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C 파리바게뜨, 금품살포 등
    조직적 민주노총 탈퇴 공작 의혹
    노조 "증거 은폐 및 조작 진행, 노동부 특별근로감독 및 압수수색 촉구"
        2021년 07월 15일 07:32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SPC 파리바게뜨가 금품살포까지 하며 민주노총 탈퇴 공작을 벌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합원들과 노동법률시민단체는 고용노동부와 경찰에 파리바게뜨에 대한 즉각적인 압수수색을 촉구했다.

    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 파리바게뜨지회와 민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법률원(민주노총·금속노조·공공운수노조·서비스연맹) 등은 15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일 SPC 파리바게뜨가 금품까지 살포하며 민주노총 탈퇴공작을 했다는 폭로가 나왔지만 회사는 ‘사실무근’, ‘개입한 적 없다’며 발뺌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후 폭로를 뒷받침하는 증언이 계속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화섬노조

    앞서 지난 1일 파리바게뜨가 민주노총 조합원 명단을 유출해 탈퇴를 지시했고, 이 과정에 회사 공금을 사용하게 했다는 폭로가 나왔다. ‘3월 4월경 갑자기 000이사(본부장)님이 BMC들한테 민주노총 가입자들에 가서 탈퇴를 시켜와라. 000 이사가 직접 돈까지 줘가며 지시했다’, ‘민주노총을 0%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들었다’, ‘본부장이 아침부터 (민주노총 조합원을 만나러) 다니고, 점심은 법인카드를 써서 (민주노총 조합원에게 민주노총을 탈퇴시키기 위해) 밥을 사주라고 했다’ 등의 내용이다.

    이에 대해 SPC그룹은 “사실무근”, “회사 차원에서 관여한 적이 없다” “제기된 문제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 사실관계를 밝히고, 화섬노조 쪽의 근거 없는 주장에 대해서도 강력한 법적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대응했다.

    그러나 폭로 이후 노조는 이를 뒷받침할 제보를 30건이나 입수했다. 노조는 “전국 8개 사업부 모두에서 이어진 제보들”이라며 “이것은 SPC 파리바게뜨의 조직적 개입 없이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정황이다. 특히 회사 이사(본부장), 제조장과 관련된 증언이 10건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제빵기사인 A씨는 지난 3월 근무 중 매장에 방문한 중간관리사 B씨로부터 민주노총에서 탈퇴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A씨에 따르면 B씨는 “이번에 새로 바뀐 본부장이 민노(민주노총) 가입한 기사들 찾아가서 탈퇴할 생각이 있는지 물어보라 했다. 나도 이런 말하기 싫은데 위에서 시켜서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탈퇴를 거절하자 “한노(한국노총) 안 들어와도 되니까 민노만 탈퇴해”라고 종용하기도 했다. A씨는 “며칠 후 조합원이 모인 톡방에 올라오는 글을 보니 저에게만 이렇게 한 것이 아니란 걸 알게 됐다. 진짜로 노조 탈퇴를 시키기 위함이었고 실제로 탈퇴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2017년부터 3년 넘게 700명대를 유지하던 조합원 수는 올해 3월부터 매달 100여 명씩 탈퇴자가 생기면서 300명대로 떨어졌다.

    노조는 “특정노조에 대한 최종적인 말살 또는 와해를 목적으로, 그 특정노조 탈퇴와 동시에 다른 특정노조로 가입을 강요하는 것은 그 자체로 노조법이 금지하는 부당노동행위”라며 “심지어 이 행위를 위해 회사의 자금을 사용했다면 이는 형법상 업무상 배임이며 노동3권을 비롯한 헌법을 파괴하는 매우 중대한 범죄”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민주노총 탈퇴 공작 수사를 위한 파리바게뜨에 대한 압수수색을 촉구했다.

    이들은 “압수수색을 통한 철저한 수사가 시급한 이유는 SPC 파리바게뜨가 진실을 감추기 위해 증거를 은폐하거나 조작하는 행위를 상습적으로 일삼아 왔던 전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17년 6월 불법파견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에도 파리바게뜨는 업무지시가 이뤄진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을 없애라고 지시하고,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 직전 사내 전산시스템에서 ‘제빵기사 근태·인사평가’ 등에 관한 기록을 삭제한 사실도 확인됐다.

    노조는 “상황이 이런대도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지난 1월 고소한 전산조작 임금체불 건 조사만 몇 번 했을 뿐 아무런 행정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고용노동부 본청은 즉각 특별근로감독하고 압수수색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