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탈당 강제까지 가나
국민의힘이 국민권익위원회 전수조사에서 부동산 불법거래 의혹이 제기돼 탈당 요구를 받은 의원 5명에 대한 강제 조치를 예고했다. 특히 당에서 문제 삼지 않기로 한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이 대선 경선후보 직은 물론 의원직까지 사퇴하겠다고 밝히며 강경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의 이 같은 행보는 권익위 조사결과에 따른 탈당 요구 결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여당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윤희숙 의원은 2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치게 되어 송구하다”며 “지금 이 시간부로 대통령후보 경선을 향한 여정을 멈추고, 국회의원직도 다시 서초구 지역주민들과 국민께 돌려드리겠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아버님은 농사를 지으며 남은 생을 보내겠다는 소망으로 2016년 농지를 취득했으나 어머님 건강이 갑자기 악화되는 바람에 한국 농어촌공사를 통해 임대차 계약을 하셨다고 한다”며 “저는 26년 전 결혼할 때 호적을 분리한 이후 아버님의 경제활동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지만, 공무원 장남을 항상 걱정하시고 조심해온 아버님의 평소 삶을 볼 때 위법한 일을 하지 않으셨을 것이라 믿는다”고 설명했다.
권익위 조사 결과 나온 농지법 위반 의혹을 부인한 것이다. 당 지도부 역시 소명 절차를 거쳐 윤 의원 등에 대해선 문제 삼지 않기로 결정한 바 있다.
윤 의원은 “권익위 조사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강한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며 “독립 가계로 살아온 지 30년이 돼 가는 친정 아버님을 엮는 무리수가 야당의원 평판을 흠집 내려는 의도가 아니면 무엇이겠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권익위 조사에 대해 “끼워맞추기 조사”, “우스꽝스러운 조사”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번 대선의 최대 화두는 현 정부의 부동산 실패와 내로남불 행태”라며 “그 최전선에서 싸워온 제가 정권교체 명분을 희화화시킬 빌미를 제공해 대선 전투의 중요한 축을 허물어뜨릴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며 의원직 사퇴 결심 배경을 전했다.
이어 “대선이라는 큰 싸움의 축을 다시 일으켜 세울 수 있다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다 해야겠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이 염치와 상식의 정치를 주장해온 제가 신의를 지키고 자식된 도리를 다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전날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권익위원회 조사 결과 부동산 불법거래 의혹이 제기된 소속 의원 12명 중 5명에게 탈당을 요구하고 비례대표인 한무경 의원은 제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다만 당 지도부의 탈당 요구에 강제력이 있진 않아 해당 의원들이 당의 결정을 거부하면 민주당과 마찬가지로 유야무야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민주당에서 탈당을 요구받은 의원들 전원은 현재까지도 당적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임승호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인터뷰에서 “지금은 윤리위가 없어서 윤리위상에 탈당권유 징계는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준석 대표는 윤리위를 구성해서 강제적인 조치를 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탈당 요구를 받은 의원들이 스스로 탈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당 윤리위원회를 구성해 탈당을 강제하겠단 뜻으로 읽힌다.
임 대변인은 “이 문제는 대표의 입장만 관철될 수는 없고 지도부와의 전체적인 조율이 필요하다”면서도 “(탈당으로 104석에서 100석 이하로) 개헌 저지선이 무너지더라도 부동산 문제에 대한 엄중성을 조금 더 심각히 인지하고 있다”며 거듭 강경 조치를 예고했다.
한편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부동산 불법거래 의혹이 제기된 의원 12명 중 6명에게 별도의 처분을 내리지 않기로 한 것에 대해 “윤희숙 이병, 송석준 일병 구하기”라고 비난했다.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준석 대표가 약속한 ‘여당보다 더 강한 조치’는 공염불이 됐다”며 “도대체 무슨 자격으로 12명의 부동산 투기의혹 의원들을 재단하고 나눈다는 것인가. 민주당은 우리 당의 시각으로 나누지 않았다”고 이같이 말했다.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