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연이은 중대재해의 핵심”
    광양제철소에서 또 사망사고···최 회장 취임 후 사망 노동자 21명 달해
        2022년 04월 12일 10:08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포스코에서 잇따라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벌어지면서 최정우 포스코 회장에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민주노총 전남본부, 플랜트건설노조 전남동부지부·경남서부지부,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포스코지회·포스코사내하청지회 등은 12일 오전 전남 광양시 포스코 광양제철소 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정우 회장에 대한 처벌을 촉구했다.

    사진=금속노조

    지난 7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합성천연가스(SNG) 설비 철거현장에서 건설업체 노동자가 케이블 하역작업 중 7m 높이에서 추락해 사망했다. 지난 1월 20일 포항제철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끼임 사망사고가 발생한 지 석 달도 채 지나지 않아 또 다시 중대재해가 벌어진 것이다. 같은 날 광양제철소 코크스공장에서는 중장비와 추돌하며 협력업체 노동자의 왼쪽 팔이 절단되는 사고가 벌어졌다.

    노조는 포스코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회피하기 위해 사고 원인을 규명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포스코는 이번 사고에 대해 제철소 내부에서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협력 건설업체 사고, 단순 교통사고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사고원인 분석, 사후대책 제시는 뒷전이고 꼬리 자르기에만 집중하는 것”이라며 “포스코와 최정우 회장의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꼬리 자르기 작태”라고 비판했다. 또 “포스코는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설립해 법을 피하려는 꼼수를 부렸다”고도 했다.

    최 회장의 취임 후인 2018년 7월부터 현재까지 중대재해로 사망한 노동자는 21명에 달한다. 최 회장은 안전비용 투자를 공언한 바 있지만, 실제 노동 현장엔 산재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이들은 “최정우 회장은 중대재해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죄송한 마음’, ‘무거운 책임감’, ‘재발방지대책 마련’이라는 사과문만 반복하고 있지만, 21명의 노동자가 현장에서 일하다 사망한 가운데 현재까지 제대로 된 사고예방, 사고대책은 부재한 것이 현실”이라고 질타했다.

    또 포스코가 안전비용으로 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대외적으로 공표해놓고도 구체적인 세부내역 조차 밝히지 않고 있다며 “포스코는 매년 수억 원의 연봉 잔치를 벌이지만, 현장의 안전투자엔 인색하다”고 비판했다.

    노조에 따르면, 포항제철소에 입사한 지 보름도 안 된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안전지킴이까지 겸직을 맡기면서 노동자가 끼임사고로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최정우 회장이 중대재해 문제의 핵심”이라며 “협력업체 노동자의 중대재해 사망과 협착사고 조차 포스코와 무관하다고 말하고, 교통사고로 치분하는 경영진은 퇴진하는 것이 답”이라고 퇴진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포스코의 진정한 개혁과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최정우 회장의 처벌을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