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사법리스크 겨냥?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리스크’와 관련해 대표와 당을 분리하는 전략적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인 문희상 전 의장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총선을 앞두고 당과 대표의 분리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는 진행자의 물음에 “교토삼굴에 다 포함된 뜻”이라고 말했다.
‘전략적으로 분리해서 총선 치르는 것을 대안 2, 3에 놓고 생각해야한다는 말씀이냐’는 거듭된 질문에 문 전 의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앞서 문 전 의장은 지난 1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열린 신년인사회에서 ‘교토삼굴’(狡兎三窟·꾀 있는 토끼는 굴을 세 개 파놓는다)을 언급하며 “우리도 영민한 토끼를 닮아서 플랜2, 플랜3 이렇게 대안을 많이 마련하는 그런 해가 되길 바란다”고 말해 주목을 받았다.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에 휘말린 상황에서 이 대표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문 전 의장은 “그냥 글자 그대로”라며 “토끼의 영민함처럼 위기에 대안을 준비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여야 말할 것 없이 대한민국의 큰 위기이기 때문에 항상 미래를 대비한 대안들을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 것을 강조한 것”이라며 “뜻밖에 다른 해석이 있는 같은데, 그건 내 뜻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3년 신년 인사회에 민주당 지도부가 ‘용산 대통령실이 이메일 하나 보냈다’며 불참한 것과 관련해, 문 전 의장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문 전 의장은 “청와대에도 있었고 야당 대표로도 있었는데, 가면 개밥에 도토리지만 대통령이 주관하는 행사에 한 번도 안 빠지고 꼭 갔다”며 “그러나 대통령의 상징성, 국가의 첫날을 시작하는 큰 행사엔 참석해야 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메일로 초청을 받아 서운한) 민주당의 심정도 충분히 이해는 간다”면서도 “종이짝을 보냈든 전자로 보냈든 (서운하더라도) 참석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것도 대통령이나 대통령실에서 세심한 배려가 전제다. 나 같은 경우 대통령이 직접 전화한 적도 있다”며 “부의장을 할 때 이명박 전 대통령이 부의장을 제일 먼저 청와대에 초청했다”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윤석열 정부의 가장 아쉬운 대목으로 “대통령이 야당 대표를 안 만난 것”을 꼽았다.
그는 “정치의 기본은 대화하고 대화를 해야 모든 게 풀어지는 것인데 그 자체를 안 했다. 제일 필요한 것을 안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통합의 정치를 주장했는데 그것을 지키려면 야당 대표와의 대화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의장은 “더 중요한 것은 국회 내에서 합의한 것도 정부에 의해 깨지는 일이 빈번하다. 이거는 국회를 무시하는 것”이라며 “의회 정치를 기본적으로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노동, 교육, 연금 개혁을 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고무적”이라며 “그게 잘 되려면 국회를 존중하고 야당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을 해야 한다. 입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 된다. 말뿐이다. 그건 누구든지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