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경선 일정 내홍
    현행 우위 속 25일 결정
    송영길 "‘상당한 사유’가 있는지 여부 판단권, 당대표와 지도부에게"
        2021년 06월 23일 01:06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더불어민주당이 전날인 22일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의까지 거쳤지만 대선 경선시기에 관한 논란을 매듭짓지 못했다. 대선주자들은 여전히 ‘연기론’과 ‘원칙론’을 고수하며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당 지도부는 전날 오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당헌당규대로 경선 일정을 진행하되 오는 25일 최종 결론을 내기로 했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의원총회에서 나온 여러 의견을 바탕으로 지도부가 숙의한 결과 현행 당헌의 ‘대선 180일 전 선출’을 기본으로 해서 대선경선기획단이 선거 일정을 포함한 기획안을 오는 25일 최고위에 보고하고 그 보고를 받은 뒤 최종 결론을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측은 당 지도부의 이 같은 결정이 사실상 원칙론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재명 지사 지지 모임인 ‘민주평화광장’ 상임공동대표인 조정식 민주당 의원은 23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어제 지도부에서 결정은 일단 원칙대로 180일 전 대선후보 선출을 준비하겠다는 것으로 본다”며 “경선 일정에 대한 최종 결정은 오는 금요일(25일)에 내리기로 했지만 현행 당헌당규를 기본으로 경선 일정안을 짜기로 했고, 오늘은 당무위원회에서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며 25일 이 문제가 매듭지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정식 의원은 “당 최고위원들은 조금 의견이 갈려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당대표”라며,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원칙론에 가깝다는 뜻을 내비쳤다.

    조 의원은 ‘180일 전 대선후보 선출’에 관한 특별 당규를 만들 당시 동의했던 대선주자들이 경선이 임박해지지 말을 바꾸고 있다며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특별 당규를 만들었을) 당시 당직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그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다. 당내 숙의를 거쳤고 당시 잠재적인 대선 후보군들의 의견을 다 수렴했다. 그리고 이 규정에 대해서 다 동의를 했고 이의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별당규를 정한 이후에 지난 1년간 이에 따라 각 후보와 주자들이 준비를 해왔다. 그런데 스타트 라인에 서서 경기가 시작되려고 하니까 연기하자고 한다”며 “동네 축구나 달리기 시합 때도 이렇게는 안 한다. 상식에 맞지 않다”고 반발했다.

    ‘상당한 사유’가 있다면 경선 연기가 가능하다는 주장에 대해선 “상당한 사유라는 말이 서로 해석이 틀릴 수가 있지만, 상당한 사유라 함은 불가항력적으로 경선을 치르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경선을 연기하자는 분들은 ‘흥행이 안 돼서 연기하자’고 하는데, 이건 그야말로 자의적이고 정치적인 입장이다. 이런 식이면 당헌당규를 정해놔도 상황마다 ‘이런 이유로 다시 바꾸자’ 이런 게 계속 반복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정치적 주장에 따라서 당헌당규가 다 뒤집히는 아주 굉장히 안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도 했다.

    선두주자인 이 지사가 ‘통 크게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이 문제는 유불리의 문제로 볼 게 아니라 특별당규가 정해진 기본 취지와 국민에 대한 신뢰의 문제”라며 “실제로 어제 발표된 국민여론조사를 보더라도 경선연기 반대가 55.8%이고, 찬성이 24%다. 두 배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경선을 연기하면 안 된다는 여론이 많다”고 지적했다.

    다만 ‘경선 연기로 결정이 된다면 보이콧 등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고 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조 의원은 “그런 상황을 가정해서 지금 얘기할 건 아니라고 본다”며 “그렇게(보이콧)까지는 가지 않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반면 이낙연 전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비이재명계’는 25일 최고위가 예정대로 경선 일정을 진행하는 쪽으로 결정하면, 당무위원회 독자 소집을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비이재명계가 지도부의 최종 결정이 나오기 전부터 실력행사에 나선 셈이다. 앞서 송 대표는 당무위 안건 부의권이 지도부에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경선 연기파’로 알려진 김영배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비이재명계 의원들이 당무위 소집을 요구하는 서명에 들어갔다는 것이 사실이냐”는 질문에 “확인하진 못했는데 그런 의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며 “당헌 24조에 보면 당무위원 1/3이 이상이 요구할 경우에 당무위원회를 열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에 그 규정을 가지고 당무위원회 개최요구를 할 수 있다”고 답했다.

    김 최고위원은 당 대표에게 경선 일정을 결정한 권한이 없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지금은 표결보다 정치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과정”이라며 “최후의 수단이 표결일텐데 정치라고 하는 게 숫자의 대결보다는 정치적 공감을 바탕으로 한 합의가 중요하다. 저희들도 아주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고 또 많은 의견들을 함께 듣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송영길 대표의 단독 결정사항은 아니라는 뜻이냐’는 질문에 “그렇다. 지도부 내에서 최대한 합의하기 위해서 여러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 대표는 경선 일정과 관련한 판단이 당 대표 권한 밖이라는 비이재명계 주장에 반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어제 (의총에서) 토의한 의원 숫자는 연기 쪽이 조금 더 많았고 여론조사에선 ‘현행대로 가자’는 게 압도적으로 많다”고 설명했다.

    ‘최종적으로는 대표의 정치적 결단만 남은 건가’라는 물음에 “그것도 당무위원들은 대표의 권한이 아니다, 이렇게 논쟁을 벌이고 있다”며 “(이럴 거면) 당대표를 왜 뽑았나”라고 반문했다.

    송 대표는 “‘180일 전에 선출해야만 한다’고 강행규정으로 되어 있고 다만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 당무위원회 의결을 거쳐 달리 정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 ‘상당한 사유’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권은 그래도 당대표와 지도부에게 있는 것”이라며 “그것조차도 당무위원회에 있다고 하면 당대표의 존재 의미는 뭐냐”고 말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