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중계권’, 방통위 중재 촉구한 동아·한겨레
        2010년 02월 17일 09:54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빙상 대표팀의 막내 모태범(21·한국체육대)이 16일 한국 스피드스케이트의 역사를 다시 썼다. 사상 첫 금메달을 딴 것이다.

    모태범은 이날 캐나다 리치먼드 올림픽오벌 빙상장에서 열린 밴쿠버 겨울올림픽 이틀째 스피트스케이팅 남자 500m에서 1·2차 합계 69초82로 나가시마 게이이치로를 0.16초 차이로 제쳤다. 한국이 일장기를 달고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 처음 출전한 1936년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대회 이후 74년 만에, 광복 이후로는 48년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대회 이후 62년 만에 첫 우승이다.

    17일자 신문들은 쇼트트랙이 아닌 ‘롱트랙 시대’를 연 새로운 영웅의 탄생에 기꺼이 1면을 할애했다. 태극기를 들고 환하게 웃는 모태범의 모습과 함께. 다음은 이날 주요 조간신문의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모태범 빙속 첫 금 ‘62년만의 쾌거’>
    국민일보 <당찬 신세대 깜짝 질주>
    동아일보 <출발 전까진 아무도 그를 몰랐다>
    서울신문 <모태범 한국 빙속 74년 꿈 이뤘다>
    세계일보 <빙속 사상 첫 금…막내 모태범 ‘일냈다’>
    조선일보 <빙속 사상 첫 금…태극기와 춤을">
    중앙일보 <사상 첫 빙속 금, 모태범>
    한겨레 <모태범 빙속 첫 금…‘롱트랙 시대’ 열다>
    한국일보 <모태범!무명에서 영웅으로>

    ‘올림픽 방송’ 질타한 신문들

    모태범의 금메달 소식은 SBS의 단독 중계 문제로 밴쿠버 동계올림픽 뉴스를 ‘보이콧’하다시피 한 KBS, MBC의 보도도 바꿔 놓았다.

    이날 중앙일보 양성희 기자는 25면에 게재한 취재일기 <모태범이 바꾼 KBS, MBC의 이상한 보도>에서 “(모태범이) 지상파 방송 3사 사이의 밴쿠버 겨울올림픽 보도에 전환점을 마련했다”며 “지금까지 한국 선수단의 선전을 애써 축소 보도했던 KBS와 MBC도 모태범의 쾌거를 외면할 순 없었다”고 전했다.

       
      ▲ 2월17일자 중앙일보 25면  
     

    양 기자는 이어 △KBS와 MBC는 한국의 첫 메달이 나온 14일 이정수의 쇼트트랙 1500m 금메달, 이승훈의 스피드 스케이팅 5000m 은메달 소식을 메인 뉴스에 단신 처리했고 △KBS는 24번째 15초짜리 단신으로 다뤘으며 △양사 모두 동영상 장면 대신 스틸 화면으로 대체한 사실을 들어 “밴쿠버 올림픽 개막 이후 KBS·MBC 두 공영방송이 상식과 어긋나는 ‘처신’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양 기자는 두 방송사의 이러한 보도 태도가 “올림픽 공동 중계 체제를 갖췄던 예전과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라며 “SBS의 단독 중계권 확보에 두 공영방송의 반발이” 있는 와중에 “KBS와 MBC는 국민적 관심사인 올림픽 뉴스를 축소 보도하는 무리수를 두었다”고 지적했다.

    양 기자는 “모태범은 이런 기류를 180도 돌려놓았다”며 “SBS는 두 방송사에 그간 하루 2분 분량 제공하겠다던 올림픽 영상을 16일부터 7분30초로 늘리겠다고 통보했고, KBS·MBC도 이를 수용해 이날 뉴스에 해당 동영상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올림픽 방송’ 비판한 동아·한겨레

    동아일보와 한겨레도 ‘올림픽 방송’을 비판했다.

