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YTN 민영화" 중앙 "구본홍은 경질"
        2009년 08월 04일 09:37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경찰이 3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연 참여연대·민주당 등 9개 정당·시민단체 관계자들을 집시법 위반으로 무더기 연행했다. 지난 1일 광장 개방 후 열린 첫 정치적 행사부터 경찰이 봉쇄에 버금가는 강경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보도했지만, 동아일보는 "광화문광장만은 좀 놔두시오"라는 목소리를 전했다.

    구본홍 YTN 사장이 3일 전격적으로 사의를 표명한 데 대해 조선일보는 YTN의 민영화 가능성을 제기했으며, 중앙일보는 사실상 경질로 봐야 한다고 보도했다. 쌍용차 평택공장은 다시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 다음은 4일자 전국단위 종합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광화문광장의 ‘그림자’>
    국민일보 <연안호 사건 장기화 우려>
    동아일보 <부실 중기 ‘링거’ 뽑고 우량 중견기업 키운다>
    서울신문 <공무원 육아휴직 겉돈다>
    세계일보 <달러가 몰려온다>
    조선일보 <"주가가 올라서…죄송합니다">
    중앙일보 <BMW·GM전기자동차 국산 전지로 달린다>
    한겨레 <쌍용차 ’73일 파업동료’의 이별>
    한국일보 <딜레마 빠진 MB노믹스>

    광화문 광장은 누구의 것인가

    지난 1일 개방 이후 광화문광장에서의 첫 정치적 행사를 바라보는 신문들의 시각은 이렇게 달랐다.

    동아일보는 10면 기사 <"광화문광장만은 좀 놔두시오">에서 "이수정 민주노동당 서울시 의원은 ‘광화문광장은 시민과 함께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외쳤다. 몇몇 시민은 박수를 쳤지만, ‘또 집회냐? 여기는 좀 놔둬라!’라고 고함치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전했다. 동아일보는 "잠시 후 (행사 관계자들을 연행한) 경찰차가 떠나고 기자회견이 있었던 자리에는 한 노부부가 서로의 손을 잡고 광장을 둘러보며 서 있었다"면서, "여기는 그런 거(집회) 안 했으면 좋겠네"라는 그 노부부의 말을 전했다.

       
      ▲ 동아일보 8월4일자 10면.  
     

    반면 경향신문은 1면 머리기사 <광화문광장의 ‘그림자’… 개방 후 첫 충돌>에서 "야당과 시민단체가 ‘자의적인 법 적용’이라고 반발하면서 광화문광장이 표현의 자유를 가늠하는 상징적인 ‘갈등’ 지역이 될 공산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행사 관계자들을 연행한 이유에 대해 수서경찰서 관계자는 "집시법상 미신고 집회 개최와 해산명령 불응 2가지 혐의를 적용했다"며 "서울시를 비방하는 구호를 제창하고 플래카드를 소지하는 등 기자회견이 불법 집회로 변질됐다"고 말했다.

       
      ▲ 경향신문 8월4일자 1면.  
     

    이에 대해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피켓 시위와 구호 제창은 여러 기자회견에서 하지만 경찰이 자의적인 잣대로 어떤 때는 연행하고 국회의원이 있으면 그냥 두는 식"이라며 "시민의 기본권과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광장이라면 광장이 아니라 지방선거를 노린 꽃밭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도 8면 기사 <광화문광장 문 열자 마자 10명 연행>에서 비슷한 논조로 보도했으며, 사설에서도 정부의 강경대응을 비난했다.

    그러나 한국일보는 사설 <광화문광장은 시민단체 것이 아니다>에서 "일부 단체가 표현의 자유 운운하며 기자회견 형식의 집회를 한 데 유감을 표하면서, 해산과 연행을 강행한 경찰의 대응에 더 큰 유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한국일보는 "도심에 널찍한 공간만 생기면 시위장소로 활용하려는 일부 단체들의 이기심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그 정도 의사표현마저 광화문광장이라는 이유로 금지한다면 시민의 광장이 아니라 관공서 앞마당이나 공공건물 로비로 관제화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 한국일보 8월4일자 사설.  
     

    "YTN 공기업 지분 팔아 민영화"

    구본홍 YTN 사장이 3일 전격 사퇴한 가운데 구 사장의 사퇴가 공기업이 보유한 YTN 지분 매각을 촉발, 실질적 민영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5면 기사 <여 핵심 관계자 "공기업 지분 팔아 민영화">에서 "정부는 그 동안 ‘YTN처럼 상장된 기업의 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에 정부가 개입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규제 완화 차원에서 정부나 공기업이 보유한 민간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는 것은 정부 방침’이라고 말해왔다"고 전했다.

       
      ▲ 조선일보 8월4일자 5면.  
     

    조선일보는 "여권의 핵심 관계자들은 틈날 때마다 ‘공기업이 굳이 YTN 지분을 계속 보유하고 있을 이유가 없다’며 ‘민영화 가능성’을 언급해왔다"면서, "구 사장이 민영화를 막지 못할 것 같으니까 스스로 나간 것 아니냐"는 YTN 한 직원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현재 YTN은 한전 자회사인 한전KDN(21.43%)이 최대주주이고, 한국마사회(9.52%), 우리은행(7.6%) 등이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중앙일보는 "구 사장이 사실상 경질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1면 기사 <구본홍 YTN 사장 사실상 경질>에 이어 10면 기사 <"방송산업 격변하는데 노조에 끌려만 다녀 … YTN 더는 방치 못해">에서 관련소식을 전했다.

