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묵의 카르텔은 깨져야 한다”
    By mywank
        2009년 05월 22일 02:33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22일 여성연예인 인권지원 서포터즈 ‘침묵을 깨는 아름다운 사람들(이하 침묵을 깨는 사람들)’이 공식 출범했다. 이날 현재 진보신당, 사회공공연구소, 한국PD연합회, 민언련, 한국여성단체연합, 원불교 여성회 등 28개 시민사회단체와 강지원 변호사, 이무영 감독, 유지나 교수, 홍세화 한겨레 기획위원 등 각계인사 112명이 동참했다.

    시민사회, 여성연예인 인권지원 나서

    여성연예인의 인권개선을 요구하며 시민사회진영이 힘을 합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들은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할 말 많은 UCC 행동단(5월초부터 시행)’을 운영하고 있고, ‘여성연예인 인권 SOS센터’를 통해 인권침해 상담 및 법적지원 활동을 벌일 예정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22일 오전 국가인권위 앞에서는 ‘침묵을 깨는 아름다운 사람들’ 출범선언식이 열렸다 (사진=손기영 기자) 

    ‘침묵을 깨는 사람들’은 이날 오전 11시 반 국가인권위 앞에서 열린 출범선언식에서 △ ‘장자연 사건’의 진상규명 및 관련자 처벌 △여성연예인에 대한 성차별적 문화 반대 △여성연예인들이 ‘실력’으로 평가받는 풍토 조성 △연예산업 종사자들의 ‘직업적 양심’에 따른 업무수행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상당수 신인연예인들이 성공을 위해 기획사의 부당한 계약 조건을 감수하고 있다”며 “연예계에서 성공을 위해 성 상납 같은 부당한 조건을 감수해야 하고 설령 그 관문을 통과한다 해도 그것이 족쇄가 되어 여자연예인의 숨통을 조인다”고 비판했다.

    ‘침묵의 카르텔’에 대한 저항 

    이어 “장자연 사건과 관련, 수사기관은 연예계 병폐를 뿌리 뽑기 위해 성역 없는 수사를 하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 채 수사를 중단하면서 사건의 실체는 파묻히고 말았다”며 “더욱 우리를 분노케 하는 것은 죽음에 책임이 있다는 의혹을 사는 이들이 적반하장격으로 침묵을 깬 이들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더 이상 이 같은 불행한 관행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는 상식적인 차원에서 우리는 침묵을 깨고자 한다”며 “수사기관은 수사종결을 잠정 발표했지만, 우리는 여성연예인의 죽음을 둘러싼 침묵을 깨고 이 사건을 ‘잊혀진 사건’으로 만들려는 침묵의 카르텔에 대한 저항을 시작하려고 한다”고 선언했다.

       
      ▲참석자들이 여성연예인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 상징의식을 벌이고 있다 (사진=손기영 기자) 

    선언식에 참석한 심상정 전 진보신당 공동대표는 “‘부모님의 기일에도 불려나갈 수밖에 없다’고 밝힌 고 장자연 씨의 절규가 기억난다”며 “이는 한 여성연예인의 문제가 아니라, 여성연예인들을 ‘권력의 노리개’로 이용한 사회적 착취시스템이 만들어낸 구조적인 죽음”이라고 말했다.

    심 전 대표는 이어 “장자연 씨의 죽음 이후 나타난 ‘침묵의 카르텔’은 성 착취 구조를 바로잡아야 할 사회지도층과 권력층들이 그 먹이사슬의 포식자였다는 사실을 알게 해줬다”며 “장자연 씨 사건의 진범들은 지금 어둠 속에서 자유로움을 누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회적 착취가 만든 구조적 죽음"

    여성학자 오한숙희 씨는 “많은 연예인들이 지금 이 자리에 나와야겠지만, 당사자들이 직접 나설 수 없는 상황이 답답하다”며 “출범에 앞서 몇몇 연예인이 이름을 걸고 ‘침묵을 깨는 사람들’에 참여하려고 했지만 만류했다”고 밝혔다. 이어 “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서 이들이 표적이 되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10시부터 국가인권위 11층 배움터에서는 ‘침묵을 깨는 사람들’ 주최로 ‘장자연 씨를 죽음으로 내몬 성 착취 침묵의 카르텔 어떻게 깰 것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의 모습 (사진=손기영 기자)

    패널로 참석한 한국성폭력상담소 ‘키라’ 활동가는 “연예계 여성노동자들은 강요되는 ‘남성판타지’, 성 접대 등을 어쩔 수 없이 인정하고 있다”며 “당사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현실에서 이 문제에 대해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장치들이 마련되면, 성 접대 등을 거부하고 자신이 처한 문제를 밝힐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진보에서도 성차별행위 묵인돼"

    이나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착취의 카르텔은 그동안 대한민국 남성권력자들의 의해 구축되어 왔기 때문에 연예기획사, 정경유착과 관련된 수사는 성역이 있기 마련이었다”며 “심지어 진보라는 조직 안에서도 소위 ‘조직 보위론’으로 내부의 성차별적 행위가 묵인 되어 왔다”고 비판했다.

    문제갑 한국방송영화공연예술인노동조합 정책위원회 의장은 “배우들에게 가장 떨치기 어려운 유혹은 캐스팅인데, 이런 불이익을 감수하며 자신의 고통을 밝히기 힘들고, 이들을 보호할 사회적 안전망조차 없는 게 현실”이라며 “물론 한예조라는 조직이 있지만,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경향이 강한 연예인들의 특성상 피해를 당해도 ‘집단적’으로 대응하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필자소개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