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공립대, 계층-지역 배려 정원 45% 확대"
    By 내막
        2009년 06월 03일 05:5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진보신당이 교육과학기술부가 3일 발표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 현실성과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자체적으로 ‘사교육비 경감대책 10대 방안’을 발표했다.

       
      ▲ 조승수 의원이 6월3일 ‘사교육비경감대책 10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경탁 기자)

    진보신당 조승수 의원은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교육부가 발표한 대책은 학교자율화, 교과교실제, 영어공교육 강화, 사교육 없는 학교, 방과후 학교 등 기존에 나온 방안을 재탕하였을 뿐"이라고 밝혔다.

    조승수 의원은 "우리 사회뿐 아니라 여당 내에서도 논란이 제기된 ‘학원 심야교습 금지’도 보이지 않고 시도교육감에게 떠넘겼다"며, "특목고 입시제도를 개선한다고 하나, 이미 수도권 외고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필고사 금지’를 방안으로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

    조 의원은 "교육부의 대책 발표는 애초 5월 28일이 예정일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인해 발표일이 연기된 바 있다"며, "발표일이 연기되면서 혹시나 하는 기대를 가졌는데, 역시나로, 지난 5월 21일 나온 초안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성토했다.

    조 의원은 "사교육 유발요인인 정부의 줄세우기 경쟁 교육에 대한 반성도 없어 실망을 금할 수 없다"며, "‘사교육비 절반’을 기조로 하는 정부라면서 국민의 사교육비 부담을 경감시킬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사교육비의 원인은 ‘줄세우기 경쟁’ 교육

    조 의원은 "이에 진보신당은 정부 대책의 전환과 국민과의 소통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진보신당의 사교육비 경감 방안>을 내놓는다"며,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전 국민과 함께 논의하자는 취지에서 10대 방안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2008년부터 사교육비 통계를 발표했는데, 2007년 조사와 2008년 조사 등 지난 두 차례 조사 결과에서 국민은 학벌사회와 대학서열체제가 사교육비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답했다. 병목구간에서 남보다 한 발 앞서기 위한 경쟁이라고 답한 것이다.

    이에 대해 조 의원은 "이명박 정부는 공식 조사 결과와 무관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한편으로는 서열과 경쟁 교육을 부추기면서, 한편으로는 실효성 없는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병주고 약주고’도 제대로 하면 모를까, 암을 키우면서 감기약을 주는 격이라는 지적이다.

                                                      * * *

    진보신당 사교육비 경감 10대 대책

    공정한 경쟁을 위한 단기 과제 4가지

    ▲대학의 계층 및 지역 배려 전형을 국공립대부터 정원 내외 45%까지 확대하여 잠재력이 있으나 가정배경이 불리한 학생을 배려해야 합니다.
    ▲특목고의 입시전형과 동일계열 진학 등을 3~5년 단위로 평가하여 재지정하거나 지정을 해제)해야 합니다.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일류대 진학의 통로로 자리잡으면서 점차 잘 사는 집 학생이 많이 들어가는 특목고를 정상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입니다.
    ▲보육 및 특기적성형 방과후 공공서비스를 구축하여 국민이라면 누구나 자녀 보육과 특기적성교육의 부담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사교육의 선행학습을 금지해야 합니다.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1까지는 한 학기 이상 선행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공교육의 균형 발전과 경쟁의 분산을 위한 중장기 과제 6가지

    ▲‘친구와의 경쟁’이 아니라 ‘나와의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현행 내신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어야 합니다. 이 취지에서 일제고사는 표집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승자 위주 교육정책에서 벗어나 뒤쳐진 학교에 대한 추가 재정지원을 통해 초중고 학교간 균형 발전을 꾀해야 합니다.
    ▲전문계 고등학교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정부가 나서서 전문고·공공기관·기업체의 일자리 협약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고등교육 재정지원을 늘리고 서울대 집중 지원에서 대학간 고른 지원으로 전환하여 대학 균형 발전을 도모해야 합니다. 동시에 총액 지원 및 대학의 예산 자율 편성으로 대학 특성화를 꾀해야 합니다.
    ▲대학간 학점교류 확대, 통합전형 및 전학 등 대학간 교류를 확대하여 ‘닫힌 대학’에서 ‘열린 대학’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학력학벌차별금지법을 제정하고 취업이나 승진시 학벌과 학점을 따지지 않도록 하여 능력주의 사회가 정착되는데 정부가 노력해야 합니다.

    필자소개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