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 노동자 현실,
    1년 전과 달라진 것 없어
    노조 "임시방편 땜질 코로나 대응"
        2021년 02월 17일 06:30 오후

    Print Friendly, PDF & Email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일선에서 대응 중인 코로나19 전담 병원 의료진들이 인력 확대 등을 위한 대책 마련과 예산 반영을 국회에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년 전과 변한 것 하나 없는 인력구조로는 더 이상 보건의료노동자들이 의료 현장을 지키기 어렵고, 임시 대응 인력인 소위 민간파견 인력으로는 새로운 대유행에 대처하기도 어렵다”며 “보건의료노동자들이 소진되거나 이탈하지 않고 일할 수 있는 대책 마련하라”고 이같이 밝혔다.

    사진=보건의료노조

    노조는 ▲중증도·질환군별 코로나19 대응 인력 기준 가이드라인 마련 ▲공공의료기관 정원 확대 및 추가인력의 인건비 지원 ▲형평성 있는 지원체계 마련과 생명안전수당 지급 ▲방역·보조인력 지원 연장 ▲코로나19 대응인력 지원을 위한 예산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전국의 코로나19 전담병원에서 일하는 보건의료노동자들은 지난 2일부터 청와대 앞에서 16일 째 농성 중이다. 30여 명의 보건의료노동자들은 방호복을 입고 이날 회견에 참석하거나 국회와 여의도 인근에서 1인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들은 “십 수 일째 농성이 지속됨에도 아직 어떠한 답도 듣지 못했다. 청와대는 물론이고 정부나 여당 모두 묵묵부답 외면하는 토사구팽 처사에 분노만 커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선희 보건의료노조 부위원장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국의 지방의료원이 부족한 인력 속에서 감염병에 대응해왔다. 그에 따르면 약 2천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 이 부위원장은 “확진자 발생이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며 코로나19 전담병원 노동자들은 1년 넘게 제대로 된 감염병 대응체계도 없이 부족한 인력으로 근근이 버텨왔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간 민간 파견 인력을 투입하는 식의 땜질 처방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해왔다. 이 부위원장은 “(인력 부족 때문에) 1월 한 달 동안만 민간파견인력이 1270명이 투입됐고 그 비용이 약 100억 원으로 추정된다. 현장에 필요한 건 이런 땜빵식 인원이 아니라 제대로 교육해서 오래 근무할 정규 간호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담병원 노동자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생명안전수당을 지급하고, 병원 노동자 처우를 개선해 정규직 정원으로 채용하고 인건비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부 보건의료노동자들은 임금체불까지 우려하고 있다. 정지환 보건의료노조 부산의료원지부장도 “임시방편적 시스템으로 노동자 간 갈등이 일어나고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고 있다”며 “가중되는 업무에 병원을 떠나고, 임금 체불까지 걱정하는 현재 상황은 정상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국회가 정부에 의료인력 확대 등 대책 마련을 주문하는 식의 소극적 태도를 넘어 적극적으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공공의료 강화’는 정치인들의 말잔치일 뿐 법제도와 예산 그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갖춰나가고 있지 않다”며 “우리의 요구는 의료체계가 붕괴되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이자, 보건의료노동자들이 코로나19와의 사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극히 상식적이고 정당한 요구”라고 강조했다.

    필자소개
    레디앙 취재기자

    페이스북 댓글