는 막말 방송, 저질 드라마가 화제를 낳고 시청률이 높기 때문”이라며 “이런 방송사들의 태도는 최근 글로벌 방송 경쟁이 ‘품격’의 경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간과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3월31일자 조선일보 14면.  
     

    한겨레는 9면 기사<기자 경찰 ‘촌지 단골’…국민혈세 ‘쌈짓돈’ 쓰듯>에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정보공개 청구 결과, 기자나 경찰 등에게 금품을 주는 관행도 여기저기서 나타났다며 구체적인 내용을 전하기도 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