    한겨레는 사설 <‘올림픽 방송’, 시청자 편의 이렇게 무시해도 되나>에서 “밴쿠버 겨울올림픽에서 초반부터 한국 선수들이 선전을 펼치고 있으나, 이런 모습이 지상파 방송을 통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며 “독점 중계권을 가진 <에스비에스> 홀로 대대적으로 중계·보도하고, <한국방송>과 <문화방송>은 남의 잔치 보듯 한다”고 비판했다.

       
      ▲ 2월17일자 한겨레 사설  
     

    한겨레는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지상파 방송사들 사이의 중계권 협상이 결렬되면서 사태가 감정대립으로 치달은 탓이 크다”며 “결국 피해는 시청자들에게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방송 3사가 함께 중계할 때는 중복 편성으로 다른 선택의 여지를 박탈하더니, 이번엔 다양한 올림픽 소식을 접하고 싶은 시청자들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겨레는 “에스비에스가 높은 시청률이 예상되는 국제대회를 단독 중계하려는 것 자체를 무조건 비난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하지만 민영방송이라 하더라도 관심이 쏠리는 행사를 더 많은 시청자가 편하게 즐길 수 있게 해줄 책임까지 외면해선 안 된다”며 “이제라도 에스비에스는 방송사간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공조 방안을 정착시키는 데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한겨레는 특히 “오는 6월의 남아공 월드컵 축구 때도 이번과 같은 일이 반복돼선 곤란하다”며 “방송사 사이의 자율 협의가 안 된다면 정부라도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아일보도 방송통신위원회의 중재를 권했다.

    사설 <올림픽 방송 중계경쟁의 피해자는 시청자>에서 “지상파 3사의 볼썽사나운 행태는 SBS가 밴쿠버 올림픽 독점중계권을 7250만 달러에 사들이면서 불을 붙였다”며 “이 액수는 지상파 3사의 중계권 협약인 ‘코리아풀’에서 합의한 6300만 달러보다 950만 달러나 많다. 110억 원에 가까운 국부가 유출된 셈”이라고 꼬집었다.

       
      ▲ 2월17일자 동아일보 사설  
     

    동아는 “SBS가 스포츠중계 시장을 독점하고 KBS와 MBC는 올림픽 보도를 외면함으로써 시청자는 채널선택권을 잃었다”며 “방송통신위원회는 외화 낭비를 막고 국민의 시청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사전에 적극적인 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은 28면 <올림픽 방송 파행 ‘종편 폐해’ 미리 보여줬다> 기사에서 “이번 사태는 향후 종합편성PP로 채널이 늘어나고 민영미디어렙을 통한 광고수주전이 가열될 경우 ‘국민의 볼 권리’보다 ‘자사이익’에 매달린 방송사간 무한경쟁의 폐해를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 2월17일자 경향신문 28면  
     

    경향은 불붙은 중계권 분쟁과 관련해 “SBS는 2016년 하계올림픽까지 IOC에 7250만달러를 주고 단독 중계권을 확보했고 올해 남아공월드컵과 2014년 월드컵 중계권도 1억4000만달러에 사들인 상태”라면서 “하지만 종편PP를 준비 중인 신문사들도 향후 지상파와 함께 올림픽, 월드컵은 물론 메이저리그, 프리미어리그 등 해외스포츠 중계권 확보경쟁에 뛰어들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어 중계권료로 해외에 유출되는 외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경향은 이어 “정부 의도와 상관없이 지상파와 맞먹는 종편채널이 하반기에 추가로 등장하고 ‘민영 미디어렙’ 등장으로 광고수주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방송 콘텐츠의 선정성과 오락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종합편성PP의 경우 지상파와 달리 자체프로그램 제작비율이 20%만 넘으면 편성규제에 걸리지 않는다는 특혜를 받고 있어 손쉽게 시청률을 확보할 수 있는 스포츠나 외화, 외국드라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동력 잃은 세종시 수정안

    “세종시를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아닌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건설하겠다는 정부의 수정안이 다소 동력을 잃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동아일보가 1면 <“세종시 생각 안 변해” 85%> 기사에서 보도했다.

