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영국 "민주노총+진보5당
    대선후보 단일화 논의 재개하자"
    7일 예정된 실무책임자 회의를 대표자회의로 전환 제안
        2022년 01월 06일 07:0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여영국 정의당 총괄상임선거대책위원장은 6일 중단된 진보진영 후보단일화 논의를 재개하자고 제안했다.

    여영국 총괄위원장은 이날 오전 상임선대위원장 회의에서 “불평등과 기후위기, 차별의 시대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이번 대선에서 기득권 양당 독점정치에 저항하는 반기득권 정치연대가 절실하지만, 12월 말까지 추진하기로 했던 후보 단일화 방식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시민들께 송구한 일”이라며 “그러나 이대로 반기득권 불·기·차 후보 단일화 논의를 그만둘 수는 없다”고 했다.

    여 총괄위원장은 “새로운 시대를 기다리는 국민들의 뜻과 현장 노동자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방안을 마련하자”며 “함께 논의해왔던 민주노총과 진보 5당 등이 다시 머리를 맞대자”고 제안했다.

    ‘국민 여론과 현장 노동자 의사가 반영되는 안을 마련하자’는 여 총괄위원장의 제안은 민주노총이 지난해 말 제안했던 경선 방식을 수용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견이 컸던 단일화 방식에 대해 정의당이 한 발 물러서겠다는 뜻이다.

    당의 주요 관계자는 “당이 구체적인 안을 준비하진 않았고 열린 자세로 조금씩 양보해서 안을 만들어보자는 것”이라며 “(그간 정의당의 주장해온) 100% 여론조사 방식은 양보를 한 것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다만 (민주노총이 제안한) 조합원 참여 보장 방식에 대해선 여러 우려점도 함께 논의해달라는 제안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여 총괄위원장은 단일화 논의 재개를 위해 “1월 7일 예정된 실무책임자 회의를 대표자회의로 전환하여 소집할 것을 제안한다”고도 덧붙였다. 정의당은 전날 공동대응기구 각 참여단위에 이날 실무자회의를 열어 단일화 방식과 관련한 ‘끝장 토론’을 하고, 다음날 대표자회의를 소집해 합의된 안을 승인하자는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민주노총은 지난해 12월 말 단일화 방식을 논의하기 위한 대선공동대응기구 회의에서 110만 전 조합원과 시민선거인단을 결합한 직접투표와 일반여론조사를 7:3의 비율로 후보 선출하는 경선 방식을 제안한 바 있다. 반면 정의당은 시간 부족을 이유로 ‘100% 여론조사’ 또는 ‘정치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주장,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