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중동, 6·10 ‘민주주의 위기’ 외침 호도
        2009년 06월 11일 09:47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6·10 민주항쟁 22주년을 기념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를 추모하는 진보 진영의 ‘6월항쟁 계승, 민주회복 범국민대회’가 10일 저녁 서울과 부산 등 전국 14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대회가 열린 서울광장에선 하루 종일 집회 참가자들과 경찰 사이에 크고 작은 충돌이 일어났지만 큰 충돌은 없었다고 11일자 신문들이 전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독한 6.10 민주항쟁 기념사에서 “민주주의의 제도와 외형은 갖춰져 있지만 운용과 의식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념과 집단이기주의, 불법과 폭력이 민주주의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보수 성향의 신문들의 시각과 논조는 ‘대의 민주주의’를 강조한 이 대통령의 기념사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소위 진보지들은 광장에서 이뤄지는 ‘직접 민주주의’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민주주의 위기’를 놓고 다른 해석들을 내리고 있는 셈이다.

       
      ▲ 한겨레 6월11일자 1면.  
     

    다음은 11일자 주요 아침신문들의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22년만에 터진/ “민주주의” 요구>
    국민일보 <북한, 미얀마와 협력/ 우라늄 농축기술 개발>
    동아일보 <‘우주개발 대장정’ 스타트>
    서울신문 <공기업 초임 15% 삭감/ 평균연봉 440만원 줄어>
    세계일보 <서울광장 수만명…경찰과 곳곳 충돌>
    조선일보 <‘시위’가 ‘시민’을 몰아낸 서울광장>
    중앙일보 <“인감 폐지”>
    한겨레 <광장의 외침 “이 대통령, 일방통행 멈춰라”>
    한국일보 <대북(對北)제재 결의안 안보리 최종 합의>

       
      ▲ 경향신문 6월11일자 1면.  
     

    경향신문은 1면 머리기사에서 “‘6·10 민주회복 범국민대회’가 10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렸다. 부산·대구·광주 등 전국 24곳에서도 ‘민주주의를 지켜내자’는 시민대회가 동시에 진행됐다”고 전하고 3면부터 6면에 걸쳐 관련기사를 실었다. 한겨레도 1면 머리와 3·4면에 정부 비판에 무게를 둔 기사들을 게재했다. 서울신문과 한국일보 등은 집회 참가자와 경찰 간에 큰 충돌은 없었다는 점을 부각했다.

    반면 조선·중앙·동아일보는 같은 현상을 두고 민주주의가 후퇴했다고 해석했다. 조선일보는 1면 머리기사에서 “시민의 광장인가, 시위의 광장인가?”라며 “‘구호와 폭력’이 ‘문화와 낭만’을 몰아낸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 대해 ‘이대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1면 기사 <600m 거리두고 따로 ‘6월항쟁 기념식’>에서 “경찰은 범국민대회 주최 측에 서울광장 집회 금지를 통고했지만 물리력을 동원해 집회 자체를 막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 조선일보 6월11일자 1면.  
     

    중앙일보는 1면에서 “10일 서울광장에서는 서울시의 광장 사용 불허에도 불구하고 ‘6·10 ’22주년 행사를 강행하려는 주최 측과 이를 막으려는 경찰의 산발적인 충돌이 아침부터 시작돼 오후까지 이어졌다”며 이날 오전 방송·무대 시설 자재를 실은 1톤 트럭 8대가 서울광장에 진입하자 경찰이 트럭을 둘러싸고 무대 설치를 저지하고 있는 장면을 찍은 연합뉴스 사진을 <22돌 맞은 6·10 서울광장>이란 제목으로 실었다.

    ‘6·10 범국민대회’에 대한 각 신문의 시각 차이는 사설들의 제목을 보면 더 쉽게 알 수 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중앙일보는 각각 <시민 자유 뺏는 시위는 民主 아니다>와 <‘추모’ 편승해 무슨 이익 챙기겠다는 건가>, <민주주의 후퇴시키는 건 거리투쟁 선동정치> 등과 같은 공격적 제목의 논평을 내놓았다.

    서울신문과 한국일보는 각각 <국회 역할 광장에 넘기려 하나>와 <광장의 정치 이제는 그만>이란 제목의 사설을 싣고 대의 민주주의 제도를 회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반해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각각 <6.10 항쟁 22주년에 다시 부르는 민주주의>, <이 대통령의 왜곡된 현실인식과 처방>이란 제목의 사설을 실었다.

    서울중앙지검은 10일 일부 좌파성향 단체들이 최근 조선·동아·중앙일보 광고주들에 대한 협박을 재개한 것에 대해 “언어폭력이나 사이버폭력에 대해서는 (피해 업체의) 고소·고발과 상관없이 물리적 폭력에 준하여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일보가 1면 기사 <검(檢) “광고주 협박은 폭력…엄정 대응”>에서 보도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언소주)이란 단체가 지난 8일 조선·동아·중앙일보에 광고를 했다는 이유로 광동제약을 불매운동 대상 1호 기업으로 선정하는 등 기업들을 협박하고 있는 것과 관련, 이날 발표한 ‘검찰의 입장’에서 이같이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일보는 ‘협박’이란 표현을 거듭 사용했다.

    언소주는 최근 광동제약을 ‘불매운동 1호 기업’으로 지목하고 불매운동을 벌여 이 업체한테서 “특정 언론에 편중 광고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8면 머리기사 <언소주 “조중동 광고중단에 초첨” 방식 변화>에서 “언론의 책임성을 요구하는 불매운동은 민주사회에서 소비자가 자신의 선택권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대신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는 언론을 향해 소비자들이 불매운동 외에 어떤 방법으로 책임성을 요구할 수 있느냐”는 김기창 고려대 교수의 말을 인용했다.

       
      ▲ 한겨레 6월11일자 8면.  
     

    반면 동아일보는 A4면을 털어 언소주 불매운동을 비판하는 기사들을 실었다. 이 신문은 이 면 통단 머리기사 <또 시작된 ‘광고주 압박’… “조폭이 물건사라 들이미는 격”>에서 “전문가들은 언소주의 활동이 정당한 소비자운동이 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며 “광고주를 압박하기 위해 제품 불매 운동을 하는 것은 신문에 대한 직접적인 소비자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정당하다고 볼 수 없다”는 김상겸 동국대 교수(법학)의 주장과 “신문의 논조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모든 기업에 불매 운동을 하는 것은 소비자 주권을 내세운 ‘다수의 폭력’이다. 조직폭력배가 사람들을 위협해 물건을 사라고 들이미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는 김민호 성균관대 교수(법학)의 지적을 옮겼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0일(현지시각) 전체회의를 열어 북한의 2차 핵실험을 비난하고 징계하기 위한 강경 대북 결의안 초안을 상정, 회람했다. 조선일보는 1면 기사 <국제 사회, 북(北)의 무기거래 숨통 조인다>에서 “북(北)의 핵 포기 유도를 위한 국제 압박 시스템이 조만간 가동될 전망”이라며 “이번 대북 제제의 틀은 미국과 일본이 주도적으로 밑그림을 그린 것이지만 그동안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대북 제재에 미온적 입장을 보이던 중국과 러시아까지 큰 이견 없이 동참했다는 데 외교가의 시선이 쏠려 있다”고 보도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