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업 불온시하는 것은 파시즘 온상"
    By tathata
        2006년 11월 27일 01:35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노동법 개악 저지와 한미FTA 협상 중단, 비정규직권리보장 입법을 위한 민주노총의 총파업이 정부와 경영계, 언론으로부터 취지는 무시되고 연일 ‘불법 파업’으로 내몰려 ‘집중포화’를 받고 있는 가운데, 전국 교수 2백여명이 “민주노총의 총파업은 정당하다”며 지지선언을 하고 나섰다.

    전국 195명의 교수들은 ‘민주노총 총파업을 지지하는 전국교수 일동’이라는 이름으로  27일 민주노총에서 ‘노동기본권 외면, 노경총 담합 철회, 실질적 노사정 의견수렴 보장요구 지지 선언문’을 발표했다. 지지선언에 참석한 교수들은 교수노조,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한국산업사회학회, 한국산업노동학회의 조합원과 회원들이 중심이 됐다.

    김한성 연세대 교수(교수노조 부위원장)는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고, 사회적 신분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헌법의 정신이, 절차적 정당성마저 무시하는 정부와 일부 노동단체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교수들은 학생들에게 더 이상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모르겠다”며 “교수들만이라도 바른말을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나서지 않을 수밖에 없었다”고 지지 선언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노동자들의 참여를 통해 선진 노사관계, 사회 통합적 노사관계를 만들겠다던 (노무현 정부의) 노동정책은, 한국노총-경총간의 담합과 이에 가담한 노동부에 의해 노동기본권을 철저히 외면하는 ‘9.11 담합’으로 결론지어졌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ILO, OECD 등 국제 노동단체들이 한결같이 비판하는 ‘작업장 복수노조 금지’는 또다시 살아났으며, 법에서 보장하는 정당화된 파업을 봉쇄하는 대체노동이 합법화 될 판”이라고 지적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비정규직의 규모를 축소하는 ‘사용 사유제한’을 권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여당이 ‘기간 제한’만 주장하고 있는 것도 함께 지적했다.

    교수들은 “이런 상황에서 노동자와 민중이 기댈수 있는 최후 수단으로서 투쟁뿐”임을 이해하면서, “오늘의 이같은 비통한 현실에 책임감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정부는 노경총 담합 구도에 가담한 행위를 사죄하고, 야합에 기초한 법개정안을 철회하여 진지한 협상을 진행할 것 ▲ 한미FTA 협상 즉각 쭝단할 것 ▲국회는 노동기본권을 보장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를 보호하는 방향에서 새롭게 노동관계법과 비정규관련법에 재개정 임할 것 등을 선언했다.

    이날 지지선언 발표한 참여한 조돈문 가톨릭대 교수는 “노무현 정부는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성공시켜 양극화의 그늘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저항하는 노동자들을 마구잡이로 구속시켜 민주화 이후 구속자수의 최고치를 구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세균 서울대 교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민주노총에 대한 ‘사회적 고립화’는 ‘파시즘’을 연상시킨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노조의 파업은 노동자들이 택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이며, 한 사회의 민주주의의 성숙도는 파업을 얼마나 수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전제했다.

    그는 “파업이 없는 사회일수록 사회가 질식되고, 국가에 종속해 있음을 말해준다”며 “한국 정부는 파업 속에 제기된 노동자의 요구를 수용하려는 최소한의 움직임조차 없이 경제를 더 어렵게만 한다고 매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현재처럼 파업을 불온시 하는 정서는 “정부, 자본을 넘어 공론의 장인 언론도 동조하고 있어 흡사 파시즘의 온상이 되고 있는 것 같다”고 규정했다. 서구 파시즘의 태동은 파업이 경제를 어렵게 만들고, 체제를 혼란시킨다고 몰고가, 결국 ‘강한 정부’의 출현을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한편으로는 “노동자에 대한 근본적 이해조차 전제되지 않는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합의주의’라는 용어는 박정희의 ‘한국적 민주주의’ 말처럼 성립되기 어려운 말”이라며 이는 “민주노총을 완전배제한 ‘9.11 담합’에서도 드러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파업지지 전국교수선언자 명단

