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파의 승리가 아니라 '복수'
    By
        2007년 05월 08일 10:12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1.

    프랑스 대선에서 사회당이 졌다. 정확히 말하면 루아얄 여사가 진 것인데, 어떻게 포장하든 좌파가 우파한테 졌다는 객관적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나는 사회당을 지지한 적이 한 번도 없다. 오래된 노조 간부출신이었던 뻬레고부아 총리가 권총자살한 이후로 사회당의 미셀 로까르니 하는 정치 엘리트들의 말장난이 싫기도 했지만, 동구의 몰락 이후로 몰락한 공산당에 간호부 출신의 노베르 위가 "코뮤날리즘(communalism. 공동체주의. 파리 코뮌을 상상해보자-편집자)은 인류에게 늘 필요한 것 아니냐"는 말을 들은 이후로 대체적으로 공산당을 지지했다.

    그러나 막상 TV에서 토론하는 거 보면 공산당이든 아니면 녹색당이든 지지하고 싶은 마음이 싹 가신다.

    2.

    루아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나는 루아얄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그녀가 나름대로 선방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정책이라는 눈으로만 보면 루아얄이 과연 좌파 후보인지 오락가락하기도 하는데,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만 보고도 놀란다고, 선거 내내 나는 노무현을 연상했다.

    루아얄을 보고 노무현을 연상하다

    사실 남자와 여자라는 점과 전문 정치인 출신이 아니라는 점들 – 이런게 중요한가? – 을 빼고 나면 두 사람은 놀라울 정도로 흡사하다. 그들은 좌측 깜빡이를 켜고 우측으로 급회전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사람들이었는데, 그래도 정치인으로서의 루아얄은 나름대로 매력이 있다. 동거 가정 1세대로서 그녀의 사회적 진출 등 여러가지로 생각해볼 점이 많다.

    그녀는 1차 결선투표도 사실 간당간당했고, 막판에 차이가 더 벌어졌지만, 대체적으로 출발시점에 비하면 선방한 셈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 선방이 사회당의 과실은 아니다. 프랑스 신문들은, 나머지 좌파들이 표를 몰아줬음에도 불구하고, 선거에 진 사회당이 정치적 타격이 크게 받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당장 총선이 문제라는 지적도 많다.

    3.

    사르코지의 승리는 여러 가지로 의미가 많다. 우파라고 다 같은 우파는 아닌데, 지스카르 데스탱 이후로 거의 30년만의 우파의 승리라는 말은 우리 입장에서 이해하기가 조금 복잡하다. 이 얘기는 4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차 대전이 끝나고 드골이 집권하면서 자신은 좌파와 우파를 초월한다고 말을 했는데, 이게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정말 독특한 의미가 있다. 미국과의 관계에서 드골은 제 3세계 동맹국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하면서 서방세계 내에서 독립노선을 걸었고, 이런 일련의 입장을 드골주의라고 한다. 공화국연합(RPR)의 지금 시락 대통령이 이런 드골주의를 계승한다. 시락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성공한 드골주의자이다.

       
      ▲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당선자
     

    우파, 드골주의자들을 꺾다

    사르코지는 대중운동연합(UMP)라는 정당을 이끈다. 이게 진짜 프랑스의 우파 정당이다. 그냥 생각하면 시락이 자신의 후계자로 사르코지를 지명하지 않았을까 싶지만, 둘 사이는 정적 관계이다. 노선도 다르고, 가는 길도 다르다.

    우파도 연정하지 않으면 집권할 수 없는 이런 구도에서 시락이 밀렸고, 사르코지는 그야말로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고 자기 힘으로 대선 후보에 오른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그의 힘으로 대통령이 된 것이고, <르몽드>지의 편집진은 이것을 "우파의 복수"라고 부른다. 단순히 우파들이 좌파를 이긴 그런 의미만이 아니라 드골주의자들에게서 30년만에 권력을 찾아왔다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첫 번째 한 얘기 중의 하나가 ‘미국과의 새로운 관계’라는 것이다. 미국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드골주의와의 결별이 사르코지의 당선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의미이다.

