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사’ 자사고 양산 우려돼
    [교육] 2월 고교체제 개편 방안 예상
        2023년 01월 03일 09:31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자사고 외고 존치 여부 등 고교체제 개편 방안이 다음 달 2월에 나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지난 연말, 주요 언론에 그렇게 밝혔습니다. 절대평가 방안도 2월입니다.

    장관은 그동안 고등학교 전 학년에 절대평가(성취평가제)를 도입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러면 자사고 외고가 유리합니다. 쏠림 있을 것이라는 우려들이 당연히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상충되는 지점에 대한 이주호 장관의 답변이 나옵니다.

    어떤 형태일까요. 원리는, 자사고 외고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아 일반고와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 우선 자사고 외고의 부당한 권한을 적절히 조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할까 갸우뚱거리게 됩니다.

    다른 방법은 일반고를 자사고처럼 만드는 것입니다. 학생선발, 교육과정, 수업료, 교원 등에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지요. 이주호 장관의 예전 정책과 최근 발언에 비추면 이 편이 가능성 높습니다.

    이주호 장관은 지난달 말, 한 케이블방송 채널에 출연하여 “좋은 학교를 광장히 많이 만들면 한 쪽으로 몰리는 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여기서 좋은 학교란 일반고가 아니라 자사고 외고 등입니다.

    장관은 더 많이 만들지 않아서 문제였다고 인식합니다. “(예전 이명박 정부 시절) 그때 자사고를 만들 때도 직업계 쪽에서는 마이스터고를 만들었고, 지역 쪽에서는 기숙형 공립을 많이 만들었는데, 계속 더 많이 만들어 나갔다면 문제가 없었을 텐데 중지된 것”이라고 하면서 “그래서 이번 (윤석열) 정부 들어와서는 그런 좋은 학교들을 더 많이 만들어야 되고, 이번에는 일반 공립고 중심으로 하자”고 밝힙니다.

    그리고 사례로 세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교대와 사범대의 부속학교 활용, 영국의 아카데미 참조, 농어촌 AI 활용 시범학교입니다. 교육부 담당 부서에 주문했다고 하면서 “당연히 자사고나 외고나 기존의 다양화 고등학교들은 존치를 하고, 더 나아가서 일반고들을 훨씬더 다양하게 기회를 주자, 그렇게 되면 자사고나 외고에 너무 많이 몰려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없지 않겠느냐 기대”한다고 말합니다.

    공립 일반고를 자사고처럼 만드는 것에 무게 실리는 대목입니다. 어제 2일 교육부 시무식에서 “지역의 우수 중고등학교를 육성하고, 다양한 학교혁신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고교체제 개편 방안을 수립”한다고 했는데 어떤 의미인지 짐작 갑니다.

    물론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아 조심스럽습니다. 학생선발, 교육과정, 학비, 교원, 재정지원 등이 어떻게 배치되느냐에 따라 그림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현재의 자사고는 교육당국의 재정지원 없습니다. 하지만 영국의 아카데미에서 재정지원 부분만 가져오면, 학생선발 독점에 국민혈세 지원까지 하여 날개를 달 수 있습니다. 현재의 자공고처럼 하면 평준화 지역은 학생선발권 없습니다.

    새로운 형태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장관은 사교육 업체의 AI 튜터를 높게 평가하는 듯 합니다. 그 완제품을 학교로 들여오면 맞춤 교육이 된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우처 제도와 교사 연수입니다. 그 시범학교를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교육자유특구 역시 생각해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문제는 넘지 말아야 할 선입니다. 그 선을 넘으면 새로운 고교 서열이고 쏠림입니다. 이주호 장관의 전례를 봤을 때 우려됩니다. 일단은 지켜봐야겠지만, 일반고를 좋은 학교 아니라고 여기는 듯 밝히는 지점부터 걸립니다. 교육부 또한 부작용을 모르지 않기에 신경 쓸 겁니다. 어느 힘이 우세했는지 결과를 보면 알겠지요.

    한 가지, 윤석열 대통령이 이틀 전 신년사에서 교육과정 ‘다양화’를 말했습니다. 이주호 장관도 ‘다양화’ 단어를 구사합니다. 이 분들의 다양화는 표현만 그렇지,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MB 정부가 자사고를 추진할 때 내세웠던 명분이 ‘다양화’였습니다. 그리고 당시 교과부 장차관은 이주호 현 장관이었습니다.

    필자소개
    정의당 교육 담당 정책위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