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
    By
        2011년 07월 25일 10:46 오전

    Print Friendly, PDF & Email

    진보교연 대표 조돈문 교수의 글을 읽었습니다. 한 명의 독자로서 의문나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어, 글을 씁니다. 나는 <노동의 지평>에 나온 조돈문 대표의 인터뷰 기사를 읽기 전에, <레디앙>에 소개된 조 대표의 책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그 결과 근본적인 사고의 혼돈이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그 내용을 적어보려 합니다. 아마 이는 진보교연을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수, 연구자 분들께도 상존하고 있을 혼돈이 아닐까 여겨지는데, ‘사회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에 대한 구분에 관한 것입니다. 글 쓰는 이는 이에 대해, 하나의 커다란 역사적 흐름으로 세계사 속에 존재했던 운동으로 이것들을 여기고 이야기하려 하는데, 이에 대한 이해 또한, 통상적인 그런 이해에 기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돈문 교수의 책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에 실린 부분 중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 해방공간 노동계급은 계급 형성뿐만 아니라 계급헤게모니 구축에도 성공함으로써 사회주의국가 건설에 매우 근접했었다. 이러한 점에서 비록 노동자 대투쟁으로 노동계급이 민주노조운동의 형성과 함께 재활성화의 계기를 맞았다 하더라도 1987년의 노동조합운동은 해방공간 전평 시기와 비교하면 턱없이 미약했던 것이 사실이다. ”

    위에 표현된 “사회주의 국가”란 조돈문 교수 분이 민주노동당의 강령에 있는 것이었다고 말하는 ‘민주적 사회주의’라는 데서의 그 사회주의를 의미하는 것입니까? 문장의 맥락 상 이것이 그러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해방공간의 역사를 위와 같이 논의할 때, 이것은 구래의 사회주의 국가들의 세계관(맑스-레닌주의라고 불린)에 근거한 그러한 사회주의 국가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생각 듭니다.
    ‘민주적 사회주의’는 크게는 ‘사회민주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용어자체가 베른슈타인에 의해서 나타났던 것으로 알고 있고, 누구나 알고 있듯이 베른슈타인은 다른 이들에 의해 ‘수정주의자’라는 명칭으로 불려졌습니다. 베른슈타인은 현재에 이르르고 있는 사회민주주의 운동의 선구적인 인물로 여겨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확실히 조돈문 대표 분은 대담의 뒷부분에서,

    “ 어려워도 투쟁도 좀 하고 있는데, 어떻든 민주노총과 통합된 진보정치세력이 유연화를 지금 수준에서 막고, 나아가 지금보다는 조금 더 유럽형으로 복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

    라고 이야기하여, 대표 분이 서 있는 사회주의라는 입지가 유럽형의 이 ‘민주적 사회주의(즉 사회민주주의)’인 것을 표현하려 하였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글 쓰는 이가 혼란이라고 느끼는 것이 바로 이 두 부분, 즉 ‘사회주의 국가 건설’이라고 이야기한 부분의 ‘사회주의’와 민주노동당의 강령에 있었다던 ‘민주적 사회주의’가 혼재되어 교수분의 가치관을 이루고 있지 않나 하는 것입니다. 이 두 부분은 전혀 다른 가치관이고, 다른 역사이며, 때문에 다른 행위의 과정을 낳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 쓰는 이는 다른 인터넷 매체의 공간에서 진보교연을 ‘사회주의자’로 불렀는데, 이는 이 분들이 ‘민주적 사회주의자’라는 의미로 그렇게 부른 것은 아니었습니다. 때문에, 이 분들이 만일 참으로 민주적 사회주의자(즉, 커다란 의미에서 ‘사회민주주의자’)라면 글 쓰는 이가 잘못 이야기한 것이 되는데, 글 쓰는 이가 이렇게 말한 것은 레디앙이나 다른 매체에서 나올 때에도 진보교연이 ‘민주노동당의 사회주의 강령 삭제’를 반대하고 이를 잘못된 일이라고 이야기한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지면들에서 ‘사회주의 강령’의 삭제라고 표현되었지 ‘민주적 사회주의 강령’의 삭제라고 표현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기실 글 쓰는 이는 민주노동당의 강령 전문(이번에 수정되었다는 강령 이전의 강령)을 상세히 고찰한 적이 있는데, 이것을 민주적 사회주의의 강령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고 여겼습니다. 그것은 글 쓰는 이의 경험에서 볼 때, 민족해방 민중민주주의의 강령(즉 맑스-레닌주의의 사회주의 강령)에 훨씬 가까운 것이었으며, 유럽에서 진행된 사회민주주의의 운동의 내용이나 그 지향점을 표현한 것이 아니었다고 느낍니다.
    때문에, 스스로를 ‘민주적 사회주의’로 부르거나, ‘유럽형으로 복원’(?: 대한민국이 유럽형이었던 적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이라는 말을 쓸 때에도 글 쓰는 이는 대표 분께서 해방공간에서의 ‘사회주의 국가 건설’이라고 표현할 때의 그 ‘사회주의’를 의식 깊은 곳에 갖고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만일에 ‘사회민주주의’라는 표현에 대해 특별히 거부감을 갖고 있기에, ‘민주적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쓰거나, 이로 인해 때로 앞의 ‘민주적’ 이란 표현까지 제거하고 ‘사회주의’라는 표현을 쓰며 글을 읽는 이들에게 혼란을 초래한다면, 이는 적절한 일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듭니다. 이러한 것들은 고유명사이며, 그 용어들의 탄생이 있었던 역사적 상황이 있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글 쓰는 이가 찾아본 결과, 민주노동당에서 사회주의 강령의 삭제를 거부하는 원로라는 분들의 생각은 엔엘피디알(민족해방 민중민주주의 혁명론-사회주의 이론)과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이는 유럽형의 사회민주주의(‘민주적 사회주의’도 그 안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기실 남한의 운동사를 알고 있다고 여기는 글 쓰는 이도, 이 원로한 분들이 ‘민주적 사회주의’라는 것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어서 그것으로 ‘사회주의’라는 자신들의 신념을 삼은 것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민주노동당의 강령에서 표현된 이에 대한 진실은 ‘사회민주주의 한계’라는 표현이 있을 것입니다. 80년대 이후, 사회민주주의는 남한의 운동권에서 그것이 뭔지 원 내용의 글을 읽어보기도 전에 모두 ‘개량주의’, ‘수정주의’ 라는 용어로 배척시 되었습니다. 현재에도 그것은 그렇게 하기를 원하는 이들에 의해 계속되고 있는 듯 합니다. 가령 그렇다면, 민주노동당이 ‘민주적 사회주의’라는 강령 대신 ‘사회민주주의’라는 표현을 강령으로 삼는다면, ‘민주적 사회주의 강령의 삭제’를 반대한다는 진보교연의 교수 연구자 분들은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실지 궁금합니다.
    우리 대부분의 대중들은 유럽형의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일조한 그 정치세력을 그냥 ‘사회민주주의’라고 부르고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글 쓰는 이는 진보교연 단체의 주권을 훼손하려는 것이 아니며, 또 갖고 있는 신념을 비난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단지 언어의 의미하려는 바는 정확하게 짚어져야 하는 것이 쓰는 일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여깁니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