    동아는 설 연휴 직후인 16일 여론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센터(KRC)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표본 수 충청 300명, 비충청 700명)을 대상으로 긴급 전화 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수정안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5.0%, 원안대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건설해야 한다는 응답은 40.9%로 나타났다.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한 직후인 지난달 11일 조사에서는 수정안 지지가 54.2%, 원안 지지가 37.5%였다.

       
      ▲ 2월17일자 동아일보 1면  
     

    원안 지지 응답이 오차 범위 내에서 약간 상승한 반면 수정안 지지 응답은 9.2%포인트 하락했다. 대전 충청의 경우 원안 지지 응답은 55.9%로 지난달 11일 조사의 53.0%와 엇비슷했으나 수정안 지지 응답은 32.7%로 지난달 11일 조사의 40.7%에서 8%포인트 줄었다.

    이번 조사에선 무응답층이 14.1%로 지난달 11일 조사의 8.3%에 비해 6%포인트가량 늘어났는데, 이에 대해 동아는 “과거 세종시 수정을 지지했던 이들 중 일부가 무응답층으로 이탈한 것으로 풀이된다”며 “세종시 수정 추진을 둘러싼 정치권의 논란이 장기화하면서 이슈 피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KRC의 해석을 덧붙였다.

    세종시 당론 변경 가능할까

    한나라당이 세종시 수정안에 찬성하는 쪽으로 당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113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과연 가능할까.

    조선일보가 한나라당 의원 169명 중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하는 친박(親朴)계 의원 48명과 구속 중인 임두성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120명을 상대로 16일 전화조사한 결과, 응답자 116명 가운데 ‘수정안 찬성’은 88명, ‘수정안 반대 및 의총 불참’ 9명, ‘찬반 답변 유보’는 19명이었다고 보도했다(1면 <세종시 당론 변경 113명 필요한데…찬성 88, 반대 9, 유보 19> 기사).

       
      ▲ 2월17일자 조선일보 1면  
     

    조선은 “주류 측이 당론을 ‘세종시 수정안’으로 바꾸려면 당헌상 재적의원 3분의 2인 113명이 찬성해야 하나, 찬성 의원 88명과 유보 의원 19명, 미조사 의원 4명을 합친 숫자가 111명이었다”며 “따라서 주류측이 당론을 변경하려면 입장을 정하지 못한 의원 모두와 친박 의원 일부의 동의를 이끌어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조선은 이어 “의원들 대부분은 익명을 전제로 찬반 의사 표시를 했다”며 “주류측 의원들 대부분은 수정안에 찬성했지만, 중도파 의원들은 유보가 많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친이계는 세종시 수정안 관철을 위한 행동에 나섰다.

    특히 한국일보는 5면 <‘안국포럼’도 움직인다> 기사를 통해 “지난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선거캠프인 ‘안국포럼’ 에서 일했던 멤버들이 세종시 수정안 추진을 위해 전면에 나서고 있다”며 “이들은 세종시 원안을 고수하는 친박계와의 한판 승부를 앞두고 친이계의 중심에 서서 전열을 다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2월17일자 한국일보 5면  
     

    기사에 따르면, 안국포럼 멤버의 대표적 인물로 최근 당 지방선거기획위원장에 임명된 정두언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해 직격탄을 퍼부으며 공격의 선봉에 서 있다.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와 다소 불편한 관계에 있었으나 최근 당직을 맡은 뒤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서 존재감을 각인시키고 있다.

