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군부쿠데타 저항
    미얀마 노조 총파업 선언 적극 지지”
    주한 미얀마 무관부 앞에서 불복종 운동 연대 릴레이 1인 시위
        2021년 03월 15일 07:3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민주노총이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에 반대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미얀마 노동조합에 연대한다며, 우리 정부를 향해선 “쿠데타 정부를 인정하지 말라”며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노총은 국제 노동조합운동의 일원으로서 미얀마 군부의 민주주의 파괴를 전 세계 모든 노동자들에 대한 위협으로 본다”며 “군부 쿠데타 저항하는 미얀마 노동조합의 무기한 총파업 선언에 적극 연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사진=노동과세계

    미얀마 군부는 지난해 11월 열린 총선 결과를 부정하며 새로운 의회 개원 전날인 2월 1일 쿠데타를 감행하고 1년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이후 미얀마 시민들 사이에서 불복종 운동이 확산, 미얀마 18개 노조와 노동단체는 시민 불복종 운동 동참을 이끌어내기 위해 지난 8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시민 불복종 운동에 대한 군부의 탄압은 심각한 수준이다. 군부의 살상 무기를 동원한 시위 진압으로 구테타 이후 누적 사망자가 100명이 넘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제노총(ITUC)에 따르면, 군부가 미얀마노총(CTUM)과 미얀마 제조장인서비스노조연맹(MICS) 지도부에게 선동죄를 적용해 기소하고 16개 노동단체를 불법단체로 선언하고, 노조 간부에 대한 가택수사 등도 이어지고 있다.

    국제노총과 국제산별노련, 국제노동조직협의회는 미얀마 노조의 무기한 총파업을 엄호하기 위해 국제적 연대를 조직 중이다. 특히 각국의 정부가 쿠데타 정부를 인정하지 말아야 하며 미얀마에 진출한 자국 기업들이 군부와의 상업적 관계를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도 지난달 주한 미얀마 대사관 무관부에 항의서한을 전달하는 등 미얀마 노조의 무기한 총파업과 시민불복종 운동에 힘을 보태는 한편,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앞서 지난 12일 우리 정부는 ‘미얀마 정세 관련 우리 정부 대응 조치’를 통해 미얀마 측과의 국방 및 치안분야 신규 교류 및 협력 중단, 군용물자 수출 불허, 산업용 전략물자 수출 엄격 심사, 개발협력 사업 재검토, 국내 체류 미얀마인 인도적 특별 체류조치 시행 등을 발표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회견에서 “정부는 국방 및 치안 분야 신규 교류 중단에서 한 걸읍 더 나아가 미얀마 군부의 비상사태 선언을 군부쿠데타로 규정하고 이를 규탄해야 한다”며 “군부가 세운 정부를 정당성을 지닌 정부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분명히 선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얀마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군부의 인권 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과 인권실사(Due Diligence) 가이던스를 바탕으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포스코 강판, 이노그룹 등 한국 기업들이 쿠데타를 일으킨 군최고사령관이 회장으로 있는 미얀마경제지주회사(MEHL)와 합작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주노총은 “현지 노동자들은 사흘 전 이노그룹의 한 공장에서 쿠데타 발발 이후 군복을 대량생산하고 있는 사진을 페이스북에 퍼나르며 한국 대사관과 한국정부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미얀마 진출 한국기업들이 군부와 사업적 관계를 청산하도록 적극 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부터 미얀마 무관부 앞에서 미얀마 노동자들의 쿠데타 불복종 운동 연대를 위한 릴레이 1인시위에 돌입한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