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에 뭇매맞은 '늑대복제'와 '금융노조'
    By
        2007년 04월 10일 10:05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10일자 전국단위 종합일간지의 1면 머리기사는 한미FTA 타결 이후 정부가 보여준 문제점(경향·한겨레), 3불정책에 대한 비판(동아·조선·중앙), 증시 1500선 돌파(국민·세계·한국) 등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은행창구 영업시간을 한 시간 당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늑대복제 논문 의혹’과 관련해 뒤늦게 조사에 나선 서울대에 대해서는 모든 신문들이 일제히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중앙 "환란 때 세금으로 살려놓았더니…"

    금융노조 관련 보도를 가장 비중있게 처리한 곳은 중앙일보였다. 중앙일보는 2면 머리기사인 <은행 ‘영업 1시간 단축’ 추진에 반발 확산>에서 지난 9일 금융노조가 창구업무 시간 단축추진 방침을 강행키로 하자 금융노조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수백 건의 항의 글이 폭주하면서 한때 접속이 중단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기사 중앙에 네티즌들의 원색적인 항의글들을 그대로 전재하기도 했다.

    한편 사설 <고객은 안중에도 없는 금융노조>에서는 "영업시간을 연장하고, 토요일에도 문을 열어 달라는 요구가 끊이지 않는 마당에 금융노조는 역주행을 한 것"이라며 "(고객을 위한다면) 관공서처럼 영업시간을 일부 연장하는 방안과 토요일에 지역별 거점 점포를 여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중앙일보 4월10일자 2면  
     

    중앙일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문은 사설을 통해 금융노조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오후 3시반에 은행 문 닫자는 금융노조>(조선), <은행 영업시간 단축 움직임, 본분을 잊고 있다>(경향), <은행 문을 1시간 일찍 닫겠다고?>(한국), <은행 영업시간 단축은 집단 이기주의다>(세계), <은행문 앞당겨 닫을 때 아니다>(국민) 등 각 신문은 노동문제에 대한 평소의 논조 차이에 크게 상관없이 금융노조의 주장이 무리하다는 지적에 나섰다.

    한겨레 "소비자 피해는 최소화해야"

       
      ▲ 한겨레 4월10일자 18면  
     

    한편 노동문제에 있어서 가장 노동계 주장에 가까운 입장을 보여왔던 한겨레도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냉정한 분석을 보였다. 한겨레는 18면 <금융노조 영업시간 단축 거듭 주장>이라는 기사에서 "일본과 캐나다가 최근 오후 3시로 마감시간을 앞당겼고 영국도 오후 3시30분까지만 영업을 하는 등 이미 선진국들 사이에선 영업시간 단축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는 금융노조의 주장을 충분히 반영했다.

    그러나 한겨레는 독일·프랑스(오후4시), 네덜란드(4시30분), 미국(오후5시), 스웨덴(오후5시30분) 등의 사례를 열거하며 일부 선진국에서는 한국보다 더 영업시간이 길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싱가포르와 오스트레일리아는 물론 미국의 일부 은행에서는 토요일에도 업무를 하고 있음을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은행 직원들의 노동강도를 줄여나가는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늑대복제, 늑대소년 될라’ 신문들 경계

    10일자 신문들이 일제히 경계의 눈빛을 보낸 또 다른 사안은 ‘늑대복제 논문 의혹’이었다. 서울대가 9일 이병천 교수팀의 ‘늑대 복제 의혹’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진실성위원회에서 조사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힘에 따라 모든 신문들은 또 다시 ‘황우석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이번 늑대복제 논문 역시 황 전 교수 사건 당시 의혹을 제기했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의혹제기 전까지 서울대가 조사에 착수하지 않음에 따라 서울대의 연구윤리 검증시스템에 대한 문제제기가 다시 한번 불거졌다.