    4.

    미테랑을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사람이었지만, 정치인으로서는 매력있는 사람이다. 가장 정확한 불어를 구사하고, 몇 분에 한 번 정도만 문법 실수가 나온다고 문법학자들의 연구 대상에 오르기도 했을 정도로 프랑스를 상징했던 정치인 중의 한 명이다. 그 이후로 좌파가 대선에서 이긴 적은 없다.

    프랑스에서는 언제나 좌파가 절대수치에서 부족하다. 우파와 시락주의자가 분열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 틈을 타고 미테랑이 대통령이 되었다. 그 후로 절대로 우파는 분열하지 않는다. 지금도 그랬고, 앞으로도 오랫동안 프랑스에서 좌파 대통령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앞으로 오랫동안 좌파 대통령은 어려울 것

    국회의원 선거는 조금 다르다. 지방정치가 우리나라처럼 지역색으로 호화찬란하게 도배된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연정이라는 것이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당이 카드를 내어주면서 다른 정당과 손을 잡을 것인가에 따라서 우리식 여당에 해당하는 총리 자리는 대통령 집권에 실패하더라도 어떻게 해볼 여지가 좀 열려 있다. 내 관찰에 의하면 프랑스는 대통령직보다도 총리가 누구인가가 진짜로 국정운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5.

    사르코지는 우파이면서 대표적인 강성이다. 이로 인해서 가장 타격을 받게 될 정치집단은 오히려 극우파들일 수 있다. 영역과 정책이 겹치기 때문이다. ’68년의 종언’이라고 호기있게 사르코지가 치고 나가기는 했는데, 어떻게 될지는 총선까지 지켜봐야 알 수 있다. 하여간 현재로서는 독기가 단단히 올랐다. 

    전면적인 신자유주의 도입은 물론이고,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관리 강화 등 대체적으로 극우파 정책들이 도입되는 것은 당연지사이다. 미테랑은 물론이고 시락도 극우파는 아주 싫어했다. 미테랑 시절에 우파들이 총리를 먹고 파스쿠아라는 아주 강성 정치인이 내무부장관을 했던 적이 있었다. 무섭던 시절이었는데, 이젠 대통령이 그렇게 하겠다니 사방에서 곡소리가 날 것은 당연하다.

    그래도 마냥 한 방향으로 가지만은 않을 것이다. 여러가지 견제장치들이 작동하기 때문이고, 무엇보다도 프랑스는 그 처절한 ‘민중’이라는 실체가 눈을 뜨고 버젓이 살아있다. 50%의 투표율을 기록할 수 없어서 투표에서는 지지만, 그래도 몸으로 정책을 막는 일 정도는 아직 할 정도의 정신과 기백은 남아있는 듯하다.

    6.

    프랑스 대선을 보다가 우리나라 정치판을 보면 심란하다. 프랑스에서는 우파가 대통령이 되고 좌파가 졌다고 대서특필하던 언론들이 갑자기 우리나라 얘기만 하면 진보와 보수라는 또 다른 잣대를 들이댄다. 이거 우습다.

    프랑스와 한국의 정당 지형 비교

    프랑스식으로 살펴보면, 한나라당의 일부는 극우파에 가깝고, 그 안에 시락주의자들이나 일부 분파들이 열린우리당에 가깝다. 순전히 우파들끼리 나와서 서로 보수니 진보니 하는 것이 우리나라 모습이라는 게 내 솔직한 심정이다.

    이미 권력에 깊이 물든 프랑스 사회당이 좌파 정당으로서는 민주노동당보다 더 선명할 정도이다. 좌우 대립의 구도로 간다면 민주노동당의 왼쪽에 또 다른 정당들이 ‘나래비’를 서 있는 게 당연한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좀 다르다.

    내 생각으로는 진보/보수라는 말장난하다가 이렇게 된 것 같기는 하다. 지금이라도 좌파들이 자신을 좌파라고 부를 수 있는… 이게 무슨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도 아니고, 때로 우습고 때로 서글프다.