    강남훈(한신대), 강내희(중앙대), 강석재(안양과학대), 강영욱(대구보건대), 강영의(순천대), 강영태(상지영서대), 강인철(한신대), 강정구(동국대), 강진철(경문대), 강창일(배재대), 고정갑희(한신대), 고홍석(전북대), 김경두(경북과학대), 김기원(방송대), 김기택(조선대), 김남석(경남대), 김남이(한중대), 김달곤(경상대), 김동우(세종대), 김두규(우석대), 김무진(계명대), 김민수(서울대), 김민수(한중대), 김상곤(한신대), 김상조(한성대), 김서중(성공회대), 김석준(부산대), 김선건(충남대), 김성희(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김세균(서울대), 김세현(상지대), 김수행(서울대), 김순영(성공회대), 김연각(서원대), 김원재(인천전문대), 김윤자(한신대), 김인식(경북전문대), 김인재(상지대), 김종서(배재대), 김종진(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헌(금오공과대), 김창근(경상대), 김창호(동의대), 김철홍(인천대), 김한란(성신여자대), 김한성(연세대), 김현묵(경북과학대), 김호기(연세대), 나간채(전남대), 남석순(김포대), 남지대(서원대), 남춘호(전북대), 노중기(한신대), 노태구(경기대), 도지호(김천대), 명창식(상지대), 민완기(한남대), 박거용(상명대), 박경(목원대), 박경태(성공회대), 박노영(충남대), 박동순(강원관광대), 박동혁(동의대), 박상환(성균관대), 박서호(한남대), 박수영(한국외국어대), 박열(조선대), 박영근(중앙대), 박정근(대진대), 박정원(상지대), 박정훈(인천전문대), 박주용(세종대), 박준식(한림대), 박진도(충남대), 박충구(감리교신학대), 박해광(전남대), 박홍규(영남대), 배주한(경북과학대), 백경훈(동아방송대), 백승욱(중앙대), 백원담(성공회대), 서관모(충북대), 서승하(안산공과대), 서창호(목포대), 손미아(강원대), 손현숙(신라대), 손호철(서강대), 송광성(한서대), 송석준(공주대), 송주명(한신대), 신광영(중앙대), 신영명(상지대), 신정완(성공회대), 심상완(창원대), 안문영(충남대), 안삼환(서울대), 안상헌(충북대), 엄한진(한림대), 오선근(중부대), 오영식(강원관광대), 오영탁(안산공과대), 오용록(서울대), 원인성(김포대), 유병제(대구대), 유승재(중부대), 유원근(강원대), 유일상(건국대), 유제호(전북대), 유팔무(한림대), 유희수(고려대), 윤성민(부경대), 윤수종(전남대), 윤영삼(부경대), 윤진호(인하대), 이갑영(인천대), 이규태(한일장신대), 이민환(부산대), 이병천(강원대), 이병훈(중앙대), 이상수(한남대), 이상철(성공회대), 이상훈(경북과학대), 이성대(안산공과대), 이성백(서울시립대), 이세영(한신대), 이승국(대구예술대), 이영진(경북과학대), 이왕기(목원대), 이용진(경북과학대), 이일영(아주대), 이재학(서일대), 이재희(경성대), 이전(경상대), 이종구(성공회대), 이종춘(경북과학대), 이주희(이화여대), 이진만(경북과학대), 이채언(전남대), 이항우(충북대), 이현주(경인여자대), 이화영(서일대), 이희옥(한신대), 임시룡(경북과학대), 임재홍(영남대), 장상환(경상대), 장세훈(동아대), 전광일(인천대), 전인평(중앙대), 전지용(조선대), 전형구(극동정보대), 전형수(대구대), 정병오(서일대), 정성진(경상대), 정영철(순천대), 정원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태석(전북대), 정현모(경북과학대), 조경배(순천향대), 조규철(울산대), 조돈문(가톨릭대), 조승현(한국방송통신대), 조임영(배재대), 조태영(한신대), 조현연(성공회대), 조형래(창신대), 조효래(창원대), 조휘창(서일대), 조희연(성공회대), 주경복(건국대), 주동황(광운대), 주보돈(경북대), 주영상(한중대), 채종화(부산경상대), 최갑수(서울대), 최병두(대구대), 최병진(대구보건대), 최영찬(서울대), 최영태(전남대), 최유진(경남대), 최종민(전북대), 최종천(순천대), 최태룡(경상대), 최현(서울대), 하종문(한신대), 한규광(배재대), 한기조(동의대), 한상진(울산대), 허민영(경성대), 허진(창원대), 홍성학(주성대), 홍순권(동아대), 홍장표(부경대), 황갑진(경상대), 황상익(서울대), 황선웅(한국비정규노동센터) 총 195 명

    필자소개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