    조해진 의원은 당 대변인으로서 당내 갈등에 대해 공식적 언급을 하기 어려운 입장이지만 청와대와 당, 정부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소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정태근, 권택기, 김영우 의원 등도 친박계 의원들과 격한 논쟁을 벌이며 최전방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충남 예산 출신인 강승규 의원(서울 마포갑)은 연일 충청권을 찾아 지역언론의 대담 프로그램 출연과 특강 등을 통해 여론몰이에 힘을 쏟고 있다. 또 송태영 충북도당위원장도 도당 명의로 수정안을 공식 지지하며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측에서는 세종시 수정안을 총괄하는 국무총리실의 박영준 국무차장과 신재민 문화관광부 1차관 등이 수정안 홍보를 돕고 있다. 청와대에서는 김희중 제1부속실장과 임재현 대통령 수행비서 등이 이 대통령의 근접거리에서 당정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안국포럼 출신은 아니지만 대선캠프에서 활동했던 박형준 정무수석과 이동관 홍보수석등이 세종시 정국에서 핵심 포스트 역할을 하고 있다.

    보수신문들은 ‘세종시’ 문제를 다른 국정 운영과 분리하거나 포기할 것을 은근히 주문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이날 사설 <‘세종시의 방’과 ‘다른 어젠다의 방’을 분리하라>에서 “세종시는 세종시대로 따지면서 다른 국정도 챙겨야 할 텐데 지금 국회와 한나라당은 세종시 싸움으로 영일이 없다”며 “수학문제가 안 풀린다고 국어 영어 사회 과학 책까지 내던진 수험생 같다”고 충고했다. “그러고도 입학시험에 합격할 수 있겠는가”라는 게 동아의 주장이다.

       
      ▲ 2월17일자 동아일보 사설  
     

    동아는 “한나라당에는 방이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세종시 방’에서는 말꼬리 잡기가 아니라 원안과 수정안을 비교 검증하는 충분한 토론을 하면서 ‘다른 국정의 방’에서는 민생 관련 국정을 논의하고 처리해나가면 된다”고 제언했다.

    동아는 “지금 한나라당의 모습은 세종시 문제는 풀어내지도 못하면서 국정과 민생을 모조리 진흙탕에 처박아버리는 무책임한 정쟁에 무한정 끌려가고 있는 듯하다”며 “여당이 대오각성하지 못한다면 국민이 선거를 통해 매섭게 책임소재를 가리는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조선일보 김창균 정치부장은 칼럼 <세종 열차 충돌 코스 A, B, C> “세종시 수정을 위한 여권(與圈)의 행진이 (롤러코스터의 어지럼증 나는 곡예(曲藝) 주행이 막 시작되려는 순간에) 와 있다”고 꼬집었다.

       
      ▲ 2월17일자 조선일보 34면 김창균 칼럼  
     

    김 부장은 여권이 한나라 당론(黨論)을 세종시 수정으로 바꾼 뒤 국회 표결을 하거나 (박근혜 전 대표 눈치를 보지 않고)의원들이 소신 투표를 할 수 있도록 국회 표결을 무기명으로 하는 방안이 있으며, 국회 표결이 도저히 안될 경우 최후의 대안으로 국민투표를 하는, 이른바 “세종시 수정을 위한 작전계획 A, B, C를 세워놓고 있다”고 봤다.

    김 부장은 “여권 내 두 정파가 세종열차를 서로 다른 목적지로 끌고 가겠다며 다툴 결심이라면 앞으로의 험난한 여정(旅程)에 대해 예고방송이라도 해주는 게 예의일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탑승객 여러분. 열차는 지금 충돌 코스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제일 먼저 여당 주류·비주류 간 난기류가 형성되는 A코스입니다. 열차가 심하게 덜컹거릴 수 있습니다. 다음 B코스가 이어집니다. 여야가 충돌하는 한편 깜깜이 터널을 지나는 구간에선 여당 주류와 비주류가 뒤섞이는 혼란이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충돌이 전국적 규모로 확산되는 C코스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코스에선 열차가 궤도(軌道)를 벗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부디 안전벨트를 단단히 조여 매시기 바랍니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