    7.

    패배를 자꾸 경험하거나 자꾸 보는 것은 슬픈 일이다. 먼 나라의 일이라고는 하지만, 당장 사르코지를 히틀러나 무솔리니에 비교하거나 혹은 사르코지옹이라고 나폴레옹이라는 이름을 걸면서 깃발 들고 나선 프랑스의 젊은이들을 보면 가슴이 안쓰럽다.

    먼 나라의 일이 아니라 당장 우리나라의 민주노동당을 보면 한숨이 푹푹 난다. 솔직히 민주노동당이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별로 없어 보인다. 당장 나부터 그렇다. 그래도 나름대로 선방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켜보는 셈인데, 그야말로 마음이 안 좋기는 정말 안 좋다.

    8.

    민주노동당의 대선후보들은 너무 모범생 같아 보인다. 한 쪽에서는 사생결단을 내리고, 수틀리면 "당 뽀갠다"고 하고 있는데, ‘아름다운 경선’을 다짐하는 모습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모범생 같아 보인다.

    민주노동당 대선후보들 너무 모범생 같다

    그렇다고 나라고 무슨 뾰족한 답이 있을 리 없으니 지켜보는 심정이 답답할 따름이다.

    다당제가 제대로 정착해서 연정과 같은 고급스러운 메카니즘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좌파라면 경기들어서 손을 파르라니 떨 사람들이 당장 내 어머니, 내 아버지인데, 좌파의 깃발을 높이 들라는 되지도 않는 소리를 또 하고 있는 것도 우습다.

    대선 시뮬레이션에서 한 번도 사르코지를 이기지 못했던 루아얄을 지켜보던 많은 프랑스 좌파들이 심정이 이와 비슷했을 것 같다. "뭐 좀 쌈박한 거 없어?" 그런데 그게 정책의 눈으로 보면 말처럼 쉽지가 않다. 정책에는 기술적인 검토와 대중적 지지라는 두 가지 요소가 동시에 필요한데, 이게 거의 마케팅에 버금가는 예술의 영역이라서 골방에서 죽어라고 계산해봐야 ‘변방의 북소리’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9.

    그래도 아직은 시간이 많다. 이길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좀 생각해보면 좋겠다. 민주노동당이 대한민국 대선에서 승리한다… 국제적인 세계화의 흐름이 멈칫하고, 전세계적인 지형도가 바뀔 일이다. 이보다 더 확실하게 ‘다다익선 FTA’를 멈춰 세우고, 민중들의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일이 더 있겠는가?

    꿈도 머리가 아파서 잘 못꿔진다. 우리나라의 좌파가 지금 그렇다. 현재로서는 민주노동당 외에는 대안이 없지 않은가…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런데 당장 내 주위의 동료들만 보더라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뭔가 엑기스 하나가 더 필요한 것 같은데, 대선주자들이 모범생 같이 움직여서는 그런 엑기스가 생겨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프랑스는 프랑스고,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다. 현실로 돌아오면 더 머리가 아프다.

    "’좌파가 돼도 안 망한다’ 편지 쓰기라도 하자"

    "좌파가 돼도 나라 안 망한다"고 지금부터 편지를 쓰라고 하면, 나도 한 50통 정도는 못 쓰는 글씨지만 쓸 생각이 있다. 뭐든 할 수 있는 게 있으면 좋겠는데, 사실은 그래도 민주노동당이 대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게 없다. 누가 뭘 좀 제시해주면 좋겠다. 연말에 소주 마시면서 "우리나라는 안 된다"는 소리나 하고 있기 보다는 팔 아픈 정도는 감수할 생각이 있다.

    하여간 루아얄에게는 사람들이 바라던 "뭔가"가 마지막 TV 토론 때까지도 결국 안 나왔다. 민주노동당 대선후보들에게는 "뭐" 정도가 아니라 엄청난 "뭣들"이 필요할 것이다.

    이래서 말도 안되는 대 역전드라마가 종종 나오는 야구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