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하나은행 등 부실 이미 인지”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판매사 하나은행과 관련 자산운용사, 증권사를 사기 판매 등으로 고발한 시민단체들이 30일 서울시방경찰청 금융범죄수사단에 출석해 고발인 조사를 받고 피해 사실을 진술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금융정의연대,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피해자연대, 전국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계사들은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의) 위험성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것으로 의심된다”며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가 더욱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경실련, 금융정의연대 등 시민사회단체와 피해자들은 지난 9일 서울지방경찰청 금융범죄수사단에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판매사인 하나은행과 자산운용사 7곳, TRS(총수익스와프) 증권사 3곳과 그 임직원 등을 특형법상 사기 내지 특정경제범죄법 위반, 자본시장법위반 혐의 등으로 고발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7월에도 이들은 서울남부지검에 고발을 진행했으나 1년 넘게 수사가 진전되지 않자 새로운 범죄 혐의를 추가해 경찰 고발을 진행했다.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판매 규모는 총 1528억 원, 506개 계좌에 달한다. 이들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해당 펀드가 이탈리아 병원들이 지역 정부에 청구할 진료비 매출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이탈리아 정부가 파산하지 않는 한 안정적인 자금 회수가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특히 해당 펀드는 24개월 만기 상품이지만 하나은행은 고객들에게 “무조건 13개월 내에 조기상환이 가능”하며 사실상 불가능한 5% 확정금리 보장을 언급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이 펀드를 소개해 판매했다.
이 단체들은 “하나은행뿐만 아니라 자산운용사, TRS증권사도 이미 펀드의 부실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던 정황들이 확인되고 있다”며 “TRS증권사들은 당초 담보유지비율 30%를 100%로 상향해 증거금을 유지하는 것을 볼 때 이미 관계사들은 그 위험성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것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고발 진술할 내용 발언 모습
양수광 이탈리아헬스케어펀드 피해자연대 대표도 고발인 진술에서 “(펀드 사기 판매를) 주도적으로 기획해 온 하나은행 투자상품부 관계자는 현재 싱가포르에 도피중인 것으로 확인되나 하나은행에서는 적절한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피고발인들의 사기 및 특정경제범죄법 위반 등의 범행으로 인해 약 500여 명의 투자자들이 합계금 1500여억 원의 재산적 손해를 입게 됐다”며 “펀드 사기판매 사건의 중대성과 심각성을 인식하고 면밀히 살려달라”고 촉구했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