       
      ▲ 경향신문 4월10일자 8면  
     

    늑대복제 의혹조사에 대해서 가장 큰 문제의식을 보인 신문은 경향신문으로 1면에 <서울대 ‘늑대복제 의혹조사> 기사를 배치하는 한편 8면 거의 전부를 할애해 <여론에 등 떼밀린 ‘뒷북 검증’>과 <국양 연구처장 일문일답>을 실어 서울대의 검증시스템에 대한 지적에 나섰다. 다른 신문들 역시 <늑대 복제 논문, ‘늑대소년 얘기’ 될까>(동아 14면), <늑대복제 논문도 ‘진실게임 속으로’>(세계 11면), <늑대복제도 과장? 서울대 조사 착수>(조선 10면), <한국 과학계 ‘늑대소년’ 될라>(한겨레 10면), <서울대 늑대복제 ‘뒷북 재검증’>(한국 12면) 등에서 일제히 관련소식을 보도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아예 <‘황우석 악몽’ 벌써 잊었나>라고 사설 제목을 뽑고서 "서울대는 이번에도 외부의 의혹 제기에 ‘단순 실수일 뿐’이라며 이 교수를 감싸는 등 단호한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며 "신속하고 철저한 검증시스템을 가동하는 것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 동아일보 4월10일자 사설  
     

    ‘수습기자 폭행’ 취재에 수습기자 투입한 한겨레

    지난 6일 새벽에 발생한 한 언론사 기자에 의한 수습기자 폭행 사건을 한겨레가 9면 머리기사로 비중있게 보도했다. 같은 수습기자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신문사가 언론사의 수습교육의 문제점을 부각시켜 보도한 것도 이례적이지만, 피해자인 수습기자와 같은 신분인 자사 수습기자를 대거 취재에 투입시킨 점은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군대보다 더한’ 언론사 수습교육>이라는 제목의 해당기사는 선임 기자 1명 외에 수습기자 3명의 이름으로 작성됐다.

    이 기사에서 한겨레는 사건의 경위를 상세하게 전하면서, 선배에 대한 군대식 복종을 강요한 ‘수습기자 교안’ 사진을 공개했다. 또한 폭행 외에도 추운 겨울에 가방을 메고 경찰서 정문에 서있게 한다든가 10분 단위로 반성문을 쓰게 하는 등의 과도한 처벌, 전화 상의 폭언과 욕설 등 수습기자에 대한 권위적이고 비인격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를 열거했다.

    도올 김용옥, 중앙일보 연재 개시

       
      ▲ 중앙일보 4월10일자 3면  
     

    중앙일보는 1면에 <도올 고함 오늘부터 연재합니다>라는 제목의 사고를 싣고, 도올 김용옥 세명대 석좌교수가 중앙일보 기자로서 ‘도올 고함’이라는 제목의 고정칼럼을 매주 연재한다고 밝혔다. 3면에 실린 <찬성의 북, 반대의 징>이라는 첫 번째 칼럼에서 김 기자는 "(FTA가) 타결된 마당에 웬 말인가 하겠지만 찬성의 북보다는 반대의 징이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은 확언할 수 있다"며 "FTA를 찬성하든 반대하든 공통의 선을 향해 서로가 최선을 다해 우리의 미래를 주체적으로 건설할 수 있게 되기만을 기원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일보 4월10일자 2면  
     

    한국, ‘강동순 망언’ 관련 사설 정정보도

    한국일보가 미디어오늘의 강동순 방송위 상임위원 발언 녹취록 보도와 관련, 사설을 통해 비난한 것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정정보도를 냈다.

    한국일보는 2면 <바로 잡습니다>를 통해 "지난 9일자 <강동순 망언> 관련 사설에서 신현덕 전 경인방송 대표가 발언내용을 몰래 녹음한 사실을 미디어오늘 보도가 숨겼다는 대목은 사실과 다르기에 바로 잡습니다"라며, "미디어오늘은 신 전 대표가 경인방송 분쟁과 얽힌 사실 등을 자세히 보도, 공정한 객관보도 원칙을 어긴 적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미디어오늘에 피해를 준 것에 유감을 표합니다"라고 밝혔다. / 선호 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