       
      ▲ 중앙일보 8월4일자 10면.  
     

    중앙일보는 "구 사장이 사퇴한 가장 큰 이유는 청와대의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란 지적도 나온다. 여권에선 ‘구 사장이 취임 초기부터 노사 갈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채 1년 동안 끌려만 다녔다’는 불평이 적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오는 18일 이사회에서 직접 경영결산보고를 할 예정이던 구 사장은 지난 주말까지 준비를 했는데, 월요일에 갑자기 사퇴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경질에 가깝다는 것이다.

    중앙일보는 "방송법 개혁 등으로 격변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YTN을 지금처럼 방치해 놓을 수 없다는 판단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후임 사장은 분명히 구 사장보다 더 강성 인사가 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YTN 관계자의 관측을 전하기도 했다.

    쌍용차 다시 ‘일촉즉발’ 위기로

    경기도 평택의 쌍용자동차 공장이 다시 ‘일촉즉발’의 위기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한겨레는 1면 기사 <"함께 살고 싶었는데" 떠난자의 ‘눈물’ "이대로 끝낼순 없다" 남은 자의 ‘투쟁’>에서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 한겨레 8월4일자 1면.  
     

    "검은색 모자를 푹 눌러쓴 40대 남자의 등엔 배가 부른 배낭 하나가 매달려 있었다. 덥수룩하게 수염이 자란 그는 말없이 터벅터벅 걸어 나갔다. 도장공장 출입구 앞엔 회색 작업복을 입고 경계를 서는 조합원들이 서 있었다. 어깨를 축 늘어뜨린 그가 먼저 입을 뗐다. ‘건강하세요.’ 이어 경계를 서는 노조원들이 대답했다. ‘수고하셨습니다.’

    3일 새벽 1시 경기 평택시 칠괴동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73일 동안 동료들과 함께 파업을 벌여온 그는 혼자서 도장공장 출입문을 나서 정문으로 걸어갔다. ‘착잡합니다. 함께 살고 싶다는 희망 때문에 싸웠는데, 이제 나가기로 했습니다. 회사가 파산 신청까지 하면서 나랑 일하기 싫다는데…. 그냥 제가 떠나고 싶어졌습니다.’

    그에 이어 7∼8명의 노조원들이 도장공장을 더 떠났다. 42일 만에 이뤄진 노사 협상이 깨진 2일 새벽 이후 모두 98명의 파업 노조원이 현장을 이탈했다고 회사 쪽은 밝혔다. 회사 쪽은 2일부터 도장공장의 전기도 끊었다. 지난 7월17일 음식물을 끊고 7월20일 식수와 가스를 끊은 지 14일 만의 추가 조처다. 도장공장은 머잖아 불어올 ‘폭풍’ 앞에 놓여 있다. 회사를 떠난 자와 살아남은 자, 그들의 가족, 채권단, 경찰 등 모두가 불안한 눈빛으로 이곳을 바라보고 있다."

    반면 동아일보는 3면 기사 <노조 4개 계파 분열… 이틀간 100여명 이탈>에서 내부 계파간 갈등으로 이탈 사태를 바라봤다. 동아일보는 "2일과 3일 이탈한 노조원들은 대부분 온건파에 속하는 조합원인 것으로 사측과 경찰은 분석하고 있다"며, "농성장에 남아 있는 노조원 중에 강경파는 ‘지금 농성을 풀고 항복하면 여태까지 버틴 게 뭐가 되느냐’며 끝까지 남아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이탈자의 말을 전했다.

       
      ▲ 동아일보 8월4일자 3면.  
     

    동아일보는 이어 "심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쌍용차 농성자들이 ‘집단 사고의 오류’에 빠져 있어 극단적인 대응을 한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며, "동질적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법을 논의하면 논의할수록 점점 더 극단적인 해결책을 찾게 되는 이른바 터널 비전 효과가 나타나는데 쌍용차 노조가 그런 것 같다"는 한 심리전문가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찰 쪽과 회사 쪽, 그리고 농성 이탈자에 이어 심리전문가의 말을 전한 동아일보는 농성 중인 노조 쪽의 입장이나 말은 전하지 않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4면 기사 <자금줄 쥔 정부 수수방관… 노·사 합의도 한계>에서 "쌍용차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게 된 데는 문제 해결의 실질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정부가 사태를 방관한 책임이 크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또한 "생존권을 걸고 농성 중인 노조원들에 대한 회사 측의 강경일변도 교섭태도도 문제지만, 노조 측의 경직된 태도도 지적받아야 한다"며 "일부 강경 노조원들은 협상 당시 무급휴직과 분사 등을 수용하려는 집행부에 대해 크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 경향신문 8월4일자 4면.  
     

    경향신문은 이어 "쌍용차가 회생을 의심받을 만큼 위기에 몰린 것은 전·현 경영진의 책임이 결정적"이라며 "구조조정이 필요하더라도 어떻게 하면 최소화할 수 있는지, 노조의 극단적인 반발 없이 진행할 수는 없는지 등에 대한 노력은 전혀 보여주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노조에 본때를 보이려는 현 정부의 방침에 지금의 경영진이 맞추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