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기후위기 취약계층 위한 대책 절실”
올해 온열질환자가 2018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는 만큼 현장 노동자와 노인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종합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심상정 정의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아 4일 공개한 ‘온열질환 및 한랭질환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온열질환자 사례(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포함)는 4천526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기록적 폭염이 있었던 2018년(2천818건) 이후 최대 규모다.
온열질환자 중엔 단순 노무 종사자 591건, 농어업종사자 247건,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119건,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87건이었다. 농어업·노동자 비중이 전체 온열질환자 비중의 37%에 달하는 것이다.
연령별로는 50~59세 601건, 60~69세 514건으로 5060세대가 전체의 39.5%나 됐다. .
지난해 기준 한랭질환자(한랭질환 추정 사망자 포함)로 집계된 447건 중엔 60세 이상 노인이 231건으로 전체 51.6%에 달했다. 50대를 포함해 집계할 경우 전체 68%로 한랭 피해의 대다수가 노년층에 집중됐다.
심상정 의원은 “기후위기로 기계도 고장 날 만큼 육체노동에 가혹한 환경이 조성됐다”며 “냉난방 설치 의무가 없는 창고 등 폭염 노동 사각지대를 메우고, 고온이 아닌 고열로 축소된 산업법 시행령 등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랭질환의 경우 쪽방촌 거주하는 빈곤 노인에게 피해가 집중되어 있을 정황이 유력하다”며 “지난 난방비 폭탄과 같은 찔끔 대책이 아닌, 주거상향을 비롯한 기후위기에 종합적으로 대응하는 전반적인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