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弔辭] 정태영 선생의 명복을 빕니다
        2008년 03월 23일 03:15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진보당 사건의 마지막 생존자인 정태영 박사가 22일 노환으로 작고하셨다. 향년 78세. 빈소는 강남성모병원이고, 발인은 3월 24일이다.

    1956년 조봉암 등과 함께 구속돼 옥고를 치룬 정 선생은 평생 혁신정당 운동을 접지 않았으며, 말년에는 민주노동당에 대한 지원과 사회민주주의연구회 활동을 벌였다.

    『조봉암과 진보당』,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적 기원』이 유저(遺著)로 남았다. – 편집자 주

       
      ▲ 고 정태영 선생.
     

    선생은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해방, 분단, 전쟁으로 이어지는 청년기를 살았다. 서울대 문리대를 졸업했지만, 이승만 정권하에서 친일파가 득세하는 당시의 현실을 도저히 용인할 수 없어 스물 여섯 되는 해 조봉암을 만나 진보당에 가입했다. 동양통신 외신부 기자생활을 하면서 진보당 안에서는 ‘동화’라는 가명으로 청년 조직을 확대하는 역할을 맡았다.

    조봉암 사건 때 “북한에서 교육받은 당 이론가”로 몰려 조봉암과 나란히 재판을 받았다. 3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아 감옥을 나오면서 옥중의 조봉암을 마지막으로 만났다. 그때 조봉암은 자신의 죽음을 헛되지 않게 하는 일은 진보당을 재건하는 것이라 당부했다.

    그 말을 깊이 간직하면서 선생은 평생 진보정당에 대한 신조를 굽히지 않고 살았다. 4.19직후 혁신계에 참여했고 박정희 정권에서는 3선개헌 반대특위에 참여했으며 신민당 노농국장을 지냈다.

    평생 진보정당 운동 헌신

    이처럼 청, 장년기를 ‘정치적 실천’의 단심으로 보낸 뒤, 60세가 다 되어 고려대 정책과학 대학원에 입학해 때 늦은 공부를 시작했다. 석사를 마친 후 건국대 정치외교학과에서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 조봉암과 진보당에 대한 저술활동을 시작으로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를 복원하는 일에 매진해온 선생은, 요즘 진보파들이 과거로부터 배우려는 노력을 게을리하는 것이 안타깝다는 생각을 자주 토로하곤 했다.

    지병인 간경화와 나이에도 불구하고 선생은 2007년 겨울 쓰러지기 전까지 활발한 사회 참여와 저술 활동을 계속했다. 자문위원 혹은 고문의 이름으로 여러 모임을 정신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원해 주기도 했다.

    사회운동 단체들의 모임 뿐 아니라 학술행사에도 늘 참여했고, 민주노동당이 행사를 할 때마다 그는 청중석 한 자리에 꼭 앉아 있곤 했다. 하지만 2007년부터는 민주노동당 행사에 가지 않았다. 이미 자신을 포함한 제1세대 진보파가 50년 전에 겪었던 오류와 실패를 민주노동당이 되풀이하는 “어리석은 일”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2006년 7월 27일 인터넷 매체 <레디앙>과의 인터뷰에서 선생은 50년대 진보당과 4.19혁명 직후 혁신 세력이 좌절한 원인은 “현실에 기초를 튼튼히 둔 이념적 좌표를 세우는 데 실패하고, 조직 내 건전한 작풍을 만드는 데 실패하고, 당내 정파들의 조급한 헤게모니 투쟁 때문에 분열하고, 결과적으로 대중으로부터 유리되었다는 사실”에 있다고 하면서 민주노동당이 성공하려면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말아야 함을 강조했다.

    2006년 8월 2일자 <경향신문>에 따르면, 죽산 조봉암 47주기 제사에 참석한 선생은 옆에 있던 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에게 “민주노동당은 진보당의 실패에서 배우길 바랍니다. 지금처럼 내부 파벌 다툼에 치중하고 투쟁 중심 노선만 고집해서는 국민들에게 외면 받다가 수십 년 내에 그 소중한 진보정당이 사라져 버릴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의 어리석은 일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아

    이렇게 저렇게 열심히 문제를 제기했지만 민주노동당 안에서 자신의 문제제기가 수용되지 않는 것에 선생은 계속해서 실망했다. 2007년 9월 선생의 마지막 저작『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적 기원』을 내면서 “이제는 젊은 사람들을 닦달하는 일도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고도 말했다.

    과거 1세대 진보정당 운동과 민주노동당을 비교하면서 다음과 같이 적기도 했다.

    “추상적이고 도덕적인 명분을 앞세우며 끊임없이 반목을 만들어낸 작풍의 문제 역시 그때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모든 문제를 분단 때문으로 보는 분단환원주의와 통일지상주의의 폐해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들은 늘 정치의 중요성을 부정하고 운동을 앞세워 일거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러면 그럴수록 정치의 영역에서 보수 세력의 영향력은 공고화되었고, 진보 세력과 대중과의 거리는 멀어졌으며, 민주주의의 틀 안에서 사회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정당의 사회적 기반 역시 소진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다가 진보 세력은 시민사회에서만 목소리를 높일 뿐 정치체제의 운영은 보수 양당에 의해 주도되는 한국 정치 고유의 패턴이 고착되지나 않을까 걱정이 크다.” – 13~14쪽

    정태영 선생은 자서전을 쓰고 싶어 했다. 스스로의 나이를 생각할 때 현실 개입을 통한 변화를 추구하기엔 너무 늦었다고 생각했다. 그보다는 자신의 삶을 소재로 한국 현대사를 다시 그려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 바람은 실현되지 못했다.

    겨울에 들어서면서 몸은 빠르게 쇠약해졌다. 2008년 봄이 되어 날씨가 좋아지면 몸도 좋아질 것이라 기대했지만, 결국 겨울을 다 이기지 못하셨다. 지금 한국 사회 진보정치 운동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선생의 마지막 삶이 실증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선생 특유의 파안대소를 다시는 볼 수 없게 된 지금, 명복을 기원하는 마음만 간절하다.

    필자소개
    레디앙 편집국입니다. 기사제보 및 문의사항은 webmaster@redian.org 로 보내주십시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